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수박에 자주 발생하는 8가지 병과 1가지 생리장해 증상을 진단할 수 있는 수박병 진단용 전문가시스템인 WDES를 개발하였다. 사용된 전문가시스템 개발도구로 HCLIPS를 사용하여 한글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였다. WDES의 지식베이스는 35개 IF-THEN 형식의 규칙으로 구성되었으며 추론과정은 순방향 추론방식을 채택하였다. 질문 문항별로 도움말, 도움그림, 질문이유 등의 도움기능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질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박재배자와 전문연구자들이 WDES를 사용해 본 결과 WDES의 타당성과 실용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었다. 실제 수박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병과 생리적 장해가 함께 발생되고 있으므로 WDES가 실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각종 병 증상들에 대하여 좀더 세부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지식베이스 내의 규칙을 보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ropriety of prolongation in educational term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t junior college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itian by giving substantial education. The prolongation of educational term from two to three years is necessary to cultivate a more excellent dietitian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freshmen in junior colleges are poor in basic scholastic ability which is needed for the study of nutrition science. Second, many new subjects which will support the new rolles of dietitian, in acordance with social changes, should be supplemented in curriculum. Third, the subject of spot-practice for dietitian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gular course in curriculum.
본 논문에서는 시 간 종속 하증을 받는 대형 전산구조응력 해석 문제를 위한 유한요소 모델링 기법
이 소 개된다 유한요소 ]ι 멘 i깅의 분할기준은 분제에 대한 해석 결과에 대한 오차선정에 근거를 둔
다. 이 -와자산정은 해삭션과치에 의한 잔유 에너지의 크기플 유한요소별로 산정한다. 이의 시간존장
IL조촬에 대한 응 용븐‘ 구조연속체의 Ritz 고유진동 모드 를 계산하고 이뜰 진동 모드 중에서 저주따
에 상용하논 진동꼬드에 대해 잔유 에너지의 크기가 구조체 전체영역에서 평형을 유지하도록 유한요
소 모덴냉윤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몇 예제플을 통해서 검증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완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되는 건물의 예비설계분야에 전문가 시스템의 기법을 이용한 설계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치해석용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던 구조부재의 물량에 의한 경제성이외에도 건물의 안정성, 시공성, 그리고 건축공간성등의 경험적 영역까지를 고려한 많은 대안을 사전에 검토해봄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구조설계의 오류를 초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se the way that could enlarge the course in life for the graduate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questionaries gathered from professor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and from dieticians of industry, school and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ultivation number of dieticians is too excessive in comparison with the need, and so it is necessary for the colleges to restrict the new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for a time, and for the government to tighten the employment system of dieticians. 2. The employment of dieticians will be extended to such fields as school,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and counsel office of nutrition to act as a nutritional educator or a medical server in the future, and consequently the colleges which cultivate dieticians should improve the curriculum to agree with this. 3.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novate the system of dietician arrangement to such a way as establishes a new rule in which additional dietician should be employed in accordance with the feeding number in industry and hospital, as restricts the position-combine of a dietician with a cook in a large feeding institute, as gives the qualification of a nutritional instructor only to the diatician at public health center, as gives the qualification of a nutrition -teacher to the dieticians who completed the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n allows them to act as a nutrition-teacher in school. 4. The way to give a higher grade of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o the graduate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onior College for the supplement of dietician`s facul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eline data on realities of experimental-practice and opinions toward spot-practice, and to examine how to cope with the problems raised at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of Junior Technical College in Korea. Ouestionairs were gathered from 42 chairmans of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140 present dieticians worked in Seoul, Bucheon and Seongna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whole, each college had 2∼3 experimental laboratory (Lab), in which Cooking Science Lab, Chemistry Lab and Microbiology Lab were occured at higher frequency as Lab`s name. Second, the numbers per experimental-practice class were more than 40 at most colleges. 85% of present dieticians have answered to feel too much numbers per the class during their college days, whereas professors` opinions toward the numbers per class were suitable at 20∼30 persons per class. Third, professors` opinion toward the adquate ratio of the theory subject classes to experimental subject classes was suitable at 60 : 40. Dieticians answered to take the theory subject classes partly or mostly on behalf of the experimental-practice classes. Fourth, the main reasons which inhibited normal experimental-practice class were the class for emphasis on examination, the shortage of experiment budget, the excess of class members, the shortage of experimental Lab. Also, this results showed same propensity to present dieticians` opinion toward the same question above. Fifth, among the experimental-practice subjects established at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Diet Therapy Lab was highest frequency class emphasized on theory followed by Nutrition Counselling Lab, Food Processing and Storage Lab, Food Hygiene Lab and Food Microbiology Lab in that order. Here, Basic Chemistry Lab, Biochemistry Lab, Food Microbiology Lab were pointed as subjects far from the present task of dieticians. Sixth,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s a whole, has conferred with spot-practice arrangement. About 50% (all who want to join spot-practice) of second year students took part in spot-practice. In the other way, all colleges except for 2 colleges didn`t give the credit for the spot-practice system. Seventh, according to the on analysis on spot-practice places, manufacturing company was at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hospitals, elementary school having group feeding system in that order. Especially, 16.7% (5 colleges) of the total colleges sent the students to the research institute related to food industry for spot-practice experience. Eighth, Professors` opinions toward the spot-practice time and periord were preferable on summer vacation of second year and for 1∼2 weeks,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74 dieticians answered to the adquate period as for 4 weeks. Ninth, 86 dieticians of the total 140 answered to complete the spot-practice during their college days, which helps the present task of them. Lacks of spot-practice program, Lacks of comprehension of upper personnels and lacks of group feeding equipments ranks higher as difficulties in spot-practice management.
According as the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have improved the nation`s standard of living, a great change in recognition of public health has occurred and also brought about a concomitant change i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utritionists. Consequently, the curriculum of Junior Colleges is required to be revised so as to provide substantial education through which the acquisition of necessary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as intermediate technicians and the efficient training can be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of the functional structures of nutritionists,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frame a model curriculum that may provide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and help to establish a desirable curriculum of Junior Colle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way to give substant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Ouestionaries were gathered from th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fessors and assistant teachers appointed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were insufficient in number showing the sufficiency proportion of 35.8% and 61% respectively. 2. Part time lecturers took charge of lectures on major subject up to 27%. 3. The academic backgrounds of all professors were above a master`s degree,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were in the doctor`s course and who had got doctor`s degree amounted to 31.5% and 27.9% respectively. 4.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had majored in the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at university or at graduate school was the most and that of Food Engineering ranked the next. 5.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careers in the fields of food and nutrition before the appointment to professor amounted to 32%. 6.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domestic training managed by the Education Ministry amounted to 67.8%, but those having foreign training amounted to only 8.3%. 7. The number of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subscribed by one professor was on an average 2.8, but that of foreign was only 0.8. 8. Each professor associated on an average 2.7 kinds of academic society, and published 3.6 pieces of thesis in the last three years. 9. The professors were comparatively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occupations,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such points as deficiency of educational postulates, insufficient income, low level in intellectual faculties of their students and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I - BUILDS는 기존의 CAD 프로그랩인 BUILDS와 지식베이스룹 일판된 시스템으로 통합한 컨쓸설계용
전문가 시스댐이다. 본 시스템올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논 추론에 의해 발생된 데이
타 뜰 을다양한계산능력을가지 변서 특별한 업부 도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된 건붙의 일팔구조셜계 시스댐인
BUILDS 의 부시스템 (BUILDS - A ) 에 이용되도록 입력파일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을 기술한다.
Quantitative habitat model is established with species occurrence and spatial abundance data, which were usually acquired by professional field ecologists and citizen scientists. The importance of citizen science data is increasing, but the quality of these data needs to be evaluat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ompare both expert-based data and citizen science data based on the performance power of quantitative models derived from both data sets. A Maximum Entropy (MaxENT) model was developed using eight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ing climate, topography, landcover and distance to forest edge. The AUC values derived from the MaxENT model were 0.842 and 0.809,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 level of explanatory power. All environmental variables has similar values for both data sets, except for the distance to forest edge and rice paddy, which was relatively higher for expert-based survey data than that of the citizen science data as the distances increased. This result suggests that habitat model derived from expert-based survey data shows more ecological niche including wider ranges from forest edges and isolated habitat patches of rice paddy. This is presumably because citizen scientists focuses on direct observation methods, whereas professional field surveys investigate a wider variety of methods.
이 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독도전문연구센터가 동해의 바닷속 펼쳐진 거대한 독도의 해양영토를 밝히고 그 가치를 찾아 한국의 영토로서 확고한 주권확립과 이용관리에 기여하고 있으며, 과학연구 활동으로 많은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기 때문에 독도 해양과학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홍보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을 한 것이다. 이 독도전문연구센터는 2006년도에 설립되어 올해 16년째 독도 해양과학연구를 꾸준 히 하고 있으며, 축적된 연구 성과에 대하여 홍보를 하였다. 이러한 독도 해양과학연구 성과의 홍보 방법으로는 학술논문, 학술활동, 특허, 서적출간, 언론홍보, 전시회 및 학술행 사, 독도관련 화보집, 총서와 독도체험시스템 등이 있다. 독도전문연구센터의 독도 해양과 학연구 성과의 홍보현황을 보면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학술논문은 82편, 학술발표 226편, 특허 11건, 서적 35종, 언론홍보 1158건, 전시회 32건, 학술행사(워크숍, 세미나, 심포지엄 등) 227건, 대중강연 107건, 견학(방문) 791건, 자료제공 226건 등 약 3천건 정도로 집계되었다. 독도 시민단체와 반크 등 일반인의 독도 홍보활동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독도 해양과학 연구자들의 독도 성과와 홍보에 관한 것은 아직 충분치 않은 실정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새로운 해양, 해저지형 표기에 있어서 동도, 서도 외 89개 부속 섬의 전체 바위명칭 부여 및 지도, 리플릿 제작 배포가 필요하다. 둘째, 독도 이용개발에 있어서 육상의 경우에는 자연환 경에 의한 풍화작용 등의 영향으로 바위가 훼손되는 현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셋째, 독도 해양 및 환경자료 활용을 확대하여 독도 통합관측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 여 실시간 서비스 제공도 지속적이어야 한다.
독도교육은 독도의 영유권확보를 위한 선결적 수단 가운데 하나로서, 그 중요성은 따로 강 조하지 않더라도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3년 동안의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운영사례를 중 심으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찾는데 목 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영남대 학교를 비롯한 지역대학에서의 독도교육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영남대학교에서 수행해온 독도교육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법학전문대 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구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도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은 독도 관련 법률전문가의 양성 및 국가의 전략적 차원에서의 기여라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일이라는 점이다. 둘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독도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중・고교에서 의 독도교육과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독도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양성프로그램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넷째 독도교육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가칭 ‘독도교육공동연구회’와 같은 민간 주도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독립적이고 중 립적인 틀 속에서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독도에 관한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지속된다면, 독도는 ‘아름다운 금수강산’으 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학교현장실습의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몇십 년째 계속 똑같은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학교현장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초등교사 전문성을 신장하고, 현장에서 교사로서의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실질적인 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학교현장실습 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Hargreaves & Fullan(2012)이 교사 전문성 신장의 원동력으로 제시하고 있는 전문적 자본의 관점으로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바라본 학교현장실습과 학교 현장의 초등교사 전문성과의 연 계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교사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교현장실습 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인 K대학교의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졸업한 초등학교 초임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K대학교 출신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심층 면담으로 연구한 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상당 부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나, 상대적으로 의사결정적 자본은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 제도 개선 방안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