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uncover how F. R. Leavis carves out his own theoretical space and re/draws the map of English poetry by re-reading T. S. Eliot’s theory of tradition and the dissociated sensibility. In his well-known essay,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s,” Eliot underlines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tradition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literature, and valorizes it as an “ideal order” that endlessly re/adjusts and re/organizes itself by merging the new with the existing. Profoundly influenced by Eliot’s criticism and poetry, Leavis published two seminal books, New Bearings in English Poetry and Revalution, in the 1930s, where he thoroughly examines the real value of his contemporary poets as well as the past ones and, thereby, re/constructs the great tradition of English poetry. In the books, Leavis redresses Eliot’s notion of tradition, which allows for the dominating power of the past tradition over the present and individuals, by highlighting that it is a small number of talented individuals that challenge the existing order and establish a new tradition. In doing so, Leavis registers the significance of the active and creative role of the subject in the establishment and revaluation of tradition. Unlike Eliot’s notion of tradition, his theory of the dissociation of sensibility is constantly championed by Leavis, who utilizes it as a significant theoretic tool by which to map out the stream of English poetr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Leavis unconditionally embraces Eliot’s theory. Rather, Leavis re-enacts the theory by filling up the theoretic ‘empty gaps’ overlooked by Eliot. One of them is the social background that underlies the dissociation of sensibility. For Leavis, it is not just the socio-political changes around the English Civil War but cultural and intellectual factors, including the decay of the court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modern prose, that lead to the dissociation. Another problem of Eliot’s theory is that it forestalls the possibility of the restoration of the unified sensibility in modern poetry by assuming that it has never recovered itself from the damaging effects of the dissociation. However, for Leavis, it is possibile for great individuals to restore the unified sensibility in the age of the dissociation of sensibility, The poet that fully realizes this, Leavis claims, is no other than Eliot himself, who never takes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is possibility.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 역사적 요소 및 자원이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살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 경쟁력을 결정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과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유망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한 국가정부의 인식순준은 높으나 민간자본의 협력관계를 조성하는 기반이 미흡하다.
전통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차별성 있는 문화산업화로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발전되어야하겠다.
Two hundred and twenty three yeast strains were randomly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Among them, six urease producing yeast strains (designated JJA, JJB, JJ22, SHA, SHC and SH10) were selected on the Christensen urea agar plates.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in the PCR-RFLP analysis of the ITS I-5.8S-ITS II region digested with HaeIII and HinF1 restriction endonucleases. Its DNA sequences showed 100% (strains SHA, SHC and SH10) and 99.8% (strains JJA, JJB and JJ22) identity with those of Issatchenkia orientalis type strain ATCC 24210. Phylogenetic analysis resulted in that all the strains were closely related to I. orientalis. Two representative strains, JJ22 and SH10, showing the highest urease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Their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the same as I. orientalis. Therefore, both the two strains were identified as I. orientalis. They could grow at a wide range of temperature between 20-40℃ as well as pH between 2.0 and 10.0. However, a higher level urease activity were obtained at acidic pH than that at alkalic pH. The maximal level of urease activity was obtained at 30℃ (strain SH10) or 35℃ (strain JJ22) and in a liquid medium adjusted to the initial pH 5.0.
전통 목구조는 기둥-보-도리로 가구를 구성하며, 보 장부의 파괴는 전통 목구조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장부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장부 두께에 따른 내력과 강성을 평가하고, 상부 구조체를 해체하여야 가능한 기존 보강방안을 보완하여 상부 구조체를 해체하지 않고 보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보강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철물 개수 및 간격, 모양 및 삽입깊이를 요인으로 실험을 행하여 비보강 실험체와 내력, 강성을 비교한다. 장부의 전단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장부의 내력과 초기전단강성은 장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증가하지만, 장부 두께를 크게 하면 기둥의 사개부분이 약해져 구조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친다. 장부의 내력 전단응력 전단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철물 3개를 장부의 중앙부에 배치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이를 토대로 기둥-보-도리 등의 접합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진주 출신의 작곡가 이상근(1922~2000)의 음악이 최근 음악학계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본 연구 는 그의 초기 합창음악 양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1946년부터 1951년 사이 쓰여진 그의 12작품(개별 16곡) 중 출판된 11작품이 ‘전통과 현대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이상근은 그의 논문에서 전 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에 대한 생각들을 펼치고 있다. 그는 전통 음악적 소재와 민족적 정서를 중 요시 하였고 이를 그가 영향받은 인상주의 음악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하려고 노 력하였다. 그의 시도는 5음음계나 새야화현이 현대적 리듬과 화성진행과 결합한 형태로 음악화되었 다. 이상근의 초기 합창음악은 한국창작음악의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민족성이나 현대성 외에 합 창의 대중적 속성을 반영하는 ‘친근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
This study analyzed push, pull motiv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ho visited Yangdong village in order to maintain, conserve and seek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is vill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was that 'personal relations'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the pursuit of knowledge'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Secondly,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desire to new experience' have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sh factor generally. Physical environment was a only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ll factors. Thirdly,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a only factor t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recommend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is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pull and push factor to enhance the tourist attraction of Yangdong village.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preliminary data for planning and conservation guidance of traditional village.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Raw Jihwang) by traditional method.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the final cycle of Jihwang) was increased to 205%, compared with Rehmannia glutinosa.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2,2'-azinobis(3 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remarkably as the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increased. Especially, FRAP value increased 285%. Also, IC50 values for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inal 9th-cycling product, decreased 48.4% and 7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Rehmannia glutinosa. Our result was suggeste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improv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 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 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 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 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 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 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 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 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Recently, the food industry has evolved into a new and innovative trend according to its globalization and change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o meet the changing consumers' needs because of its poorer quality control and lower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than other advanced industries. Also the knowledges acquired through a lot of time and efforts would be lost after the human resources with tacit knowledges leave by their too much aging. Especially, the 21st century would be called as knowledge based society which means that knowledge be th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the knowledge based system for systematically managing or preserving knowledges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to seek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system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is finally proposed as follows; First, hard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facilities such as interpretive center, learning and experience room, library, etc. And the integrating facilities such as Mosisongpyun theme park, traditional village, and knowledge industrialization support center are proposed. Second, soft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softwares such as the preservation manual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 web-site administrator, development of graded textbooks, development database software, etc. And the integrating softwares such as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management ability in Mosisongpyun industry are proposed. Third, human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programs such as exhibition, own training program, incubator support system, etc. And the integrating programs such as the farm association corporation, the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the institution of learning and training a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놀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K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남:12, 여:8) 통제집단 20명(남:11, 여:9)이었다. 연구결과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은 노후화된 시설의 관리 미흡, 상인들의 안전 의식 부족으로 인해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으며, 특히 화재 발생 시 고밀도로 집중된 상가와 인화성 높은 물품의 대량 적재 등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건축형태로 인해 짧은 시간에 대형 화재로 번져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2005년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는 노후화되고 밀집된 건물과 인화성 높은 취급 물품 등으로 인해 화재에 대한 근본적인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는 전통시장에 대한 화재예방 실태 재점검, 시설 안전관리 및 대책마련 등의 필요성을 대두 시켰다. 전통시장 화재의 경우 무질서하게 자리 잡은 노점상과 좁은 통로, 진입로 주변의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소방차량의 접근이 어려워 초기진압에 실패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화재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통시장의 현황과 화재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화재 취약요인을 분석하여 화재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화재의 초기진압이 늦어지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진주시의 전통시장을 대상지로 설정하여 소방서(119안전센터)의 출동 거리와 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장 화재 발생 시 효율적인 초기진압과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시장의 안전성을 높이고 상인들과 시민들의 안전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는 세시풍속 중에서 식물(풀, 나무, 숲)과 연관된 민속을 발굴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서 숲속 활동 프로그램으로 작성,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세시기』, 『한국의 세시풍속』, 『우리 세시풍속의 노래』, 『한국민족문화대사전』, 『농가월령가와 월여농가 시』, 『한국의 세시풍속사전』 등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이들 문헌에 소개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경도잡지(京都雜志)」, 「세시풍요 歲時風謠)」, 「동경잡기(東京雜記)」 등을 집중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참조한 분량은 총 5,121쪽에 달한다. 식물과 관련되어 발굴된 민속은 총 388개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시기별, 주제별, 식물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기별로는 계절별, 월별, 절기별, 세시기별로, 주제별은 사상, 예술, 문학, 교육, 식생활, 생활(衣/住生活), 의약, 놀이, 기타 등 9개 항목으로, 그리고 식물별로는 목본과 초본으로 나눈 다음, 과별, 수종별, 식용약용으로 구분하고 출현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절별로는 봄>여름>가을>겨울 순, 월별로는 1월>3월>5월>6월>9월(음력) 순, 세시기별로는 대보름>단오>삼짇날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주제어별로는 사상>놀이>식생활 순이었다. 식물별 조사결과 목본이 등장하는 민속은 127개, 초본은 101개, 목본과 초본이 동시에 출현하는 경우는 54개 등 총 282개로 분석되었다. 등장하는 식물들은 과ㆍ종별로는 목본은 28과 69종, 초본은 30과 84종이 출현하고, 침ㆍ활엽수 분석 결과 활엽수는 23과 59종, 침엽수는 4과 6종, 대나무류는 1과 4종으로 나타났다. 출현빈도를 보면 목본 과별로는 장미과가 14수종 50개로 가장 많고, 수종별로는 69수종 중 소나무가 21개로 가장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미과의 빈도수가 높은 것은 꽃과 유실수가 대부분인 것을 감안할 때 관상과 식생활에의 관련성을 이유로 꼽을 수 있다. 초본의 경우 콩>벼>보리>팥>찰벼>고추>무>쑥>참깨>수수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다. 과별로는 벼과가 14종 76개로 가장 많은데 벼>보리>찰벼의 순으로써 주식이 쌀임을 감안할 때 높은 빈도수를 이해할 수 있다. 식용과 약용을 분류한 결과는 총 84종의 초본 중에서 식용은 15과 30종, 식용과 약용에 모두 쓰이는 초본은 14과 25종, 약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13과 18종으로 분석되었다. 세시풍속은 민족의 오랜 역사성을 지닌 전통문화로서 그 역사성을 통해 민족이 지닌 다양한 문화요소 및 민족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보여준다.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해서 각기 절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행동양식이나 생활모습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현장에서 필요한 숲속활동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그대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점에서 현장 활동가들이 적극 활용하여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지면의 제약상 각 민속별로 등장하는 식물들을 일일이 열거하지 못한 점이다.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기꺼이 제공하고자 한다.
10년 이상 자연 발효된 콩 발효 식품에서 희귀 이소플라본 성분인 7, 8, 4'-trihydroxyisoflavone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성분의 항산화 효과를 비효소적인 방법으로는 DPPH 법을, 효소적인 방법으로는 xanthine oxidase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7, 8, 4'-trihydroxyisoflavone는 농도 의존적으로 비타민 C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6.6 ± 0.4 μM 농도에서 xanthine oxidase에서 생성된 superoxide 라디칼을 50 % 수준까지 낮춤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희귀 이소플라본 성분은 UVB로 유도된 MMP-1의 생성을 초기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에 유용한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요한 세바스천 바흐가 사용한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이론적 인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에 관련된 관습 조명을 위한 기초 작업임과 동시에 이러한 관습이 빚어내는 바흐 음악의 '적절한' 템포 설정을 위한 이론적인 출발점이기도 하다.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관습들은 18세기 초 반 독일의 이론서에 담긴 논의들에 천착함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17세 기를 거치며 사라져가는, 그리고 결국 새롭고 현대적인 개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으로 대체 되어 가는 정량기호체계 이론의 잔영이 18세기 초 독일 문헌에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것이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 이해를 위한 근본적인 전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논문투고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