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양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의 안동식혜제조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보존하고 제조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안동식혜로부터 분리 선발한 균주와 종균협회에서 분양받은 젖산균들을 첨가하여 안동식혜를 제조하였다. 안동식혜의 숙성과정 중 성분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가장 우수한 L. delbreuckii를 선발하였다. 안동식혜에서 분리한 균은 초기에는 Lactobacillus의 간균이 많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Streptococcus의 구균이 많았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의 변화는 조단백질의 함량은 주발효 기간인 4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차차 감소하였고 pH는 급격히 감소하여 2일째 4.20이었으며 총산은 2일째 0.38이었으며 그 후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조성은 maltose를 포함하여 6종류였으며 또한 미확인 물질도 1개 검출되었다. Maltose의 함량은 4일까지 증가하여 76.4%였으나 그 후로는 감소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2일째 38.5mg%였으며 이며 식혜의 맛이 가장 좋았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및 aspartic acid였으며 methio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lysine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수용성 및 염용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rmic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경우 argi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은 linoleic acid 및 ole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총지방산의 90%이상을 차지하였으며 palmitic aci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cid protease와 liquefying amylase는 숙성 4일째, saccharogenic amylase 와 lipase는 숙성 2일째 가장 높았다.
화학증착법을 사용하여 다공성 Vycor 유리에 선택적 수소 투과성 실리카 막을 제조하였다. 화학증착에는 SiCl4의 가수분해 반응이 이용되었으며, 반응물인 SiCl4와 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주입하여 막을 제조하는 opposing-reactants film deposition방법과, 반응물을 다공성 유리관의 한쪽으로만 공급하는 one-sided film deposition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제조된 실리카 막을 통한 수소의 투과도는 600℃ 이상의 온도에서 0.01-0.25cm3cm2-min-atm의 범위에 있었으며, 수소의 질소에 대한 투과도 비는 1000정도였고, 온도의 증가에 따라 실리카 막을 통한 수소 및 질소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Opposing reactants film deposition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 막은 비교적 안정성은 높으나 수소의 투과도가 낮은 반면, one-sided film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하면 수소의 투과도는 높으나 안정성이 낮은 막이 얻어졌다. 이러한 실리카 막은 고온에서의 기체분리 및 분리막 반응기에 응용하기 위하여는 높은 선택적투과성 및 안정성이 요구되며 막 제조 조건 및 방법이 최적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Si(100) 웨이퍼를 사용하여 RTP 장비에서 O2와 N2O 분위기에서 8nm의 oxynitride를 제조 하였다. 기존의 로(furnace) 열산화막과 비교해서 oxynitride는 I-V, TDDB 특성이 우수하였고, flat-band voltage shift도 적었으며 BF2이온 주입에 의한 붕소 투과 억제 특성도 우수하다. 유전상수는 oxynitride가 열산화막에 비해서 크다. Oxynitride는 순수한 SiO2유사하게 V 〉Φ0 구간에서 Fowler-Nordheim 터널링 특성을 나타낸다. SIMS, AES, 그리고 XPS 분석 결과 질소 pile-up이 SiO2/Si 계면에서 나타나고, 이것은 oxynitride 산화막 특성 향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CeO2를 첨가한 Y-Ba-Cu-0 초전도체를 포정반응을 포함한 준용용법으로 제조하여 미세조직과 초전도성을 관찰하였다. 첨가한 CeO2는 포정반응중에 BaCeO3로 변화하였으며, 이 BaCeO3는 방향성 성장한 1-2-3 초전도상의 기지에 미세하게 분산된다. 초전도체의 TC는 첨가된 CeO2함량에 관계없이 90K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이는 준용융공정을 적용함으로서 제2상물질을 초전도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점토 광물로부터 황산 처리법을 이용하여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제조하였다. 하동 카올린 을 황산 처리하였을 때 수화 황산 알루미늄 형성에 미치는 카올린의 하소 온도와 하소 시간, 산처리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 및 황산의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황산 처리된 용액으로부터 수화 황산 알루미늄이 석출되는 최적 조건을 구하였으며,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상온에서 1200˚C 까지 각각의 온도 구간에서 열처리한 분말에 대해서 XRD, TG-DTA, FT-IR, SEM, 입도 분석 및 불순물 분석을 하였다. 최적 조건 하에서, 카올린 중의 알루미나가 수화 황산 알루미늄으로 생성되는 전화율은 약 60%였고, XRD, TG-DTA, FT-IR 등의 분석 결과로 부터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의 열분해 반응은 Al2(SO4)3·18H2O→Al2(SO4)3·6H2O→Al2(SO4)→ amorphous alumina→γ-alumina→δ-alumina→θ-alumina→α-alumina이었다. 또한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1200˚C에서 하소 하여 얻은 알루미나 분말의 순도는 99.99%였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槪念을 도입하여 戰略的 관점에서 한국기업의 해외투자 활동을 설명하고 성공적으로 해외투자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해외투자는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입하거나 시장에서의 지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戰略 수행의 일환으로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우위요소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우위요소를 창출하려는 노력으로 파악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기업간의 관계나 시장에서의 기업역할에 대한 分析을 통하여 해외투자 전략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 제조기업의 해외투자 전략을 설명한다. 둘째로 네트워크 槪念을 활용하여 해외투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 활동을 기술한다.
The flavor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Hongju prepared by Kokja and Koji method were tested.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of total acid in Hongju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The alcohol content of Hongju prepared by Koji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Kokja method and methanol content was very little as about 0.02~0.03 mg/ml in all samples. The aldehyde content was 7.5~32 mg% and fusel oil was higher in Hongju prepared by Koji method than that of Kokja method. As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new Hongju, S-N prepared by Kokja method with wheat and rice was to be best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of Hongju, a traditional spirit by traditional Kokja and Koji method based on different material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changes of temperature, pH, total acid, alcohol, total sugar and microflora in mash were analyzed.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the temperature in mash made by Kokja method was reached to 30℃, and that of Koji method was reached 3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by different treatments and the initial pH in Koji method was pH 6.0 and the final pH was 4.0. The content of total acid was higher in mash processed by Kokja method than that of Koji method. Alcohol content was higher in mash processed by Koji method. The content of total sugar in all samples were reduced gradually according to progress of fermentation. Yeast populations in all samples were increased up to 6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until 3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until the fermentation comple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ulsi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emusifiers and the pressure of homogenizer in coffee whitene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o obtain a standard emulsifier, the ratio of mono and diglycerides (Atoms 150), sorbitan monostearate (Span 60) and polyoxylene(20)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was 60 : 20 : 20 and the optimum quantity was about 0.9% for stable emulsion. 2. Characteristics as coffee whitner were markedly improved when the pressure of homogenizer was 200∼250㎏/㎠ and homogenizing times are over 4. 3. The good whitening capacity was showed when fat glouble`s average diameter was under 0.5㎛.
우리나라 전통 음청류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8세기부터 1940년대까지의 기록으로부터 주류를 제외한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옛 문헌에 기술된 음청류는 모두 70여가지로 집계되었으며 이들을 제조방법과 품질특성에 따라 순다류, 유사다류, 탕류, 장류, 숙수류, 미음류, 미식류, 식혜류, 수정과류, 화채류의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옛 문헌에서는 장(漿), 탕(湯), 청(淸), 다(茶)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밥을 유산균 발효시켜 물로 회석하여 만든 음료인 장(漿)은 신라, 고려시대에는 보편화된 음료로 보이나 오늘날에는 완전히 잊혀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의 음료는 18세기에 기술된 제조방법과 오늘의 제조방법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저압 화학 증착법으로 증착된 다결정실리콘에 As를 이온주입하여 As농도와 25~105˚C 범위의 측정온도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저항이 최대가 되는 적정 As농도가 존재하였으며 이때 비저항의 온도의존성면에서 활성화에너지 값도 최대를 보였다. Passivation공정후 감소된 비저항이 O2플라즈마 처리와 N2 분위기에서의 열처리에 의하여 회복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nhance nutritional value of whole crop corn silage and increase mixture levels of broiler excreta by adding of corn meal. Treatments were included non mixture(control), adding 10, 20, 30% of broiler excreta and adding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