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4565.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 포천지역 인삼재배지의 이화학적 성질 및 인삼의 엽 분석을 실시하여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및 엽중 적정 양분 농도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생근중은 우량포지가 불량포지에 비하여 안성지역이 2-5배, 포천지역이 1.5-2배 차이를 보여 동일 지역내에서도 큰 생육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인삼 생육에 관여하는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공극률(〉50%), 전질소(2.0-2.8 g/kg), 유효인산(500-900 mg/kg), 치환성 Ca(2.3-3.5 cmolc kg-1)이었으며, 포천지역에서는 액상(13%〈), 유효인산(400-650 mg/kg), 치환성 Ca(4.0-4.7 cmolc kg-1), 치환성 Mg(〈0.8 cmolc kg-1), 치환성 K(〈0.5 cmolc kg-1)로 나타났다. 특히, 안성지역에 있어서는 치환성 염기 성분비(Exch Ca:Mg:K)도 인삼생육에 관여하고 있었는데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의 값을 보였다. 엽중 무기양분 함량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P(〈0.25%), Mg(0.22%〈), 포천지역에서 N(1.8%〈), P(0.18%〈), K(1.5-3.0%)의 값을 보였으며 그 이외의 일부 엽중 무기양분 성분비에서도 적정 범위가 설정되었다.
        456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인 목본식물 20종, 초본식물 18종 총 38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식물계절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식물은 개엽, 개화, 낙화, 단풍, 낙엽 등 5개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종의 식물계절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상 자료는 2009년 11월 말부터 2010년 12월 초까지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기온은 향적봉-중봉 지역에서 최대가 30.4℃, 최소가 -20.3℃로 조사되었으며, 상대습도는 최고 100%, 최소 3.4%로 조사되었다. 덕유산 향적봉과 중봉지역의 개엽시기를 조사한 결과 박새, 산오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은 비슷하거나 전년도에 비해 6~20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개화시기는 식물계절 변화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른 봄에 개화하는 처녀치마, 산철쭉, 노랑제비꽃은 2차년도에 13일~20일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늦은 봄과 여름에 개화하는 백당나무, 풀솜대, 개시호 등은 2차년도에 6일~10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화시기와 단풍시기는 전년도에 비해 10일~18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엽시기는 전년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이 한반도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들에게 상당히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67.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조사는 2006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전라남도 동부지역 7개 시 군 14개 지역의 귀화식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22과 75속 118종 5변종 123종류가 조사되었다. 조사지역별로는 순천시 시가지가 83종으로 가장 많았고, 여수시 산업단지 66종, 여수시 시가지와 고흥군 도로변이 각각 52종이었다. 낮게 나타난 지역은 순천시 쓰레기매립장과 장흥군 농공단지가 각각 21종, 구례군 지리산국립공원 구례지역이 27종이었다. 도시화지수는 순천시가 30.31%로 가장 높았고, 구례군이 18.12%로 가장 낮았다. 과별 출현 종류는 국화과 37종류(30.1%)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13.8%), 콩과 14종(11.4%), 십자화과 8종(6.5%), 마디풀과 7종(5.7%), 메꽃과 5종(4.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군락, 원추천인국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서양민들레군락, 미국자리 공군락, 양미역취군락, 소리쟁이군락, 개망초군락, 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미국가막사리군락, 기생초군락, 돼지풀군락, 만수국아재비군락, 울산도깨비바늘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애기땅빈대군락, 미국개기장군락, 비짜루국화군락 등 총 20개 군락이 확인되었다. 생태계 위해 귀화식물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등 5종이었다. 생육지별 특성에 따라 시 군 읍 지역, 국립공원지역, 농공단지 지역, 강 및 하천지역, 쓰레기매립장 지역, 항만 및 산업단지 지역 등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한 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4568.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regional double cropping system for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The test results proved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10.9 ton ․ ha-1, the one of Rye + Red clover and Rye + Hairy vetch were the highest one as 3.3 ton ․ ha-1 and the relative yield about a Rye is higher in the dry matter yield in the field soil. And as for the relative forage values (RFV), Corn is the most excellent ones as 96.6 but there were n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of 84.4 and it.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in Rye + Hairy vetch is higher than others as 59.7%. As for the relative feed value, Rye + Red clover is the highest one as 83.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As for the ability to raise livestock in the field soil, the average values of KCP and KTDN are shown as 4.27 head/ha/yr in Sorghum×Sudangrass hybrid. As for the same crops, the average values of KCP and KTDN showed the highest ones as 1.74 head/ha/yr, in Rye + Red clover but there were n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r the dry matter yield of the rice field soil, organic rice straw was 3.3 ton ․ ha-1 and Rye + Red clover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values as 4.1 ton ․ ha-1. In the rice filed soil,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organic rice straw was 3.1% and the TDN content of organic rice straw was 55%. The TDN content in Rye + Red clover was higher than others as 59.7%. As for the relative forage values, Rye + Red clover showed the highest one as 83.8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As for the ability to raise livestock in the rice field, the average values of KCP and KTDN in the organic rice straw was 1.04 head/ha/yr and the average values of KCP and KTDNM in Rye + Red clover is the highest one as 1.84 head/ha/y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m.
        4569.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select the suitable sprout soybean varieties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 of southern part area, compares of excess moisture injury degree and yield ability among 29 sprout soybean varieties. Plant growth of sprout soybean was generally low in beginning and recovered after flowering due to rainfall. In paddy field cultivation, number of pod per individual and number of seed per individual were less in difference than upland cultivation, and maturing date was delayed 5-14 days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Whe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pest injury was not caused major problem for the growth during the vegetative period of soybean due to ground spider as natural enemy to insect pest. However, damage of stink bugs showed sever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and Dawonkong, Anpyeongkong, Dachaekong and Wonhwang-kong showed susceptible to sting bug. SMV infection was weak and showed some necrosis symptoms in Sokangkong, but black root rot was not infected at all. Bacterial pustule began to be infected slowly from pod enlargement stage in most species, displayed severe symptoms in Dawonkong, Pungsannamulkong, Seonam-kong and Sobaeknamulkong. The symptoms of pod anthracnose, pod blight and purple spot were greatly appeared after flowering. Disease resistance varieties was Paldokong, Kwangankong, Doremikong, Somyeongkong, Pungsannamulkong, Iksa-namulkong, Seonamkong, Sojinkong, Pureunkong, Bosugkong, Namhaekong and Sorokkong. Lodging index showed 3 in Saebyeolkong, and other species displayed slight lodging in 0-3 degree. 100-seed weight is 9.8-17.2g extent and increased 0.1-3.7g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but decreased in some species. Government purchase standard, species correspond to small-seed-size namulkong (Sizing screen diameter 4.0-5.6 mm) was Dawonkong, Dachaekong, Bosugkong, Seonamkong, Sokangkong, Hannamkong, Somyeongkong and Wonhwangkong. Species which seed yield was higher than Pungsannamulkong (266kg/10a) were Sorokkong, Hannamkong, Bosugkong and Sowonkong. Considering sprout soybean species, disease endurance, insect resistance, lodging resistance, 100-seed weight, yield ability and excess moisture tolerances synthetically, Seonamkong, Hannamkong, Doremikong, Bosugkong, Pungwonkong, Kwangankong, Sowonkong, Dagikong, Paldokong, Eunhakong and Pungsannamulkong were promising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
        4570.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ng distance trail or trail system planning is the first important step in transforming your vision into reality. Planning presents a vision for a trail or trail system and brings a comprehensive, long-range perspective. The master plan provides solid, credibl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a trail or trail system that is safe, convenient, well used, supported by local residents, practicality to implement, and customized to meet the needs of the community, you will need to follow a logical planning. The key elements of master planning includes site assessment, vision, goals and objectives, routing and design, implementation strategies. Trails or trail systems should provide linkages to popular destinations, safely accommodate a variety of users, and be sensitive to any negative impacts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ildlife. Trails planners also need to think about how the trail, or trail system will function in the future as areas are developed or trail population increases. All of these factors during the planning process will ensure the existence of high-quality facilities for years to come. Project for Nakdong-jungmaek trail planning combine long distance trail with circuit way. That project is a planning brought out the best in each of Tokai natural way and Cotswold way. That is planning which is combined a wooded trail in Tokai natural way with access and facilities improving economy in Cotswold way. Also That planning embraces a core cultural center which is concerned forest or wood to come more people.
        457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contribute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as a basic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in Aemirang Hill, Nakdongjeongmaek.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we set up 25 plots(100m2).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was used by TWINSPAN classification.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7 types i.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Betula davuric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re progressively transforming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at is called Pinus densiflora next succession stage. Whereas the communities that has dominant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did not appear a next generation succession tree such as Carpinus laxiflora, Carpinus cordata in the under story and shrub layer. Therefore, Aemirang Hill's ecological succession was to maintain the status condition. Aemirang Hill's diversity index is 0.5738 to 0.8906. It were analyzed that diversity index was lower than other places.
        457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e partial solar eclipse of 22 July 2009 across the Korean peninsular on surface temperature and ozone concentrations in over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BMR). The observed data in the BMR demonstrated that the solar eclipse phenomenon clearly affects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air temperature. The decrease in temperature ranging from 1.2 to 5.4℃ was observed at 11 meteorological sites during the eclipse as a consequence of the solar radiation decrease. A large temperature drop exceeding 4℃ was observed at most area (8 sites) of the BMR. Significant ozone drop (18∼29 ppb) was also observed during the eclipse mainly due to the decreased efficiency of the photochemical ozone formation. The ozone concentration started to decrease at approximately 1 to 2 hours after the event and reached its minimum value for a half hour to 2 hours after maximum eclipse. The rate of ozone fall ranged between 0.18 and 0.49 ppb/min. The comparison between ozone measurements and the expected values derived from the fitted curve analysis showed that the maximum drop in ozone concentrations occurred at noon or 1 PM and was pronounced at industrial areas.
        457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폭풍해일고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내에서의 범람모의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적용된 대상지역은 2003년 태풍 "매미" 내습 시 가장 피해가 컸던 지역인 경남 창원시 마산 합포구 신도시 지역 일부이다. 적용된 수치모형의 검증차원에서 태풍 "매미" 발생기간 동안 관측된 폭풍해일고 자료와 대상지역 내의 주요 지점에 대한 침수흔적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향후 발생 가능한 수퍼 태풍에 의한 영향을 분
        457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자유무역지역은 물류 기능에 생산 기능을 적절히 보완하는 복합형을 지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양만권 자유무역지역은 전통적인 물류 기능에만 집중되어 생산 기능 도입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은 미흡한 수준에 있다. 따라서 자유무역지역을 지역 및 국가 발전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능 강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생산 기능 도입을 통합 복합형 자유 무역지역 지향과 관리 운영상의 효율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적으로는 기존에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서측 배후단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생산 기능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자유무역지역의 확대 지정을 통한 생산 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효율적인 관리 운영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자유무역지역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자유무역지역 간의 중복된 기능을 단일화하고 통합 관리하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4576.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다. 17개시(광역시) 군지역의 52개소에서 주민 6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29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73과 157속 168종 2아종 11변종 1품종의 총 182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식용 129종류, 약용 41종류, 염료 3종류, 향료 2종류, 향신료 2종류, 관상용 2종류, 섬유 6종류, 유지 2종류, 기타 25 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전체,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4577.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시 군지역의 32개소에서 주민 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10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92과 222속 274종 2아종 29변종 6품종의 총 31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27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14종류, 유지 5종류, 향신료 5종류, 염료 4종류, 섬유 1종류, 향료 1종류, 연료 1종류, 기타 32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뿌리, 열매,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457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457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치일기예보와 관측 시스템의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안개 예측은 아직도 만족할 수준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지상 안개 관측자료(1998~2007)를 이용하여 충청지방의 안개 발생 특성과 안개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기법을 이용하여 계절별 안개예측 식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충청지역에서 연 평균 안개 발생일 수는 충주에서 56.5일, 추풍령에서 17.9일이 발생하는 등 강한 공간편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부분 지역에서 가을과 여름에 각각 최대와 최소로 발생하여 계절변동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안개의 발생은 주로 04~07시에 일어나고 지속시간은 약 3시간 반 정도이다. 다른 지역과 달리 서산에서는 바람이 강할 때도 안개가 발생하고 있어 이 지역에서는 이류무도 자주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수발생 유무도 안개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로지스틱 안개예측 기법의 예측 수준을 2008년도 지상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현재 기상청의 예보 수준보다 향상된 예보 수준을 보였다.
        458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의 12개 기상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간의 일최고기온 현황과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일최고기온의 발생과 상관관계가 높은 여타의 기후 요소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높은 평균 일최고기온을 기록한 곳은 시가지에 기상 관측소가 위치한 대구, 포항, 영천이며, 낮은 평균 일최고기온을 기록한 곳은 관측소의 해발고도가 100m 이상이며, 주변 지역이 산림과 농경지로 이루어진 봉화, 문경, 영주, 안동이다. 30년 동안의 일최고기온 변화 경향은 구미를 제외한 11개 지점에서 일최고기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미는 도시 지역으로의 기상대 이전과 주변 지역의 시가지화에 의한 토지 피복 패턴의 변화에 의해 미약하게나마 기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최고기온 형성에 있어, 당일의 기후 요소보다는 이전의 무강수일수, 전2일 일조시간, 전2일 운량이 일최고기온 값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누적적인 승온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상·기후 상태가 일최고기온 형성에 중요한 조건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