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양양송이축제 방문객들의 축제 방문 의사결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방문동기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획행동이론에 대한 분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감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 또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의도와 관련된 축제 방문객들의 의사결정 과정과 연구와 양양송이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s well as evaluatedoperation programs for Changnyeon festival participants. The purchasing rate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products at this festival were 63.6% and 49.1%, respectively, and the main purchased crops were onion (42.6%) and garlic(20.7%). Drinks (43.6%) were highly purchased processed products. The recognition (95.3%) and preferences (98.4%) forChangyeo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ere high at this festival. Subjects (72.5%) responded that public relations wereeffective for sale at this festival, and evaluation of the operation program for the festival was 3.51±0.74 (total score 5 points).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event (37.7%) and exhibition event (33.6%) were high at this festival program, whereasparticipants gave low rates for art exhibition and sale event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16.2%), cooking education(14.7%), direct education program (12.9%), and games (12.1%). This festival was an effective means of public relations,although purcha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estival is necessary for planning a program toincrease purch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recognition, preference, and purchasing characteristics for Changnyeong onions and garlic as well as festival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at agricultural product festivals in the Changnyeong region. Results showed that festival satisfaction of ‘place of festival’ was highest while ‘convenience facility & event contents’ earned the lowest scores. Most subjects (90.5%) had purchased Changnyeong agricultural and processed products. A major purchasing type was fresh agricultural products (66.7%). The pathways to recognize Changnyeong agricultural products were mostly ‘promotion by related institutions’ (22.0%), ‘family · relatives’ (20.8%), ‘mass media’ (16.6%), and ‘festivals and events’ (16.1%). The most considered factors for purchasing regional products were ‘geographical origin’ and ‘ingredients’. Changnyeong onion showed higher scores f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and rate of purchase experience and intention than for garlic.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onion and galic were 0.603 (p<0.001) and 0.598 (p<0.001), respectively. The explanation power (R2) of related variables for purchase of Changnyeong onions was 0.258. The regression coefficients (β) for ‘recognition’, ‘preference’ and ‘convenient facility & event contents’ were positive, where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price’ was negative. Recognition, preference, and convenient facility & event contents with garlic purchas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R2=0.253). The most effective promotion method to increase sales of Changnyeong agricultural products was ‘local festivals and events’ (27.8%).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 Korean food culture publicity event was conducted at Hayabusa Station, Tottori Province, Japa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recognition and preferences towards Korean food in participants at the event. The method of information acquisition was also analyzed. Most participants had prior experience eating Korean food. As for information,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 affected by public media such as dramas, and the most effective way of getting information was participating in lectur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intake of 20 kinds of Korean food and found highest preferences for bibimbap, kimchi, naengmyeon, and galbigui, in that order. The main motive for participating in the Korean food culture publicity event was a desire to experience a new culture. Further, satisfac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intention to recommend Korean food were high. These attitud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In the future, Korean food culture publicity events held in foreign lands can contribute to Korean tourism.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를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 및 홍보를 위하여 자체적인 전담기구 및 추진위원회, 조직위원회 등 많은 기구를 두고 운영 하고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이벤트사 및 기획사가 행사를 대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축제들이 관주도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선심성 및 선전용으로만 전락되어 축제의 본질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전문가를 확보하지 않는 상태에서 관 주도형 및 일부 몰지각한 회사들의 이익을 위한 축제들도 많이 등장하여 주민들의 혈세로 진행되는 축제의 예산의 낭비를 초래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 시점에서 제기하고 싶은 것 은 열악한 교육환경이다. 현재 대부분의 4년제 대학교와 일부 전문대학에서는 광고홍보학과에서 축제 이벤트 관련 교육을 일부 다루기는 하나 이벤트 기획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희박하며, 교육을 할 전문 인력 또한 부재하다. 이벤트 기획 및 실무 교육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며, 대학교와 대학원외 현 이벤트업계 종사자들을 재교육할 전문기관의 설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21세기 첨단 문화산업의 선구자로 우뚝 선 지역축제를 잘 선도하여 전문성 및 독창성을 갖고 각 지자체들의 특색을 잘 살려 관광객들을 많이끌어들여 지방 자립도 확립 및 살기 좋은 고장으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갖추어야 할 문제를 전문 교육에서 부터 출발을 해야 할 것이다.
문화관광축제는 축제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이 조성되거나 지역의 자율성이 확보되기도 하고, 전통 문화가 보존ㆍ계승되거나 축제에 의해 발생한 비용과 관광객의 소비지출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의 하나로 이러한 축제를 도입하고 있는 지자체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같이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전통 문화의 보존ㆍ계승 및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면에서 지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커다란 이벤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개최하고 있는 축제들은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 전략으로 외지 또는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힘쓰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웹사이트를 통한 홍보는 국경을 초월하여 축제의 정보제공 및 이미지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의 외국어 사이트를 설치하여 외국인 관광객에게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에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된 40개의 축제 중에서 대표축제(2개), 최우수 축제(8개), 우수축제(10개)의 웹사이트에서 외국어 지원 상황을 파악하고, 그 중에서도 일본어의 운영 상황 및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축제의 마케팅요소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전통적 마케팅 요소 4P와 서비스마케팅 요소 7P, 관광마케팅 요소 8P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지역축제의 마케팅 요소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축제 마케팅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지역축제 마케팅요소로서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People, Physical Evidence, Programming 등 7P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local festival's educational impact. And take advantage of local festival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factors that affects, local festivals, depending on the type, application factors and intention to revisi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rojects have identified the effect. So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needs of local festivals for the purpose is to recognize that. To this end, 2010 Cheongdo persimmon festival's visitors were surveyed. How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mmunity education of local festivals,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agr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ojects in local festivals factor effects showed positive effects. The results of ANOVA, type programs and performances of the factors exhibition programs, experiential program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intention to revisit, "will revisit" and "I do not know", "will not visit" and "I do not know" and "will not vis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se results, focusing on the needs of local festivals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proposed recognition.
삼척의 이사부 축제는 지역적 연고가 있던 이사부라는 역사인물을 현대의 축제의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대내적으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임을 부각시켰으며, 대외적으로는 독도를 비롯한 영토수호의 역사인물임을 드러냄으로써 범지역적 축제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창출해 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륵의 12기에 나타난 사자연행과 이사부의 목사자 전투는 진흥왕 이전 신라사회에 사자문화의 유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신라의 통용된 사자연행예술은 전쟁에서 강력한 무기로 존재했다. 따라서 이사부가 우산국 정벌에서 사용한 목사자는 당대에 신라에 유통된 외래문화였으며, 이후 사자는 여러 연행예술로 발전된 것이다. 둘째,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에서는 사자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이 이용되었다. 이것은 이사부의 해군부대가 우산국 전투에서 목사자의 전술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근거리에 접근하여야 했기 때문에, 고정형 목각양식으로는 우산국 사람들을 속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사부의 목사자는 고정형 목각양식이 아니라, 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사부는 삼척 강릉지방의 지역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과거 강릉단오제에 모셔졌을 뿐만 아니라 현재 삼척 오분동 마을에서도 모셔지고 있다. 이렇듯 1500년 전 역사인물 이사부는 지금까지 삼척 지역에서 신격화 되어 숭앙받는 역사적 인물인 것이다. 따라서 이사부 축제는 삼척 지역의 지역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축제의 이념적기반 위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삼척시는 이사부 축제를 국가의 외교문제와 연관시킴으로써 국가와 연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하였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은 울릉도를 생활권으로 하고 있는 독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2005년 일본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재정으로 고조된 한일 외교문제와 연관된다. 따라서 삼척시는 축제에서 이사부의 소재를 독도 및 해양에 확장시킴으로써 축제향유 계층을 국민으로 확장시켰으며, 더불어 국가차원의 지원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축제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삼척시의 이사부 축제는 기존의 지역 역사인물을 발굴하여 연결시킨 결과물이다. 이 과정에서 투영된 자치단체의 축제화는 이사부를 포장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취지 아래 다양한 국가사업과 연계함으로써 지역의 문화기반을 마련하게 된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축제만족도 및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허브축제의 계획 및 프로그램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0년 허브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2010년 남원허브축제는 운봉읍 용산리 일원에서 개최되었으며 허브홍보, 판매, 전시관 및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인근의 경관농업지구와 연계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다.지인을 통한 홍보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축제개최 인지방법이 달랐다. 방문객의 절반가량이 축제를 목적으로방문하였으며 바래봉 철쭉 감상을 목적으로 방문한 경우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였다.방문객은 축제 전반에 대하여 보통보다 약간 높은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행사내용, 서비스, 안내팜플렛, 볼거리,체험거리, 안내시설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There are 55 nations which accept Islam as a religion in the world. Among them Asia has the most Muslim popul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Muslims have a trend of spreading out throughout the world, and they have their own common festivals. Those are festivals called the Minor festive day and the Major festive day. These are the greatest festive days of Islam to be held from the 70 days after Ramadan finished. The festive days are called a mass worship service. These festive days become the spiritual connection point which the rich share beasts with the poor. Islam id begins from the point that Abraham offered a living beast as a sacrifice to God at the Genesis of the Old Testament. Id festival is the duty of all Muslims in the Islam world and is to show the mind to submit to Allah. Islam id is the festival to pray for service and achievement, the day of thanksgiving and celebration, the day of triumph, the day to collect the fruits of good deeds and service, and simultaneously the spiritual union and the festival to have the meaning that purifies the souls. Even if festival is kept by all people, it is the time when a patriarch kills a beast and share it with relatives and all people with pleasure. But that Abraham offered Isaac as a sacrifice contains the redemptive principle to redeem a life, that is, the symbol of Messiah to come. This is aimed to seek for the contact point of the Gospel in the Christian perspective through this Islam id festival. It is important for us to see the contextual communication to be united with the audience and the phenomenon to occur in the mind of a receiver for the cultural sharing and message sending. And through the ministry to be shown by action, instead of rejection symptom against the culture we can seek for the contact point. Above all things, we can send through the cultural situation in this festival of Islam, the form and meaning of culture, the core of the Gospel, and the redemptive death of a Lamb as a sacrificial offering by exchanging the religious information as a contact point to send the Biblical truth. We must make Islam id festival the opportunity of the Gospel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