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5

        34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33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in Yongin city by using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microbe inspection petrifilm (APC,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of food utensils during use. The 22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items about facilities, personal hygiene, food control, distribution, washing and disinfection had good grade but there were some inadequate behaviors on observation. The inspection results showed their sanitary condition met the level B of the recommendation of Korea method, it means sanitary management system get settled but more practical CCP system was needed. ATP bioluminescence assay was conducted on surface of food facilities, ATP ranged 425~2,552 RLU on gloves, 541~70,251 RLU on apron, 1,596~88,490 RLU on working desk, 1,177~263,813 RLU on sterilizer grip, 715~32,814 RLU on sterilizer shelf, 114~619,725 RLU on refrigerator grip, 677~319,007 RLU on refrigerator shelf, 71~196,725 RLU on freezer grip, 1,535~233,375 RLU on freezer shelf. APC ranged 66.7±29.0 CFU on freezer grip, 102.1±35.9 CFU on refrigerator grip, 45.4±28.2 CFU on heating cabinet grip, 58.8±40.4 CFU on sterilizer grip, the number of coliform group ranged 5.6±4.9 CFU on freezer grip, 9.1±8.7 CFU on refrigerator grip, 1.2±1.1 CFU on heating cabinet grip, 4.5±4.4 CFU on sterilizer grip. S. aureus ranged 8.0±5.6, CFU on freezer grip, 12.2±9.6 CFU on refrigerator grip, 2.1±1.6 CFU on heating cabinet grip, 11.6±6.4 CFU on sterilizer grip.
        4,000원
        34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effort to recognize and use nutritional labels on processed foods and restaurant meals to encourage dietary behavior. The subjects (n=976)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ffort group, n=711; normal group, n=193; and no-effort group, n=72) depending on level of effort for the healthy dietary behavior such as eating balanced meals, eating three meals regularly, and eating meals slowly. In the effort group,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for breads, ramen, noodles and fast foods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frequency of food intake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sala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effort group, the ratio of the respondents that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s and restaurant meals was 80.5% and 31.4% and the ratio of girls who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at their point of purchase was 71.1% and 24.7%, respectively. Reasons given for not reading nutrition labeling for restaurant meals were ‘not interested’ for 34.6% of the effort group, and 52.2% of the no-effort grou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program on healthy dietary behavior, including how to read nutrition labeling and establishment of proper body image perception for elementary school girls.
        4,000원
        34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dieticians’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via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0 school dieticians. Results revealed that all participants said that schools urgently need nutritional education, and dietary attitude and unbalanced eating habits were the most urgent matters to be addressed. They made various suggestions related to revitaliz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turning dieticians into nutritional educators, improving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receiving training on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so on. In response to their tasks, they considered bargaining with vendors and examination foods as the most burdensome tasks.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how participants were treated in their workplaces, all participants reported low job satisfaction due to excessive work, lack of promotion opportunities, and low salary. To improve this, participants recommended creating a task manual, strengthening their role as managers, increasing their salary, and so on. Therefore, institutional support is necessary for dieticians to efficiently handle their excessive workload. In addition,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dieticians can effectively carry out nutritional education needs to be created.
        4,000원
        34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health-related parameters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of subject of study (control group and sensitive group) in two schools. The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newly-built school and the school older than 5 years. Removal of indoor pollutan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volume rates (0%, 1.5%, 3%) of indoor plants inside 3 classrooms respectively. The chemicals of indoor environmental research were PM10,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and benzene), formaldehyde, temperature and humidity. ARIA (Allergic rhinitis impacts on Asthma) test was used to assess health effect for 151 students. Also, The variation of SBS symptoms for students in classroom was measured by intervention. With increasing volume ratio of classrooms, there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indoor pollutant and student's health scor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health score during the period of putting indoor plants,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placement of indoor plants at newly-built school classroom of indoor plants volume ratio 3%. From the results above, it could be tentatively effective newly-built school classroom of indoor plants volume ratio 3%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student's health score.
        4,000원
        34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2012년 2월6일 정부가 발표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의 내용을 검토해 보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 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과 한국사회 학교폭력의 실태와 효율적 대처방안으로 학교 구성원을 포함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의 실효적 보완을 통한 지속적인 실천, 보다 학교폭력해소를 위한 근본대책을 제시함을 목 적으로 한다. 학교폭력은 세계 각국의 공통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 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책을 제시 및 시 행하고 있으나 근절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학교폭력 은 점차 악화되고 있기까지 하다. 최근 학교폭력의 특징은 흉포화, 저연 령화, 강력화되어 그 심각성은 도를 넘고 있다. 특히 대구 중학생 자살사 건, 경산 고등학생 아파트 투신 자살사건, 대전 여고생 자살사건, 김해 여고생 폭행치사 사건 등의 일련의 자살사건의 원인에 학교폭력이 작용 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심각한 사회문제화 된 학교폭력-청소년비행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이 에 대한 원인 규명에 대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 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실질적으로 보호하며 가해학생을 엄하게 처벌한 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현행 학교폭력 근절대책에서는 피해학생과 가해 학생을 분리시키고 가해학생에게는 출석정지, 강제 전학, 퇴학과 생활기 록부 기재 등이 추가되는 등 처벌을 강화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학 교폭력은 예전과는 또 다른 양상으로 발전·진화하고 있다. 소수 특정학 생에서 일반학생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신체적 폭력 외에도 정서적 폭력, 언어폭력, 사이버 폭력, 성추행 등으로 다양해지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 치가 쉽게 전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나날이 진화·발전하는 학교폭력의 사전 예방 및 대처의 한 방법에 주목하여 학생,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의 다차원적 개입의 필요성과 피해회복, 피해자-가해자의 조정·화해 및 공동체 강화를 강조하는 회복적 사법이 학교차원에서 실천 적용될 필요 성을 제시하였다.
        34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4,500원
        34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총 11편의 지구과학 수업 녹화물을 수집하였으며, 모두 전사한 후,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특정한 인식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적 집합으로서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확인하였고, 그 특징을 인식적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 분석 결과를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구 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 중학교 과학 수업과 대안적인 형태의 과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과 같은 확대된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4,600원
        34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to determine the local foods they were aware of and their experiences with local foods. We also aimed to obtain more detailed measures for local food vitaliz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8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who stated that local food vitalization was needed for school food services, because it could be a foundation for securing safefood products, student healthi mprovem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consumption market. However, they were aware of a higher number of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 in school situations and indicated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food products as the biggest disadvantage. The most-suggested measurement items for local food vitalization in schools included improvement of the food distribution system, expansion of education, information sharing, prevention of monopolies, improvement of food-product quality, and mass produc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should invest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recipes and varied diets utilizing local foods. Therefore, system supplement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for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nd consumers, to efficiently introduce and vitalize local foods. It is also necessary to foster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trust-based relationships with producers to maximize the effect of system supplementation. This would be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health of students, improving food-service quality, nutrition management, and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in the future, and will positively affect students’ food consumption patterns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4,000원
        349.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로 설정하였다. 가설 1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가설 2 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안산과 화성 지역 중학교 1~3학년 남녀학생들이다. 질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고 225부를 회수하였으며 220부를 SPSS Statistic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외모만족도(가설 1)와 또래관계(가설 2)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F검정이 유의 미하게 나와 회귀모형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 기 위해서 학생 스스로 외모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만족도를 높이도록 하는 방안과 긍정적 또래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안을 더욱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5,700원
        35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해류 모식도 그리기를 통해 드러난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의 동해 해류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2명의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이 총 6시간의 해류도 관련 학습과 실습 과정을 거쳤으며, 사전과 사후 그리고 지연된 사후 동해 해류 모식도 그리기를 수행하였다. 또한, 작성된 해류 모식도를 수치화 과정을 거쳐 변환하여 이 해류 모식도에서 드러난 참여 교사들의 동해 해류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해 해류에 대한 참여 교사들의 사전 지식을 분석한 결과, 해류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 개념에 대해서는 잘못된 지식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3차에 걸쳐 작성된 참여 교사들의 동해 해류 모식도를 분석한 결과, 연수 후 동해 해류 양상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에 따른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수 직후보다는 지연된 사후 단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류도 실습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참여 교사들은 해류도와 해류 교육의 필요성,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교과서 해류도의 개선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습활동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내용 지식의 중요성 인식 및 교수 전략과의 연계, 중등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습활동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교과내용학 지식이 효과적인 과학 교수에 중대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5,800원
        35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교도소아버지학교라는 사회적 처우프로그램이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그들의 가족관계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인 실증적 모형을 통하여 다룬 논문으로 전국의 교도소에서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을 이수한 265명의 수형자들을 표본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에 들어와 교정복지에서의 가족복지 치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교정복지학계나 관련실무분야에서도 이러한 연구경향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교도소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교화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몇 개의 논문이 발표된 바가 있다. 하지만 교도소아버지학교 프로그램과 수형자 교정교화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조절변수를 통한 조절모형을 삽입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다. 교도소아버지학교 프로그램과 수형자의 교정교화나 가족관계의 회복에 관한 기존의 실증적 연구는 주로 인과 관계적 통계에서만 접근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교도소아버지학교 프로그램과 교정교화간의 기존의 인과 관계적 통계연구와 달리 인과관계모형은 물론 조절변수를 통한 조절모형을 삽입한 통계를 통하여 교도소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가족관계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접근하였으며, 바로 이점이 기존 논문과의 차이점이다.
        6,600원
        35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roduces good game design elements to consider for educational game. A suggested theory is applied on case study of educational history game development which was conducted by collaboration of game and education research experts. In the beginning of study, we seek for good game elements from the nature of play. We define and reorganize indigenous characteristic of play into two categories, Ludus and Paidia. Ludus is more oriented toward complex rule base game, and Paidia goes toward play attributes. We design and develop educational game based on suggested core design elements. At last, we observe how suggested good game design elements influences our educational game, addressing how to apply our design theory to the educational game development process.
        4,000원
        35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 type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s. A total of 11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receptive treatment group, productive treatment group and combination treatment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ocation task types o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each group of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a high proficiency group and a low proficiency group. The students took a pre-test before the experiment and a post-test after the experiment. After the post-test, the post-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were effective in learning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s; (2) in the delayed retention test,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asks o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learning lasted; and (3) the result of post-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learning collocation through collocation tasks had positive influence on most students in terms of raising their interest and increasing their self-confidence.
        6,700원
        356.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최근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근거리 작업이 증가하면서 성인에서 어린이인 초등학생까지 시력에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초등학교 시기는 성장변화가 빠르고 시력 또한 변화가 많은 시기로 적절한 시기에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목포시 소재 3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안과 폭주근점 부분 실태를 파악하여 목포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현황 파악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목포시 3개의 초등학교 전교생 남학생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대성초 293명 연동초 238명 용호초 281명 총 812명을 조사하였다. 굴절이상 측정은 A.R(Hubitz HRK-8000, 자동안굴절력계)로 측정하고 A.R 측정 결과 값에 구면 값의 오차는 ±0.50D 감안하여 −0.50D<~< +0.50D인 경우 정시로 구분하고 난시안은 원주 값의 오차 ±0.25D 감안하여 굴절 부분 이상으로 포함시켰다. 폭주근점 검사는 뽀쪽한 지시봉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1. 굴절이상안 학교별 분류 :3개 초등학교 굴절이상안을 학교별로 나눈 결과 대성초등학교 293명 중 정상안 85(29.01%)명 굴절이상안 208(70.99%)명 연동초등학교 238명 중 정상안 87(36.55%)명 굴절이상안 151(63.45%)명 용호초등학교 281명 중 정상안 100(35.58%)명 굴절이상안 181(64.42%)명으로 나타났다[Fig 1].2. 굴절이상안 학년별 분류: 3개 초등학교 굴절이상안을 학년별로 나눈 결과 1학년 127명 중 정상안 54(42.51%)명 굴절이상안 73(57.49%)명, 2학년 114명중 정상안 55(48.24%)명 굴절이 상안 59(51.76%)명, 3학년 121명 중 정상안 44(36.36%)명 굴절이상안 77(63.64%)명, 4학년 147명중 정상안 46(31.29%)명 굴절이상안 101(68.71%)명, 5학년 총 144명 중 정상안 35(24.30%)명 굴절이상안 109(75.70%)명 6학년 총 159명 중 정상안 40(25.15%)명 굴절이상 안 119(74.85%)명으로 나타났다[Fig. 2].3. 굴절이상안 성별 비 : 3개 초등학교 굴절이상안을 성별의 비율로 나눈 결과 남자 총 384명 중 정상안 136(35.41%)명 굴절이상안 248(64.59%)명 여자 총 428명중 정상안 136(31.77%)명 굴절이상안 292(68.23%)명으로 나타났다[Fig 3].4. 폭주근점 이상 : 3개 초등학교 폭주근점 부족안을 남녀 성별로 나눈 결과 총원 812명 중 747(91.99)명 65(8.01)명으로 나타났다[Fig 4].결론: 본 연구는 목포지역 3개 초등학교 학생들의 굴절 이상 실태 파악을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 초등학교 굴절이상은 학교별 비율은 비슷하게 나왔고, 성별은 여자쪽이 더 높게 나왔으며, 학년 별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굴절이상안 비율이 높아졌다. 목포지역 3개 초등학교의, 굴절이상안의 비율은 예상했던 결과 값 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사태의 심각성이 느껴졌다. 굴절이상의 경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안경원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정확한 교정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시력검사는 적어도 6개월에 한번 씩은 실시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본 조사 결과와 같이 고학년 일수록 굴절 이상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컴퓨터 작업을 통한 학업증가와 대부분의 학부모가 눈에 관련해서는 무관심한 사항이 아울러져 굴절이상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탔으며 안경을 착용하면 미용상 나쁘다와 안경을 착용하면 눈이 더 나빠진다는 잘못된 상식의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굴절 이상안 관련 문제는 규칙적으로 검사 해줄 필요가 있고, 폭주근점 검사에서 폭주부족의 비율은 적었지만 폭주 부족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시기능 훈련을 통하여 폭주부족을 완화시키기 위해 안 보건 차원에서 학생들의 시력을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전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357.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고등학교 출신 유형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의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 출신 학생으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 고교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학과적응은 이과 출신 학생들이 3.82로 문과 출신 학 생보다 다소 높았으나 그 외의 학과적응과 대학생활 적응도는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출신 학 생들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학과적응 중 정서적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항목의 적응도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으며(p=0.00), 이는 이과의 교육과정과 안경광학과에서 배우는 학문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과출신의 학생들이 다소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해 안경광학과 전공 학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되리라 사료된다.
        35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snack preference and the intake frequency of snacks with a primary focus on obesity index and snack preparations in upper grade (5~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719 studen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total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94.5 (full marks 125), and the scores of 7 factors cons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over 3.50(full marks 5.00). Overweight group had the lowest sco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0.01) and purchase group by oneself had a low score than the other groups in snacks preparation (p<0.001). Most favorite snacks were ice cream. Additionally, the snack purchase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ok group by family in 8 types of snack and a total score of preference (p<0.05~p<0.001). Milk and dairy products had the highest score in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purchase group by oneself or family was a higher than cook group by family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milk and dairy products but their explanation powers (R2) were very low.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mpact factor in snack preference and frequency of snack intake.
        4,200원
        35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with the actual status of accident occurrence. Furthermore it is try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fety education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412 students were taken from a random sample. The samples were one class of 2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four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9 September 2010 through 15 October 2010. An additional samples for the questionnaires posted in web were collected. The 305 respondents from school students and 80 respondents from web survey were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out of 800 respondent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4.56/5 for fire safety and 4.32/5 for traffic safety. Safety awareness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and also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t home gives a good impact on high safety practices. Safety awareness was improved by feeling of necessity for safety training. The safety prevention training provided during the class by teacher and home training by parents improved safety practice. The correct direction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er students can be easier in future.
        4,600원
        36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 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 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 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