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목적은 청소년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의사결정시 부모태도, 학 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변인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2020년 청소년인 고등학생 2,99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Stata 16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을 수행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의사결정시 부모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인 권인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아존 중감과 인권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인권인식 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의사결정시 부모태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인권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 었고,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인권인식에 정적 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권인식 증진을 위해서 교 육적 경험 측면에서 청소년들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어떠한 제도가 교육 현장에서 시행 및 개선되어야 하는지 고민 및 논의하였다는 관점에서 의 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군산 3.5 만세운동은 전북지역 최초의 독립 만세운동으로써 다른 지역 만세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미국남장로회는 군산, 전주, 익산에 기독교 학교를 세웠는데 이들 지역의 만세운동에는 이 학교의 학생들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군산영명학 교이다. 이 학교는 전킨 선교사가 설립하여 앞선 신학문과 기독교 정신을 가르쳤고, 3.5 만세운동 당시 교장이었던 인돈 선교사는 미국으 로 건너가 한국의 독립만세운동의 정당성을 적극적으로 알렸으며, 영명학교 졸업생이자 교사인 박영세는 3.5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이들 은 학생들에게 나라 사랑과 비폭력평화의 기독교 정신을 가르쳤고, 학생들은 3.5 만세운동에서 배움을 실천으로 옮겼다. 3.5 만세운동과 그 정신은 그 후 군산지역의 자발적인 만세운동으로 계속 이어졌다.
중국은 종교신앙의 자유를 보장한 한편으로는 종교정책를 통해 신앙활동을 강력간 섭하고 통제하고 있다. 종교로 인한 갈등이나 사건의 발발하는 것은 곧 정권의 위협 이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종교문제는 개인의 인권문제와 민족 갈등으로 자주 비화 되기 때문이다. 특히 성직자의 양성은 중국종교의 미래와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종 교 자체의 자율적 방식보다 종교학교를 통한 공적인 시스템을 선호하고 있다. 1949 년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로 새롭게 출발한 중국의 종교는 보장과 통제라는 기본 지 침 아래 통전부가 종교를 중점적으로 관리하였다. 그리고 종교학교의 설립은 이러한 국가 종교정책의 방향에 따라 획일적이고 균등한 방식으로 필요한 성직자를 정부 주도로 양성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가 인가한 5대종교협회는 각기 불학원(불교), 도교학원(도교), 경학원(이슬람교), 신철학원(가톨릭), 신학원(기독 교)을 설립하여 종교인을 양성하고 있다.이들 종교학교는 정부의 종교정책 방향에 따 라 그 역할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공표된 「종교원교관리판법」은 중 국 정부가 종교학교를 통해 종교인 양성을 일원화하고 공식화하려는 의도를 잘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군(軍) 교육훈련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군 교육사령부 산하 특기학교인 군수2학교를 수료한 교육생들을 대상 으로 이들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였다. 구체적 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했 다. 분석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 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군 특기 학교 수료생의 학습만족도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소수의 연구라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이론적 축적에 기여하고 있다. 나아가, 특기학교 교육의 효 율성·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perations of school food servic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schools nationwide. The survey data o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targeting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at 1,023 schools in 2020 and 1,177 schools in 2021 were used. The year 2021 saw an increase compared to 2020 in the following: ‘average days to be served with meals for a year (144.5 vs. 184.7)', 'provided meals to all students (92.3% vs. 96.6%)', 'utilization of additional staff for foodservice assistance (33.4% vs. 38.8%)', 'installation of partitions (61.2% vs. 83.8%)', 'provision of general diet (96.1% vs. 99.1%)', and 'use of kitchen utensils (91.3% vs. 95.1%)', 'use of cafeteria water cup (9.9% vs. 31.0%)' and 'use of drinking water in school (46.8% vs. 52.1%)'. Compared to 2020, in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stabiliz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ormal school attendance rate and that systems were in place for ope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manuals and special recipes necessary for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to operate a manpower pool that can quickly find replacement personnel if required.
본 연구는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에 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3학년인 9차(2018년) 자료에서 학 생 2,793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관련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의 분 류에서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아개념, 자기평가, 사회적 관계 요 인으로 보호자, 학교교사, 학교 특성/문화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평가, 학교풍토가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만족도 분류에 영향 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는 학교에 대한 평가가 가장 영향력을 가진 변인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사 수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학교풍토, 자아 개념이 분류의 중요한 의미 있는 변인이었고, 학교교사 수치가 낮은 집 단에서는 자기평가, 학교풍토, 학교에 대한 평가가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 다. 넷째, 학교에 대한 평가 수준 및 학교풍토가 바람직하고 좋으면 학교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 년의 학교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교육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 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구강건강교육 경험에 대한 미국 일부 아동의 반응을 살펴보 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주 S 지역의 J 공립초등 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에서 구강건강교육을 받은 1-2학년 아동 중 10명 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이들 아동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되었고 수집자료는 범주화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은 구강건강교육에 대한 저항 반응을 보였다. 둘째, 아동들은 치약의 불소, 가글 액 성분의 위험성에 대한 불안감, 혼돈의 모습을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구강건강교육 교육 자, 교육 방법에 대한 흥미, 구강건강과 건치에 대한 기대, 구강건강 관 리를 위한 결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치약 및 구강용품 의 안전성, 지속적인 아동건강 교육,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구강건강교 육, 취약계층, 낙후 지역 아동을 위한 구강건강교육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and weight determina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al safety area, which has the most frequent accidents, among the safety certification evalua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May 2021. As a preceding study, the evaluation items of the school safety evaluation checklist being implemented in the US state of Vermont were compared, and the causes of accidents judged by teachers in the accident experiences written by 200 Korean teachers were compared with the safety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belong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research literature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on safety ris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and safety evaluation index study cases of 539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donesia were analyzed. Through these preceding studies, measures to add and adjust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the validity and importance rankings of evaluation items were calculated through AHP questionnaires to teachers and safety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 ordinary people to verify the results of expert analysis. As a result of expert AHP analysis, 'safety education and disaster response training (.396)' was the highest priority f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 layer, followed by 'safety measures (.387)' and 'building materials'. Safety (.216)' was found to be the highest priority. In the overall importance ranking of the 13 second-tier screening it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had the highest priority and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ranked second, proving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view weight was underestimated. In addition, slip and collision accident countermeasures, which were not in the existing Ministry of Education review items, ranked 4th, laboratory practice room safety measures ranked 6th, and sanitation, cleanlines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nd cafeteria/cooking room safety measures ranked 9th,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importance. Referring to the importance ranking, which i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eight of each review item again.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고등학교 「금융과 경제생활」의 개발 절차, 기본적인 개발 방향과 주안점 등을 다루고 있다. 개발 과정에서 연구진 내부 회의는 물론 각론 조정팀, 현장 교사, 전문가의 검토 과정, 폭넓은 여론 수렴 등의 과정을 거쳤다. 주요 개발 방향은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교육과정 구성, 성취기준 및 학습량 적정화, 안정된 금융 생활에 필요한 역량 강화로 잡았고, 개발의 주안점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맞춤형 금융교 육, 범교과 학습 주제 및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반영, 융합 선택 과목의 취지를 반영한 통합적 접근 및 중복성 배제였다.
대한민국 교육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면 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학생들이 사회에 대해 배 울 수 있는 그룹 활동 교육은 축소되거나 중단되었고, 비대면 서비스기술 발전으로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서비 스를 탄생시켰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한국 초·중·고교에서 요구하는 집단 활동 교육을 비대면으로 체험할 수 있는 'Virtual School'(VS)이라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들이 사용하기 쉬운 VRChat과 3D 가상 환경 렌더링을 위한 Unity 3D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VS 플랫폼은 졸업식, 입학식, OX 퀴즈 등 다양한 활동 을 제공한다. 해당 플랫폼은 부산진고등학교에서 시범 운영되었으며, 메타버스 관련 비대면 교육 플랫폼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은 고대 동아시아 한자의 위상과 역할, 현대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교재의 현황, 한자교육이 뇌에 미치는 영향, 인성 정화, 외국어교육의 보조와 국민생활의 편의라는 관점을 종합 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한국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확립함에 있 다. 본문의 제1장은 고대 동아시아 문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제2장은 현재 한국의 한자 교육 문제를 요약하고, 제 3장은 현재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제 4장은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진술하였 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초등교육의 실제 상황에 기초하고 있 으며, 문헌의 정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 한자 교 육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e case of a school building, even though it is a regular structure in terms of plan shape, if the masonry infill wall acts as a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 it can be determined as a torsionally irregular building. As a result, the strength and ductility of the structure are reduced, which may cause additional earthquake damage to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structure similar to a school building with torsional irregularity was selected as an example structure and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PC-BRB was analyzed by adjusting the eccentric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sonry infilled wall. As a result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after seismic reinforcement, the torsional irregularity of each floor was reduced compared to before reinforcement, and the beams and column members of the collapse level satisfied the performance level due to the reduction of shear force and the reinforcement of stiffness. The energy dissipation of PC-BRB was similar in the REC-10 ~ REC-20 analytical models with an eccentricity of 20% or less. REC-25 with an eccentricity of 25% was the largest, and it is judged that it is effective to combine and apply PC-BRB when it has an eccentricity of 25% or more to control the torsional behavior.
본 연구는 일본 민주당 정권기에 이루어진 고교무상화 제도의 도입과 정에서 조선학교가 배제되고 자민당 정권기에 그 결정이 확정되기까지의 정치과정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연구 에서 주목하지 않은 국내정치과정의 행위자들-정부, 정치가, 시민단체, 언론-에 초점을 맞춰 정치적 동학을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 들을 보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한 점은 다음과 같다. 조선학교에 대한 고교무상화의 적용은 국제인권규약이 정하고 있는 고등 교육의 보편적 적용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서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조 선학교와 조총련, 북한체제와의 연관성이 부각되면서 안보적 측면이 중 시된 결과 배제로 확정되어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선학교 배제문제는 일 본사회의 마이너리티인 재일조선인에 대한 인권(교육권, 학습권) 측면의 문제였지만,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피해자 및 북송사업 피해자 등의 인권문제가 상대적으로 강조되면서 재일조선인의 인권에 대한 논의가 약 화되어간 과정이었다. 민주당 정권 초기 보편적 인권규범을 주장하던 정 치세력은 사회적 기반의 약화로 연계를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정부의 납 치문제담당성-보수계 시민단체의 연계가 해당 정책의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serving frequency of elementary school meal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Number of menus provided in June and July of 2019 and 2020 were compared for 300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s a result, the serving frequency of la carte and dessert was increased after COVID-19. In addition, frequencies of main dishes such as pork cutlet, chicken, sweet and sour pork, hamburger steak, and so on using processed food were increased after COVID-19. Because of the longer serving time due to staggered serving, cook's working time for serving meals became longer.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number of servings of processed food was increased rather than the menu with a large amount of preprocessing work. Moreover, among desserts, fruits showed increased serving frequency. Serving frequencies for juice and dairy products were also increased. However, increased servings of juice and dairy products could increase sugar intake. Thus, a careful plan for menu composition is needed to provide balanced nutrients to students unde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an infectious disease.
Following the social requirement to strengthen field supervision of the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ACM) abatement process with regard to asbestos school build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asbestos that may potentially occur after the ACM abatement process is completed. In the area where a series of asbestos abatement processes were finally completed, comprehensive area air sampling was performed. For sample analysi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as used according to The Asbestos Hazard Emergency Response Act (AHERA) method and Phase Contrast Microscopy (PCM)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irborne asbestos was detected in 29.5% of the total samples,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0.0039 ± 0.0123 s/cc (12.3 ± 38.9 s/mm2). 4.5% of the total samples exceeded the AHERA standard (70.0 s/mm2)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0.0528 ± 0.0256 s/cc (167.2 ± 82.0 s/mm2). Airborne asbestos was no longer detected at the point when AHERA is exceeded after re-cleaning. Most of the detected asbestos was chrysotile (94.4%) and the structure types of asbestos were Matrix (41.4%), Fiber (39.9%), Bundle (10.8%), and Cluster (7.8%). Among the asbestos structures detected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the asbestos structures satisfying PCM-equivalent structures were found to be 6% of the detected asbestos, indicating that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PCM analysis to check the airborne asbestos in that area.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tatus of airborne asbestos that may potentially occur and the type and dimensions of asbestos structure detected in the area, since the airborne asbestos exposure caused by poor field supervision for the ACM abatement process could not be ruled out, thorough management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scientific evidence for establishing and strengthening policies related to ACM abatement, including cases of school buildings.
Steel brace strengthening is the most popular seismic rehabilitation method for school buildings. This is because the design can be conducted by using relatively easy nonlinear pushover analysis and standard modeling in codes. An issue with steel brace strengthening is that the reinforced building should behave elastically to satisfy performance objectives. For this, the size of steel braces should be highly increased, which results in excessive strengthening cost by force concentration on existing members and foundations due to the considerabl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steel braces. The main reason may be the brittle failure mode of column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of steel brace strengthening and column failure mod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iciency is highly dependent on the shear capacity ratio of columns and structural analysis methods. School buildings reinforced by steel braces do not need to behave elastically when the shear capacity ratio is low, and pushover analysis is used, which means reducing steel material is possibl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DDL (Data-Driven Learning) approach on the English sentence writing ability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total of seven English textbooks were used to build a corpus. Five teachers were then asked to conduct five lessons using a weak version of DDL in their 6-grade EFL classrooms.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pre- and post-test and a pre- and post-survey, and a selected number of students and four of the five teachers ha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DL using the textbook corpus was found to be adequate for helping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sentence-writing ability. Second, DD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pper, middle, and lower level groups of students. Third, the students felt that DDL was neither unfamiliar nor difficult. Fourth, teachers with little teaching experience found it easy to conduct their classes using the DDL approach. This study implies that DDL is an effective approach to teaching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and can be useful for all levels of elementary students.
지구의 기후 변화를 유도하고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해양의 해류이다. 황해는 수심이 동해 에 비해 매우 얕고, 다양한 바람과 조류, 강물의 유입, 동중국해에서의 해수 유입 등 외력의 영향으로 해수의 순환과 해류가 상당히 복잡하다. 황해난류는 겨울철 황해의 대표적인 해류로서 겨울철 황해와 동중국해 바람 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황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에 큰 영향을 주어서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황해난류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류의 시 간 변동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황해난류가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연중 북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난류와 같이 여름철에 강하다는 잘못된 지 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난류는 해류의 세기가 강한 계절변동성을 가지는 북한한류와 달리 해류 자체가 연중 항시 존재하지 않으며 겨울철에만 발생하는 해류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오류는 북한한류가 겨울철에 강하다는 오개념을 가지게 된 연유와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해난류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탐구활동에서 활 용할 수 있는 황해난류에 대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황해 해수면 온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소개하 였고, WOA (World Ocean Atlas) 2018 해양 실측 수온 및 염분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성한 해양 수치모델 재분 석자료를 활용하여 수온과 염분의 공간 분포를 도시하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양 자료를 활용한 데이 터 시각화과정은 교사들의 오개념을 개선하고, 나아가 학생들과 교사들의 해양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데이터 리터러시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