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우도 전면해안에 대해 퇴적 및 침식이 우세한 두 개의 시험구를 설정하고 DGPS와 레벨을 이용한 정밀 지형측량을 실시하여 시험구 내의 지형변화량을 산출하고 동일 시점에 계측된 식생대 변동과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 전면에서 태풍이 내습하지 않는 시기에는 지형변동량이 0.1 m 내외였으나, 태풍이 내습한 시기의 지형변동량은 0.3 m 이상이었다. 이들 시기에서 식생대는 계속해서 외해방향으로 전진하였으
DNA methyltransferase 1 (Dnmt1) gene contains three different isoform transcripts, Dnmt1s, Dnmt1o, and Dnmt1p, are produced by alternative usage of multiple first exons. Dnmt1o is specific to oocytes and preimplantation embryos, whereas Dnmt1s is expressed in somatic cells. Here we determined that porcine Dnmt1o gene had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s (DMRs) in 5’-flanking region, while those were not found in the Dnmt1s promoter region. The methylation patterns of the porcine Dnmt1o/Dnmt1s DMRs were investigated using bisulfite sequencing and pyrosequencing analysis through all preimplantation stages from one cell to blastocyst stage in in vivo 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The Dnmt1o DMRs contained 8 CpG sites, which located in —640 bp to —30 bp upstream region from transcription start site of the Dnmt1o gene. The methylation status of 5 CpGs within the Dnmt1o DMRs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t each stage from one-cell to blastocyst stage in the in vivo or SCNT, respectively. 55.62% methylation degree of the Dnmt1o DMRs in the in vivo was increased up to 84.38% in the SCNT embryo, moreover, de novo methylation and demethylation occurred during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from the one-cell stage to the blastocyst stage. However, the DNA methylation states at CpG sites in the Dnmt1s promoter regions were hypomethylated, and dramatically not changed through one-cell to blastocyst stage in the in vivo or SCNT embryos.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DMRs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porcine Dnmt1o was well conserved, contributing to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genome-wide patterns of DNA methylation in early embryonic development.
지리산 구상나무 개체군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해발고별 구상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을 분석하였다. 지리산 거림계곡의 해발 1,000m에서 1,500m까지 6개의 조사구(400㎡)를 설치하여 분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구상나무는 site Ⅴ, Ⅵ에서 가장 높은 중요치를 나타냈으며 그 외 조사구에서는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에서는 site Ⅵ에서 구상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나타냈으나 다른 조사구에서는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하는 낙엽활엽수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10cm 이하, 11-20cm, 21-30cm, 31cm 이상) 분포에서 구상나무는 전 직경급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J자형의 분포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2000년 이후 구상나무의 연륜생장량은 site Ⅰ, Ⅱ, Ⅲ, Ⅳ, Ⅴ, Ⅵ에서 각각 1.002, 0.996, 1.752, 1.850, 1.198, 0.984 mm/yr로 site Ⅲ을 제외하고는 전체 연륜생장량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변동시점 분석을 통해 한국 상륙태풍의 빈도가 1981년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동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동아시아 대륙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되는 반면,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되어 결국 저위도로부터 한반도 부근 지역으로 남풍의 아노말리가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남풍의 아노말리는 아열대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을 한반도로 이동시키는 지향류의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동아시아 대륙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이전 봄(3-5월)동안의 적설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1981년 이전보다 적은 적설량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봄부터 시작된 동아시아 대륙의 가열로 인해 여름철 이 지역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발달할 수 있었으며, 결국 태풍을 한반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남풍 아노말리의 지향류가 형성될 수 있었다.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함량 20과 30%, 스크루 회전속도 150과 200 rpm으로 조절하고 배럴온도 160oC, 원료 사입량을 120 g/min으로 고정하여 압출성형하였 때, 압출성형 조건이 옥수수 섬유질의 화학적 특성(일반성분, 환원당 함량, 항산화 활성, 효소 반응성),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 물리적 특성(팽화율, WSI, WAI)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하여 환원당과 전분, 항산화 활성, 효소반응성, WSI가 증가하였다. 특히 수분함량 20%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효소반응성은 Viscozyme L에 대한 반응성이 더 컸으며, 특히 수분함량 20%,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효소반응성이 가장 높았다. 수분함량이 20에서 30%로 증가할 때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감소하였으며, 직경 팽화율과 WSI도 감소하였으나, 비길이 및 WAI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분함량이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t was investigated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atmospheric conditions around Dang-jin industrial complex in Chungnam area may be polluted by the constructing steel industrial complex. It is aimed at characterization of the fine particulate matter and other air pollutants involved in it. Samples were collected two sites for monitoring point representing steel industrial complex and one site which is placed a remote and secluded from this industrial complex, and the concentration of PM10, heavy metals, and ion compon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s, PM10 average concentration was 64.6㎍/㎥ for the adjacent site before Hyundai Steel Company, 70.5㎍/㎥ in Bugok immigration settlement complex, and 56.5㎍/㎥ for Jeonggok-ri contrastive point.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was detected as very low level for all sampling poi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evaluation for the heavy metal analysis, variation range of Cu, Mn, Ca, Fe, and Mg were significant higher than others. Also, the seasonal concentration change trend of heavy metals was remarkable strong in spring and low in summer because of instable meteorological phenomena such as yellow dust happened in spring. Monthly changing pattern of a sulphate ion has kept unusually high level for summer period different other components. Relationship among PM10, heavy metal, and ion component were analyzed that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PM10 between Fe, Mn, Pb, Ca, Mg, Cd, Al in order and PM10 between NO3-, Cl- successively.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a present atmospheric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 area of Dang-jin steel industrial complex is considered to be good level. Although air pollutants in emissions from their complex were below the existing emission limit, it is regarded tha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preserve clean air through atmospheric monitoring, source tracing research, and citizen's surveillance for the fine particulate matter.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 사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하고 있지만, 기존의 개발도상국에 실시된 교육정보화사업은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기존 체제이론을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발 방향을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체제이론을 이끌어 온 대표적인 학자인Banathy와 Reigeluth 연구를 바탕으로 체제적 설계모형의 공통적인 관점과 원리를살펴보고,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의 고려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체제이론에서 개선 및 추가해야 할사항을 도출하고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도출된 Systemic Change Model의 10가지 기본 방향은 기본적으로 해당국의 교육시스템을 총체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체제적인 관점으로 접근했다는 점,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 시행의 고려 사항을 정리하고 향후 개발될 모형의 가이드라인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후박나무의 분포를 규정하는 기후요인과 현재기후와 미래기후에서의 잠재 생육지를 CT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모델 구축을 위한 4개 독립변수로는 최한월최저기온(TMC), 온량지수(WI), 하계강수량(PRS), 동계강수량(PRW)을 사용하였다. CT분석을 통해 구축된 후박나무 분포 모델(Mth-model)에서 TMC(최한월최저기온)가 분포를 규정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TMC(최한월최저기온) -3.3℃이상인 지역에서 후박나무의 높은 출현확률을 나타냈다. 현재기후에서 한반도 후박나무의 잠재 생육지(PH)는 9,326km2로 예측되었으며, 3종류 미래기후 시나리오(CCCMA-A2, CSIRO-A2, HADCM3-A2)에서 61,074~67,402km2(남한: 58,419~61,137km2, 북한:2,655~6,542km2)로 예측되었다. 미래기후에서 잠재 생육지는 49~51%(남한: 49~51%, 북한: 2~5%) 증가된 면적이 예측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라 한반도 후박나무의 잠재 생육지의 확대는 난온대 낙엽활엽수림과 경쟁이 예상된다. 후박나무는 한반도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유효하다고 판단되며 잠재 생육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 6월부터 2011-7월까지 4년에 걸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에 위치한 휴경지를 대상으로 서식지 변화와 휴경지 내에 서식하는 곤충상과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곤충은 총 10목 32과 53종이 조사되었고, 잠자리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이 총 18.9%로 우점하였다. 식물은 총 23목 30과 60종이 조사되었고, 사초과(13.3%)와 벼과(11.7%)가 우점하였다. 본 조사지역에는 목본 식물이 유입되면서 천이가 빠르게 진행되고 수생식물의 서식지를 잠식해 육지화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서의 식식성 곤충과 산지성 곤충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꼬마잠자리의 서식지는 수심이 2.5~9.5cm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수면이 개방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지속적인 보전과 유지를 위해서는 생태특성을 파악하여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냉 난방공조 조건에서 예상 온열감 반응(predicted mean vote; PMV)의 변화에 따른 심리 생리적 감성반응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공조 시스템의 냉 난방 가동에 따라 PMV의 변화를 유도하고, 쾌/불쾌 및 각성/이완 정도를 심리적 감성반응으로, 심박률(heart rate; HR)을 생리적 감성반응으로 활용하여 PMV 변화에 따른 심리 생리적 감성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PMV 변화 범위 내에서 재실자의 심리적 쾌/불쾌 및 긴장/이완 반응과 생리적 반응이 공조 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난방과 냉방의 공조조건에 따라 재실자의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감성반응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각 공조 조건에 민감한 감성반응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실내 온열조건을 재실자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조절하고자 할 때, 인간의 심리 및 생리적 감성반응을 모두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alted Cabbage products purchased from different companies at 4 different districts in South Korea were detected in this study. Cabbage and salt are the main materials for kimchi manufacture. The results of general bacteria contaminated in the samples were 1.4 × 10^5, 6.4 × 10^5, 1.7 × 10^7, 3.6 × 10^7 CFU/g in cabbage and 2.7 × 10³ CFU/g in salt,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liforms were detected as 2.4 × 10⁴ CFU/g, and there was no Escherichia coli in any sample.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cabbage as 9.9 × 10², 8.0 × 10¹, and 3.0 × 10³ CFU/g, Bacillus cereus was also found in cabbage as 4.1 × 10³ and 1.0 × 10¹ CFU/g. The results of Campylobacter jejuni and Vibrio paraheamolyticus were 2.4 × 10^6 and 1.0 × 10⁴ CFU/g in cabbage, respectively. 1.0 × 10³ CFU/g for Yersinia enterocolitica was determined in salt. In case of Listeria monocytogenes, the results were 1.5 × 10¹, 1.1 × 10², and 4.5 × 10¹ CFU/g in cabbage. Total batcteria ranged from 1.4 × 10¹ to 4.4 × 10^5 CFU/g were detected in salting solution, from 1.5 × 10⁴ to 1.2 × 10^8 CFU/g in dehydrated salted-cabbage, from 9.4 × 10⁴ ~1.3 × 10^8 CFU/g in minced salted-cabbage. The results of E. coli in samples from different companies were different from one to anther. The results of the contamination of S. aureus and B. cereus showed positive in salting solution and dehydrated salted-cabbage at a portion of companies. V. paraheamolyticus was detected in salting solution. The contamination of Y. enterocolitica ranged from 9.5 × 10² to 1.8 × 10³ CFU/g in salting solution, from 1.7 × 10¹ to 2.7 × 10² CFU/g in dehydrated salted-cabbage, from 1.2 × 10² to 1.3 × 10^8 CFU/g in minced salted-cabbage. The contamination of L. monocytogenes ranged from 8.0 × 10² to 1.7 × 104 CFU/g in salting solution, from 2.8 × 10² to 1.2 × 10⁴CFU/g in dehydrated salted-cabbage. During the manufacture processing of Kimchi,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cabbages sal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alt solution at 8%, 10%, 12% and 15% for 5-20 hours. As the results, 3.5 × 10^5 -1.7 × 10^6 , 3.4 × 10^5 - 2.5 × 10^6 , 5.4 × 10^5 - 2.3 × 10^6 , 4.0 × 10^5 - 2.3 × 10^6 CFU/g were detected for E. coli in samples at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1.9 × 10⁴- 4.1 × 10⁴, 4.1 × 10³ - 2.8 × 10⁴, 1.5 × 10³ - 7.8 × 10³ , 2.2 × 10⁴- 6.6 × 10⁴CFU/g were detected for S. aureus in samples at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Salmonella typhimurium was detected in salted cabbage with various salt concentration after salting for 5 hrs, the result ranged from 2.5 × 10^5 to 3.8 × 10^6 CFU/g, and change of microorganism was the smallest in salted cabbage under the concentration of salting solution at 10% for 15 hours. The cabbage salted in 10% salting solution for 15 hours were washed with water for 2 and 3 times, with chlorine for 3 times, and with acetic acid for 3 times. E. coli was detected in the samples washed with water for 2 and 3 times, washed with chlorine for 3 times. The contamination of S. aureus was 3.0 × 10^5 CFU/g in the samples washed with water for 2 times,5.6 × 10³ CFU/g in the samples washed with acetic acid for 3 times, 3.6 × 10^5 CFU/g in the samples washed with water for 3 times and same amount in the samples washed with chlorine for 3 tim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ntamination of S. aureus was 5.6 × 10³ CFU/g lower in samples washed with chlorine and acetic acid than that in samples washed with water. In case of S. typhimurium, it has been detected in samples washed with water and chlorine, 3.0 × 10¹ CFU/g as the lowest concentration among all the samples was measured in the samples washed with acetic acid for 3 times.
본 연구에서는 하부박스형상을 변화시킨 단일 박스거더단면에 대하여 변장비 1:51:10의 범위에서 풍동실험을 통하여 동적응답특성을 고찰하였다. 거더의 단면형상변화는 직사각형 1종류와 사다리꼴 단면 2종류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를 정리하면, 와류진동의 경우, 변장비 1:5에서는 전반적으로 직사각형거더에 비하여 사다리꼴 거더단면의 연직 및 비틀림 최대진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알 수 있으며 1:7.5의 경우는 미소하나마 직사각형단면의 와류진동응답이 사다리꼴 단면에 비하여 안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갤로핑은 변장비 1:5단면중에서 사다리꼴 단면(B050-1단면)의 (+)영각 범위에서만 발생하였고 그 이외의 모든 단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비틀림 플러터는 1:5 및 1:10단면 의 (+)영각범위에서 발생하였고 단면형상변화에 따른 한계풍속의 변화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또, 변장비 증가에 따라 와류진동의 발생은 (+)영각범위로 제한되고 최대진폭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발산진동의 한계풍속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부박스거더의 형상변화에 따른 응답변화는 변장비가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작업수행과 시-지각 기능이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시-지각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지적장애 만 10세 남자 아동 대상으로 부모님의 동의를 얻어 총 15회기, 주3회, 30분, 1:1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하였다. 프로그램을 위해 사전 사후 평가로 운동 시-지각 검사-3(Motor visual perception test-3 ; MVPT-3)을 사용하였고, 작업수행 평가를 위해서는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을 사용하였다.
◉ 결과 : 대상아동은 동화를 통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원점수 28점에서 33점으로 만 6세 6개월에서 만 9세 6개월로 향상되었다.
◉ 결론 :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 기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이 있는 집단연구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ECHAM5 모델을 통하여 생산된 현재 및 A1B 미래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기후 자료를 미 환경예측 센터의 분광모델인 RSM을 이용하여 역학적 규모축소를 수행하였다. 현재 기후 모의는 1980-2000년 기간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미래 기후 모의는 2040-2070 기간에 대하여 CORDEX에서 제시한 동아시아 영역에서 수행되었다. RSM의 현재 기후 모의 검증을 통해 이 모델이 기후 관점에서 대기 상태를 적절히 모의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미래 기후 모의 결과를 현재 기후 모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결과, 여름철에 열대 해양, 남아시아, 일본 부근에서 강수가 증가하였으며, 겨울철에는 서북 태평양 지역과 열대 인도양에서 강수가 증가하였고 열대 동인도양에서는 감소하였다. 동아시아 강수의 기후장에 있어서는 미래 기후가 현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2050년 이후의 여름철 강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래 기후의 지상 온도는 현재와 비교해 볼 때 명확한 상승이 분석되었다. 대기장에 있어서는 미래 기후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한 반응으로 전체적으로 온도와 지위고도장이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상층 기압골이 발달함을 보였다.
히어리 대량급속증식법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발 근촉진제의 처리가 히어리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삽수는 6~8년생 실생 히어리로 부터 채취 하였으며, 발근촉진제로는 IBA용액, 루톤분의제 등을 이용하였다. 1차년도의 실험의 결과, 3월 20일 숙지삽 목에서는 발근촉진제의 효과가 없었다. 6월 20일 녹지 삽의 경우에는 IBA 100mg·L−1 용액 24시간 침적처리구 에서 발근력이 가장 좋았다. 특히, 경시조사결과 IBA100 mg·L−1 24시간 침적처리구에서는 발근속도가 현저 하게 빨라졌다. 2차년도의 실험의 결과에서는 IBA 200 mg·L−1 용액 24시간 침적처리구에서는 삽목 30일 만에 거의 모든 개체가 발근(97.8%)하였으며 발근수나 발근장도 타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