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조직들은 불확실하고 급속도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공을 위해 다각 도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조직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구성원의 자발적 지식공유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의 지식공유 딜레마를 해소시키는 요인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리더십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리더의 언행일치, 즉 행동적 진실성이 그간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리더의 행동으로 제시되어 왔지만, 이를 지식공유와 연결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아울러 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메커니즘에 중점을 둔 연구는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리더의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 관계를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친사회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육군 간부 329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계적 에너지는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관계적 에너지와 지식공유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부하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행동적 진실성의 간접효과 또한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더 강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적 진실성과 지식공유 두 변수간의 관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연구의 말미에 기술하였다.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적 측면에서 리더십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관계적리 더십으로써 포용적리더십이 주목받고 있다. 포용적리더십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서 개방성, 접근성, 이 용가능성을 보이는 리더로 정의된다. 최근 다수의 연구에서는 포용적리더십의 효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증하고 있다. 하지만 포용적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근거 및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또한, 리더십행동이 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상황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포용적리더십의 효과를 보다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황요인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그러나 포용적리더십의 상황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드물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30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리 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안전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권력거리가 높을 수록 포용적리더십이 심리적안전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이 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최고경영자에 대한 승계계획은 인력계획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로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왔으며, 선행연구들은 승계계획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다양한 성과 차원 중 특히 혁신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승계계획이 혁신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설명하고, 나아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시된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승계계획은 조직의 혁신변화와 유의한 긍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인력계획-경영전략 연계성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승계계획은 조직운영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를 높이고 이러한 조직 신뢰가 승계계획과 조직의 혁신변화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승계계획을 통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인력운용은 인력계획과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력계획과 경영전략의 연계성 강화 역시 승계계획과 조직 혁신변화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승계계획이 현재의 기업성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 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의 대기업들이 적극적인 글로벌전략을 추구하면서 다양한 국가에서 현지채용인들을 관리하는 이슈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A글로벌 기업에서 49개국에 위치하고 있는 해외법인의 현지채용인 9,0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지채용인을 대상으로 절차공정성이 조직동일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해외지사의 현지채용인들이 속한 국가문화가치의 다양성이 조직동일시와 절차공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Hofstede가 제안하는 각 나라의 문화가치수준이 조직동일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절차공정성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가치에 대한 국가수준 분석을 위해서 다수준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ing) 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현지채용인의 절차공정성 지각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조직동일시의 총 변량 중 67%는 개인수준, 33%는 국가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어, 국가수준의 영향요인 이 개인수준에서 조직동일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Hofstede의 4가지 문화가치 차원중 불확실성회피수준은 현지채용인의 조직동일시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주의 문화가치 수준은 절차공정성과 조직동일시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집단 주의 수준이 낮은 나라에서는 집단주의 수준이 높은 나라에 비해 절차공정성과 조직동일시의 정의 관계가 더 강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문화가치차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의 글로벌기업의 현지채용인들에게 있어서 절차공정성의 중요성과 문화가치의 중요성을 확인한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글로벌기업이 해외지사의 인력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각 해외지사의 집단주의 수준에 따라서 특별히 더 절차공정성 확보에 주시해야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ipe for water supply is essential part among SOC (Social Overhead Capital) fields. Pipe for water supply is mainly damaged by deterioration of pipe, earthquake, ground sinking and so on. The leakage of water have been led to enormous economical loss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flexible joint for relaxing impact due to earthquake and ground sinking. For this purpose, flexible joint was simulated using tensile load and internal pressure. As the results, flexible joint for structural stability was needed the tensile load of below 3 ton and internal pressure of below 60 kgf/cm2.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real flexible joint should be applied more high safety factor than that of simulation result because of combined stress.
본 연구는 해운기업의 핵심역량이 해당 기업에서 승선실습을 마친 실습생들의 만족도와 이것이 졸업 후 승선 기업선택 및 장기승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설정하여 위탁실습을 마친 실습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의 핵심역량에 해당하는 가치성과 지속성은 승선 실습의 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에 대한 영향력은 각각 32.4 %와 32.7 %로 나타났다. 둘째, 승선실습 만족도는 졸업 이후 승선기업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에 대한 영향력은 49.7 %로 나타났다. 셋째, 승선 실습의 만족도와 장기 승선간에는 4.5 % 수준의 낮은 영향력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승선기업 선택과 장기 승선 간에는 74 %의 높은 영향력이 형성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운기업은 선박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핵심 역량을 증대시키고, 우수한 해기인력을 수급받기 위한 실습생 만족도 향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듈형 LNG Tank의 외조를 구성하는 SCP(sandwich concrete panel)에 대해서 중속충돌시험기로 충돌시험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충돌시험에 사용된 시험체는 가로세로 각각 2m로 외조의 일반단면과 연결부단면의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51kg의 탄자를 설계기준에 규정된 충돌에너지를 갖도록 중속충돌시험기로 45m/sec로 이상의 속도로 가속하여 충돌시켰다. 이런 충돌시험을 두 차례 반복하고 시험체의 극한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충돌속도를 2배로 하여 충돌시켰다. 충돌시험의 수치해석 모델은 LS-DYNA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외측의 강판와 그 사이의 충진콘크리트를 고 체요소로 모델링하고 전단연결재는 보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강재의 재료모델은 탄소성 및 파단거동을 고려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재료는 CSCM재료로 모델링하였다. 해석에서 전면부의 충돌변형은 시험에서 얻어진 변형과 유사한 값을 얻었으나 후면부의 변형은 시험결과와 다소 작은 값을 보였다. 일반부 단면에 대한 2배속 충돌시험에서는 전후면의 강판이 파 손되었으나 해석결과에서는 전면부의 강판만 파손되었다. 수치해석에서 충돌에너지는 주로 충진 콘크리트로 전이되었는데 이는 이전 연구에서 보였던 고에너지를 가진 충돌의 경우와 다른 경향이다. 작성된 모델은 구조적으로 보수적인 결과를 보 이므로 실제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nt impact velocities and occupant injury indices under the restraint of an airbag and a seat belt, during frontal crash events.
METHODS : The frontal crash test data of 93 tests conducted according to the Korea New Car Assessment Program (KNCAP) were investigated. The test data was measured by using a dummy to obtain occupant injury indices for the head, chest, neck, and upper legs. Occupant impact velocities (OIVx and OIVz) were calculated from the head acceleration of the test dumm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nt impact velocities and occupant injury indices. In addition, the occupant impact velocities at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obtained by using the accelerations measured at the test vehicle's B-pillar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OIVx threshold obtained from the test dummies, which corresponds to the HIC15 of 700, was 70 km/h for a sedan, and 72 km/h for an SUV,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ccupant impact velocity of 44 km/h, the limit of the domestic guideline o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 for roadside safety facilities”. This differ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air bags and seat belts. Additionally, the OIVx threshold obtained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HIC15 of 700 was approximately 72 km/h.
CONCLUSIONS: Occupant safety performance criteria for the condition that airbags operate and seat belts are restrained, are required for the frontal impact tests of road safety facilities using a collision velocity of 60 km/h or hig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tacit knowledge, know-how, perception, and perception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o suggest management implications for corporat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xecutive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 representatives and staff in charge of organization should be able to access various information and contents through various routes about the work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should make efforts to freely communicate among members. Second, corporate representatives and organizational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using the traditional methods of communication within their work, but allowing more informed and inmates to do more off-the-job activities that can increase intimacy with each other. Third, corporate representatives and organizational practitioners should provide a situation in which they can acquire work knowledge in a variety of ways, but must devise communication methods to increase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value among members. Fourth, corporate representatives and organizational practitioners should endeavor to provide employees with educational support, family invitation events, awards and bonuses, and compliments that will make them more interested in their work. Lastly, corporate representatives and organizational practitioners are encouraged to maintain effective communication, employee pride, etc.,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work, achievement, quality and productivity of work, and high professionalism can be maintained. You will have to work hard.
본 연구는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인이 대상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상태’로 정의되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 으로 구분하였으며, 그중에서 긍정적인 향상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방어적 주인의 식이 향상적 주인의식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직장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관계를 향상적 주인의식이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상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방어적 주인의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 대다수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임파워 링 리더십을 통해 부여되는 권한, 자율성 및 책임이 오히려 구성원들의 신체적·심리적 부담을 유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직무과부하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를 가질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권력거리성향에 따라 부여된 권한, 자율성 및 책임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태도가 다를 것으로 가정하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과부하 사이에서 개인적 특성인 권력거리성향이 조절 및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및 조직에 재직하는 401명의 구성원에게 수집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과부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과 부하는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과부하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과부하의 관계에서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과부하의 매개효과에 대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간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는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권력거리성향이 중간인 집단 보다 낮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과부하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인 매커니즘을 살펴보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올바르게 기능할 수 있도록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인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 등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유용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structure and Charpy impact properties of FCAW(Flux cored arc welding) HAZ(Heat affected zone) of thick steel plates for offshore platforms was investigated. The 1/4 thickness(1/4t) location HAZ specimen had a higher volume fraction of bainite and finer grain size of acicular ferrite than those of the 1/2 thickness (1/2t) location HAZ specimen because of the post heat effect during the continuous FCAW process. The Charpy impact energy at -20 oC of the 1/4t location HAZ specim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1/2t location HAZ specimen because of the high volume fraction of coarse bainite. The Charpy impact energy at -40 and -60 oC of the 1/2t location HAZ speci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1/2t location HAZ specimen because the ductile fracture occurred in the fine acicular ferrite and martensite regions. In the ductile fracture mode, the deformed regions were observed in fine acicular ferrite and martensite regions. In the brittle fracture mode, long crack propagation path was observed in bainite regions.
이 논문은 네팔의 Tanahun지구 Vyas지역에서의 노동이주가 왜 나타났고 어떻게 남겨진 가족들과 커뮤니티에 변화를 이끌어 냈는지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눈덩이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샘플링된 175개의 이주가정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했다. 송금에 관한 심층적 정보와 송금과 남겨진 구성원들의 사회적 변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심 집단 토론과 주요 인터뷰를 시행했다. 송금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와 추론 통계를 시행하였다. 본 논문은 송금이 개인이주자들과 뒤쳐진 가계의 사회·경제적 조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주 가정의 경제적 지위향상, 가계들의 커뮤니티 발전 활동 참여, 그리고 가계의 사회조직 참여는 이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커뮤니티 단위에서의 삶의 조건, 사회변화 그리고 발전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이주 잠재력은 기존의 권력구조에 의해 만들어지고 제한된다. 송금이 표본의 사회·경제적 조건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지위는 이주 후가 이주 전보다 나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최종적으로 가계설문조사를 위해 이주 가족 구성원이 있는 175가구를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