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6

        12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amino acids and mineral compositions of the four major muscles (LD: longissimus dorsi, PM: psoas major, SM: semimembranosus, and GM: gluteus medius) from Korean native black goat (KNBG). Five uncastrated male KNBGs of 36 months of age were commercially slaughtered and the four muscles were sampled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myoglobin, collagen, amino acids and miner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myoglobin and collagen content among the four muscles. Myoglobin content of P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SM and GM. Collagen content of S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L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cystine and leucine concentrations among the four muscles, and PM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the two amino acids compared to other muscles (p<0.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K, P, Mg and Fe contents among the four muscles from KNBG. PM had the highest mineral content while the lowest mineral content was observed in LD. In addition, Fe contents of PM and GM were higher than those of LD and SM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mino acids and mineral content vary considerably with the anatomical location of muscle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4,000원
        12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urified amino acid (PAA)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imal slaughter house blood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weanling piglets. A total of fifteen, 28 days old, weaned pig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5 pens per treatment (one head per pen). Each experimental diet was provided to five piglets per group (T0, 0% PAA; T1, 0.1% PAA; T2, 0.5% PAA). The feed consumption was calculated daily and body weight on a weekly basis. The blood samples were analyzed for plasma concentration of biochemical parameters and cytokines using ELISA Kit assay. Pigs fed with the 0.5% PAA have greater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FE) as compared to those of T0 and T1. However, ADG and FE of T0 and T1 have no remarkable differences. The plasma cytokine levels were lower in T2 as compared to T0 and T1. The blood parameters like total bilirubin, blood urea nitrogen (BUN), glutamate oxal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all the treatment groups. The study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of 0.5% PAA have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weanling pigs. Moreover, supplementation of the amino acid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imal slaughter house blood has no adverse effect on palatability of the feed and health of the animals.
        4,000원
        12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hot melt extrusion (HME) processed Zn sulfat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small intestinal morphology and excretion of Zn in weanling pigs. A total of 200 piglets of mixed sex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s on the basis of initial BW (7.15±0.81 kg). There were five replicates in each treatment with 10 pigs per replicat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1) basal diet containing ZnSO4; 2) basal diet containing Zn-Methionine (ZnMet); 3) basal diet containing low level of nano-Zn as HME (ZnHME50); 4) basal diet containing medium level of nano-Zn as HME ZnSO4 (Zn-HME75). The average daily gain was improved by the ZnMet and ZnHME75 compared with the pigs fed ZnSO4 supplemented diets (p=0.009). Moreover, ZnHME75 and ZnMet affected on the ATTD of CP during phase 2 (p=0.014). The villus height (VH) was affected by increasing when pigs fed diets supplemented the ZnHME75 (P=0.044). The pigs fed diets supplemented ZnHME50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p=0.037) Zn content in liver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Zn content in the fec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in ZnSO4 and ZnMet compared with ZnHME50 or ZnHME75. In conclu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dietary Zn can be reduced by 25% with ZnHME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4,200원
        12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otyping-by-sequencing (GBS) is a cost-efficient method which can be useful for SNP marker discovery in a population of interest. GBS is genome reduction sequencing method using restriction enzyme. The quality of DNA is a key factor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in downstream analysi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impact of DNA degradation and the quality of the data on marker discovery. In this study, GBS data of 6 Hanwoo samples (H1~6) showing differing level of DNA degradation were compared. Re-sequencing pipeline was follow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NA degradation on marker discovery.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NPs were not affected in the sample H5 and H6 with moderately degraded DNA. On the other hand, marker discovery was greatly affected in samples with severe DNA degradation (H3 and H4).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pport that GBS is a robust genotyping method towards moderate DNA degradation.
        4,000원
        12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racteristic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iPS) cell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embryonic stem (ES) cells. However, exogenous genes integrated by using retrovirus delivery systems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ells. In a recent report, activation-induced cytosine deaminase (AID) and thymine DNA glycosylase (TDG) can induce pluripotency state in mouse differentiated cells through the process of DNA demethylation. Thus,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reprogramming factors may convert efficiently bovine differentiated cells into pluripotency state. So, genes of AID and TDG were integrated into pCMV6-AC-IRES-GFP-Puro expression vector, which was transfected into bovine differentiated cells. As results, the colonies derived from AID+TDG-induced bovine cells were formed on day 7 after culture. The number of AP positively colonies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ID-induced bovine cells (p<0.05). Additionally, expression of pluripotent genes (OCT-3/4, NANOG, SOX2) was slightly increased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as compared to AID-induced bovine cells. Protein expressions of OCT-3/4, NANOG and SOX2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ere slightly increased rather than AID-induced bovine cells. Finally, DNA demethylation in the promoter regions of pluripotent markers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as increased than that of AID-induced bovine cells. In conclusion, pluripotent stem cells could be efficiently produced from bovine differentiated cells by using non-integrating delivery system with the reprogramming factors (AID and TDG).
        5,200원
        12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ss-related metabolites and hormones in blood and compared the muscle structure to identify the reason for blood splash in Hanwoo beef. Five slaughter hou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gion (Seoul, Gimhae, Jungbu, Naju, and Goryung) and a previous blood splash record. In total, three-hundred eighty blood samples (n=380) and forty-two muscle tissues (n=42) of control and blood splash Hanwoo beef were collected during the slaughter process and beef grading. Blood metabolites were analyzed including glucose, lactate, creatinine, urea-N, and hormones such as cortisol and thyroxin. Muscle fiber, fiber bundle, and capillary wall thickness were measured under microscop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lactate, and urea-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samples. Cortisol and thyrox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samples. In contrast, the creatinin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blood splash sample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muscle fiber, bundles, and capillary wall thicknes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tissues. In conclusion, blood metabolites, hormones, and muscle fiber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animal. However, increased creatinine levels may be used a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blood splash prior to slaughter in Hanwoo.
        4,000원
        12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ve chemical inhibitors on methane production of the pure cultures of methanogens. To examine the methanogenesis inhibition by 2-bromoethane sulfonic acid (BES), 3-bromopropane sulfonic acid (BPS), lumazine, propynoic acid and ethyl 2-butynoate, they were added into the pure cultures of Methanobacterium formicicum KOR-1 and KOR-12, Methanoculleus bourgensis KOR-2, Methanosarcina mazei KOR-3, KOR-7, KOR-9 and KOR-10, Methanosarcina vacuolata (DSM 1232), Methanobacterium bryantii (ATCC 33272), Methanosarcina mazei (ATCC BAA159) and Methanosarcina barkeri (ATCC 43240). Each methanogen was anaerobically incubated at 39℃ for 6 and 10 days, and then methane gas production was measured. All methanogens were sensitive to BES, lumazaine and ethyl 2-butynoate and as the addition levels of the chemicals increased, the methanogenesis was linearly reduced. BPS and propynoic acid failed to inhibit any of the methanogens.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among species of methanogens regarding their sensitivity to the different inhibitors. In general, the strains of Methanosarcina species were the most resistant to BES, lumazaine and ethyl 2-butynoate and the strains of Methanobacteriales order the least resistant. The different resistances to chemical inhibitors may be caused by different cell membrane structure, substrate utilization for methanogenesis and competition with other microorganisms for electron receptors. In conclusion, differences among methanogens habituating in anaerobic ecosystems, such as the rumen of ruminants regarding their resistance to chemical inhibi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strategies of inhibition of methanogenesis are designed.
        4,300원
        12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eeding fermented milk on growth,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suckling pigs. A total of a hundred birth piglets (Landrace×Yorkshire×Duroc)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eeding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suckling period that ten pigs per sow. Fermented milk contained 3.0×108/g of Bacillus and 3.5×108/g of Lactobacillus, and was supplied by top dressing method.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indicated tendency to increase weaning body weight (p=0.052) and average daily gain (p=0.094). Total microbial flora and Escherichia coli in the feces were lower (p<0.05)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non-feeding group. Reversely, Lactobacillus was higher (p<0.01) in feces of the pigs fed fermented milk than the pigs of the control group. Hydrogen sulfide emitted in feces was decreased in feedi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Similarly, fecal total mercaptans was diminished in the feeding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1). Therefore, the fermented milk fed to the sulking pigs may improved growth and can influence positively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4,000원
        12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pplementation level of beta-mannanase in the diet of laying hens. A total of 320 Hy-Line Brown layers (80 weeks of age) were assigned randomly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laying performance. Each treatment had eight replicates with 10 birds each (80 birds per treatment). Two hens were caged individually. Treatments wer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0.04, 0.08, and 0.16% beta-mannanase during the nine-week feeding period. Laying hen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eta-mannanase had increased (linear, p<0.05) overall egg production and egg mass. In addition, these hens had greater retention of dry matter, crude protein, gross energy, calcium, and mannan (linear, p<0.05). Dietary beta-mannanase treatments had no effect on blood metabolites such as total carbohydrate, triglycerides, glucose, total protein, and blood urea nitrogen, or excreted ammonia nitrogen and volatile fatty acids. The results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mannanase has the potentia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The optimal supplementation level is 0.04% beta-mannanase in the diet.
        4,000원
        13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gut health of broiler chickens when a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tienzymes was added to diets, containing different energy levels. A total of 480 broiler chickens of similar body weight (Ross 308, 1-day-old) were randomly subjected to four treatments.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supplemented with: multienzyme (amylase+protease+ mannanase+xylanase+phytase), 0.05% enzyme, and different energy levels (3010 and 3060 kcal/kg).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the chicks in a mash form for 35 days in two phases (1–21 d, phase I; and 22–35 d, phase II). During the overall period, chicks fed with diets supplemented with multienzymes had a better weight gain (p<0.05)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ose fed with diets without enzym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 and FCR among the chicks fed with diets supplemented with enzymes, even though the dietary energy levels were different. The apparent fecal and ile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gross, crude protein, calcium, and phosphoru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p<0.05). The population of cecal and ileal Lactobacillus sp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diets supplemented with enzymes.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in the small intestine was also significantly enhanced (p<0.05) in diets supplemented with enzymes. In conclusion, multienzyme supplem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weight gain of broilers, FCR,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biota.
        4,200원
        13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은 발생 시 전염이 쉽게 일어나며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구제역의 방역정책은 발견 직 후 빠른 살처분이 최선책이나, 전파 속도나 상황 등에 따 라 타지역 백신 접종 등의 방법을 시행할 수도 있다. 이러 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제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필요성이 있다. 개발된 진단법들은 구제역의 확진, 혈청형의 동정, 백신 접종 후 항체의 생성 확인 등에 사용 된다. 많은 진단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아직은 빠른 시간 내 에 검출이 가능하며 동시에 정확성도 가진 방법이 드물다. 그렇기에 기존의 방법들을 개선시킨 새로운 진단법이 필 요하다. 현재는 대부분 혈청학적 진단법인 ELISA에 의존 하거나 분자 유전학적 기술인 PCR을 사용한다. 가장 최근 기술은 그 둘을 합치는 방법으로, 어떻게 하면 더 신속하 고 저비용이면서, 민감하고 정확한 방법이 될 수 있을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5,400원
        13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청을 이용한 분석은 다양한 질병 진단의 지표로 이용 된다. 혈청의 분리 방법, 저장시간 및 온도에서 부적절한 혈액 처리는 사이토카인의 농도와 생화학 검사결과에 영 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를 공시하여 혈청 분 리 시기, 저장 시간과 온도가 사이토카인 및 생화학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혈액은 경정맥에서 채 취하여, 26±3℃에서 1~2시간 방치 후 분리조건을 다음과 같이 4개의 그룹 (a-d)으로 나뉘어 진행하였다. a) 혈청 분 리하여 보관(대조구), b) 혈청분리 후 아이스박스 2시간 방 치 후 보관, c) 아이스박스 2시간 방치 후 혈청분리, d) 24 시간 4℃ 방치 후 혈청분리, 이러한 조건으로 분리된 혈청 은 분석 전까지 –70℃ 보관 하였다. 혈청 분리시기, 아이스 박스 또는 4℃ 저장 시간 및 온도에 따라 IFN-γ는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TNF-α의 농도는 그룹 a-c에 비 해 그룹 d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아졌다. 또한 albumin, total protein의 농도는 그룹 a보다 d에서 유의적 (p<0.01)으로 높았고, magnesium, calcium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p<0.05). 그러나 G-GTP의 경우 다른 그룹에 비해 그룹 d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낮아졌다. 그러 므로 시료채취 시 농가와 실험실의 거리를 고려하여 온도와 저장시간이 혈청 내 사이토카인 및 생화학 농도에 미치 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연구 수행을 진행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양돈장 악취저감 효과를 분석 하기 위하여 물리적 처리 방법인 커튼과 화학적 처리 방법 인 오존수 분무를 병합처리 하는 오존수커튼 시스템을 상 업적인 양돈장에 설치하고 처리 및 설치 전․후의 악취발생 특성과 악취저감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존수커튼 시스템은 돈사내부의 악취물질과 먼지를 배기구를 통해 커튼 내부로 포집 후 오존수의 강력한 산화 력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안정적인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임을 확인하였다. 오존수커튼 시스템 설치 후 돈사 내부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농도가 높은 반면, 커튼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 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악취발생량 또한 크게 감소되 었다(p<0.01). 측정위치별 악취물질농도와 악취발생량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모두 계절에 관계없이 돈사 내부, 커튼 외부 및 부지경계선 순으로 높았다(p<0.01). 돈사 내부의 악취물질 농도는 환기량이 적은 봄과 겨울에 높고 환기량이 많은 여 름과 가을에 낮았으나, 돈사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의 악 취물질농도는 돈사 내부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양돈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은 오존수커튼 시스템에 의한 물리화학적 처리로 90% 이상 저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양돈장 외부로의 악취물질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악취민원 제거를 위한 효율적인 악취저감시설로 활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기 때 사료 내 다른 에너지 수준 및 비테 인 첨가 급여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삼원교잡종(L×Y×D; initial body weight, 73.5±0.5kg) 거세 수퇘지 12두를 사용하였고 대사틀에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은 고온기인 7~8월에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에너지 2수 준(3,300 및 3,400kcal/kg)과 비테인 2수준(0 및 0.5%)이며 4×4 Latin square로 하였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고에너지 사료(3,400kcal/kg)가 저에너지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다(p<0.01). 그러나, 비테인급여는 영양소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에너지 수 준 및 비테인 첨가가 육성돈 내 생리적 변화를 보이지 않 았다.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혈중 IgG에서는 고에너지 사료 가 저에너지사료보다 높았으나(p<0.05)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cortisol농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고, 비테인 첨가급여는 IgG 및 cortisol 농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비테인 첨가급여보다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돼지 체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여 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는 돼지 사료 내 고에너지를 급여 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후 더 연구해 볼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의 전장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 다형성(SNP)에 대해 DNA chip 분석을 통해 각 개체의 유 전자형을 파악하고, SNP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강원도에서 사육되고 있던 한 우 거세우 139두의 조직을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였으 며, Bovine SNP50K BeadChip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에 사 용 가능한 최종 35,769개의 SNP 표지인자를 얻어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SNP 표지인자의 총 길 이는 2499.26Mb이었고, 전장 유전체에서 평균 대립유전자 빈도(MAF)는 0.273이었으며, SNP 표지인자간의 평균 거 리는 0.060과 0.082 사이에 분포하였다. 강원지역 내 한우 거세우를 이용하여 확인한 본 실험 결과는 기존의 전국의 한우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50Kb 이하로 인접한 거리를 갖는 SNP 표지인자들의 연관 불평형 값(r2)이 0.2 초과인 인자가 34%로 나타났다. 또한 SNP 표지인자간 거리가 멀수록 측정값이 떨어지는 지수형 식의 그래프를 보였다. 염색체별로 구분한 40kb 이하로 인 접한 SNP표지인자의 연관불평형 값(r2)은 0.2 이하로 나타 난 것이 총 7개(13, 15, 19, 23, 25, 28, 29번 염색체)였다. 종 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강원한우의 유전적 개량을 이 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유전적 개량을 이용한 육종시스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동물용 섬유질배합사료(TMR) 제조업체 의 사료안전관리 인식 및 사료 중 위해인자 오염도를 조사 하기 위해 138개소 TMR 제조시설을 대상으로 약 10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표는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및 신뢰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TMR 제조시설의 평균 일 일 생산능력은 81.38톤 이었다. 평균 개업연도는 2004년 및 종사인원은 13.7명이었고, 유통경로는 직접거래가 80.4%로 가장 많았다.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도입은 사료안전관리의 제도적 여건이 조성된 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사료안 전정보 제공 및 공유가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사료안전성 및 위해물질 관리에 가장 취약한 분야는 곰팡 이 독소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료 제조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위해인자는 쇠, 파편, 흙 등과 같은 이물질로 나타 났다. 사료 중 위험인자 오염도 조사에서 카드뮴, 비소 및 셀레늄은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 일부 조사되었고, 오크라톡신류 및 아플라톡신류는 허용범위내로 조사되었 다. 잔류농약, BSE, 푸모니신 및 살모넬라는 검출되지 않았 으며, 멜라민 및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은 각각 11.35ppm 및 5%로 최댓값을 나타냈다. 규모별 TMR 제조시설의 사료 내 위해인자 오염도는 규모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같은 규 모 내에서도 제조시설에 따라 위해인자의 검출량이 다르 게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에 비해 중규모 및 대규모에서 위해인자 검출량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결과 TMR 제조시설의 사료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 기 위해서는 사료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및 공유가 정책적 으로 제도화되어야 하고, 사료 내 발생하는 곰팡이 독소방 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사료관리법의 강화와 원료 공급 처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도입을 의무화할 필 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600원
        13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experiment field at Hoengseong from March to July 2015 to evaluate the seed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oats (Avena sativa 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eeding date. The experiment was arranged randomized complete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three seeding dates (12, 22 March and 2 April). The emergence and heading of oat showed a tendency to accelerate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while the number of days taken for the flowering after the heading remained unchanged. The plant height, panicle length, number of culm, and number of panicle all tended to decrease with the delay of seeding date. The seed yiel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3.55 ton/ha in 12 March and 2.38 ton/ha in 2 April (p<0.05). The dry matter yield also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12 March and 2 April which were 6.57 ton/ha and 4.56 ton/ha, respectively (p<0.05). The feed value measured as CP (crude pretein),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DMD (dry matter digestibility)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eding date. In the case of RFV (relative feed value), a decrease with the delay of seeding date was observed but only an insignificant difference (p>0.05).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production of roughage but that of the seed, cultivation was in the full-ripe period, hence a relatively low feed value.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ropriate seeding date for a spring cultivation of oats for the purpose of seed production in Hoengseong is in early March regarding growth characteristics, seed yield, and feed value.
        4,000원
        13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4년 7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제주 한국마 사회 제주육성목장(해발 450m) 시험포장에서 여름 동안 생산성이 유지될 수 있는 남방형 목초를 도입하여 재배에 이용하기 위하여 Bermudagrass 품종(Cynodon dactylon (L.) Pers. : Giant, Cheyene, Mohawk, Panchero Frio, Common) 과 Bahiagrass 품종(Paspalum notatum : TifQuik, Tifton 9, Argentine), 그리고 Teff grass(Eragrostis tef : Tiffany) 품종 의 생육특성 및 건물 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10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 하였다. 1차년도 1차 수확은 8월 31일, 2차 수확은 9월 21일이며 2차년도 1차 수확은 7월 22일, 2차 수확은 8월 14 일, 3차 수확은 9월 11일로 성장단계를 고려하여 수확하였 다. 1차년도 남방형 품종의 건물 수량은 Teff grass의 Tiffany가 산파와 조파 각각에서 2.59와 2.00Ton/ha로 가 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Bermudagrass의 Common이 산파에서 1.21Ton/ha로 다년생 남방형 목초 중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2차년도 남방형 품종의 건물 수량은 Bahiagrass의 Tifton9이 산파에서 15.06Ton/ 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며 Bahiagrass의 Tifquik이 산파에서 14.68Ton/ha로 두 번째로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Bahiagrass의 Argentine이 19.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DF 함량은 Bermudagrass 의 common이 61.6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해 에 의한 피해의 경우 대부분의 Bermudagrass 품종의 경우 에 동절기 적응성이 떨어졌으나 Bahiagrass의 Tifton 9 품 종의 경우 한해에 대한 피해를 거의 받지 않았으며 출현, 내병성, 내습성, 도복성은 품종 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Teff grass의 Tiffany이 도복과 습해에 의한 피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Bermudagrass와 Bahiagrass의 일부 품종은 월동할 수 있어 여름철 조사료자 원으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품종 간 내한성 능력과 재생능 력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품종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3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급여수준을 달리하여 제주산마 에게 급여하는 경우에 체중 변화, 장내 미생물 조성 및 혈액성상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공시축으로 24-36개월의 제주산마(제주마×더러브 렛) 14두를 공시하였으며, 농후사료의 급여수준을 체중의 1.5%(5두), 2%(4두)와 2.5%(5두)로 급여하여 봄과 겨울 증 체율 및 혈액 특성과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봄에 총 증체량은 1.5%, 2%, 2.5% 급여한 처리구에서 12.6kg, 21.5kg, 29.0kg, 겨울에 총 증체량은 21.6kg, 28.0kg, 42.6kg을 나타냈고, 일당 증체량은 봄에는 0.23kg, 0.39kg, 0.54kg, 겨울에는 0.40kg, 0.52kg, 0.79kg을 나타내어 체중의 2.5%를 섭취한 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내독 소는 농후사료 과다 섭취에 의해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에 서 방출되는 물질로 봄에 시행한 시험에서 3주차 때 농 후사료를 체중의 2%와 2.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의 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이후에는 점차 모든 처리구에서 수치가 비슷해져 적응하는 경향을 보여 모든 처리구가 농후사료 급여에 적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봄에 실시한 실험에서 8주차에 분 pH는 농후사료를 체 중의 1.5%, 2%, 2.5% 급여한 처리구에서 각각 6.2, 5.8, 5.7로 나타나 농후사료를 체중의 2%와 2.5%를 급여한 처 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직장온도는 겨울에 실시한 실험에서 8주차에 농후사료를 1.5%, 2%, 2.5%. 급여구에서 각각 37.8℃, 37.9℃, 38.4℃ 를 나타내어 농후사료 2.5% 급여구에서 직장온도가 유의 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분내 미생물에 서는 셀룰로오스와 탄수화물(구조 탄수화물) 분해에 관여 하는 미생물로 알려진 Fibrobacter가 체중의 1.5% 급여했 을 경우 총 미생물군에서 2.49%를 차지하였고, 2%와 2.5% 급여구에서는 각각 1.42%와 1.09%를 차지하여 농후 사료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농후사료 2.5%의 급여가 비육마 사육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4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연구는 충남 예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젖소 사 육농가 중 10개 전업 검정농가를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의 검정성적 을 통하여 유량 및 유조성분을 조사·분석하여 젖소농가의 경영지표 설정과 농가의 경영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적 자 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산유량은 33.62kg로 나타났다. 산차별로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으며 1산차는 29.60kg로 가장 낮은 산유량 을 나타났으나, 2산차 이상부터 높은 산유량을 보였다. 산 유량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계절별 평균 산유량은 봄에 34.51kg으로 다른 계절보다 높은 유량을 보 였다(p<0.05). 산차별의 유지율은 유의성 없이 1산에서 6산 차까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산유량별 간에 유지율은 유 의한 차이(p<0.05)가 있었고, 계절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는데, 겨울에 유지율 4.15%로 가장 높은 성 적을 보였으나, 여름에 3.6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산차별 간의 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없이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산유량별 간의 유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p<0.05)로 1일 30kg미만 군에서는 3.51% 높은 유단백율을 보였고, 40kg이상 군은 3.14%로 가장 낮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간의 유단백율은 가을과 겨울은 각각 3.40% 와 3.41%으로 높았으나, 봄과 여름은 각각 3.28%와 3.27% 로 낮은 수준를 보였다(p<0.05). 총고형분은 산차별 간에 1 산차가 8.92%로 가장 높은 함량를 보였으나(p<0.05), 산차 가 커질수록 감소현상을 보였다. 산유량별에 따른 총고형 분율은 1일 30 kg미만 군에서 8.92%로 높았으나, 40kg이상 군은 8.62%로 낮은 총고형분율을 나타났다(p<0.05). 계절 별 간의 총고형분율은 가을과 겨울에 각각 8.87%와 8.84% 으로 높은 함량이 었으나, 봄과 여름에는 각각 8.77%와 8.75%로 낮았다(p<0.05). 산차별간의 체세포수는 1산차가 100.75천개/ml로 가장 낮은 수를 나타냈으나, 산차가 커질 수록 체세포수는 증가현상을 보였다(p<0.05). 산유량별로 는 1일 30kg미만 군은 157.00천개/ml의 높은 체세포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40kg이상 군의 123.64천 개/ml로 낮은 수로 나타났다. 산유량은 유지율,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각각 -0.378, -0.534 및 –0.370으로 음(-)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유지율은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의 상관계수는 각각 0.600과 0.493으로 매우 높은 양(+)의 관계를 보였다. 유단백율과 총고형분율 간에는 0.833으로 양(+)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산유량과 유지율의 단순회귀모형은 y=-0.0297x+4.907(R2=0.1426), 유지율과 유 단백율은 y=0.2824x+2.2482(R2=0.3606), 유단백율과 총고형 분율은 y=0.8564x+5.9404(R2=0.6942)를 나타냈다. 따라서 젖소의 산유량과 유성분은 계절적 요인, 그리고 체세포수 는 산차와 산유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젖소의 산유량과 유질개선에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