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8

        141.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고는 국내 최초 극장상영 연쇄극 영화<의리적구투>의 영화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여 당시의 영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현하기 위해 활용할 무대의 영상을 기획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오늘날 공연’트렌드(trend)‘와 영화문법을 적용하여 본 공연을 위한 무대 영상제작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공연은 현재 합천’영상테마파크’에 조성된 실내 ‘단성사 극장’과 야외 ‘조선총독부, 경성역’을 무대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실내 단성사 극장 무대에서는 영상과 배우연기, 악기연주, 가수, 변사가 당시 공연을 재현했다. 야외공연에는 조선총독부와 경성역 중 한 곳을 선택하여 극 중 주인공 송산의 영화적 현실과 당시 일제 치하 조선인들의 고달픈 삶과 역사적 사건을 일치시킨 ‘미디어파사드’ 방식의 기호화 영상을 예술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기획하였다. 오늘날 뮤지컬공연이나 연극 공연에서 활용되는 무대 영상이 단순히 공연내용의 배경이거나 미학적 영상이었다면, 본 공연의 무대 영상은 영화문법을 반영한 영상으로 한 편의 영화를 공연화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화적인 영상과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배우가 하나가 되는 공연형식의 영화 영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4,600원
        142.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태권도대회 출전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이 COVID-19 상황을 잘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나아가 온라인 태권도대회를 통한 수련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와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태권도대회에 출전한 초등학생(2학년~6학년) 60명과 미출전 비교집단 60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태권도대회에 출전 경험이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사전(M=1.92)보다 사후(M=3.47)에 자아존중감이 1.55 증가하였다.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사전(M=1.96), 사후(M=1.95)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이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6.747, p <.001).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별로 없었으며, 성별 구분 없이 모두 비슷하게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 시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수련시간에 관계 없이 모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대회 출전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143.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폭력가정에서 성장한 대학생이 대인관계 갈등과 학업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겪는 심리적인 고통과 혼란 감을 상담을 통해 회복하는 경험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대학생 시기는 학업 성취와 이 시기에서의 발달 과제인 이성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독립적인 사회인이 되기 위한 준비 시기로서 정체성 형성에 기반이 되는 일과 관계를 맺는 방식과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연령대의 30%에 가까운 젊은 청년들이 정신질환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의 해결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자원 중심 상담과 감정 자유 기법 그리고 알아차림 호흡 명상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 4학년인 여자 대학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에서 참여자가 호소하는 문제를 삶에서 이루기를 원하는 긍정적인 목표로 설정하였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내적 자원 활용, 개별적 수용, 변화로의 동기 부여, 이를 유지하고 확대하는 상담 과정과 정서의 수용과 알아차림 호흡 명상을 접목하여 마침내 생활상의 변화를 이루어 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본 연구의 통합적 접근 상담을 통해 생활의 균형과 자기 통제력을 회복하게 되었으며 일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폭력가정에서 성장하며 경험했던 왜곡된 자기 지각, 부정 정서와 행동으로 고통 받는 참여자의 변화와 성장을 위해 본 연구에 적용된 기법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인 개입 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600원
        144.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2주간의 회전근개의 강화운동이 회전근개의 근육 두께, 견봉하 공간, 어깨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대상자 3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횡격막 호흡을 하는 그룹과 횡격막 호흡을 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두 그룹 모두 필라테스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기기로는 Ultrasonography(US), Pulmonary function tests(FEV1 / FVC), Bioeletic Impedance Analysis, Sit and reach test를 사용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대상자 20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근력 강화 운동은 2주 동안 주 5세트, 총 50세트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풀캔, 빈캔, 외회전 운동으로 진행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극상근과 극하근의 근육 두께와 견봉하 공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CSMI는 가시위근과 가시아래근의 근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정규성 검증을 실시한 후, 반복측정분산분석 (repeated measures of ANOVA)를 사용하여 운동 전, 1주후, 2주후를 비교하였다. 사후 분석을 위해 Fisher’s LSD를 실시하였다. Results: 근력의 비교에서 운동 2주 후 측정 시 내회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0.05). 외회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05). 근육두께에서는 가시위근과 가시아래근의 근육 두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05). 또한 봉우리밑 공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05). Conlusion: 결론적으로, 빈캔 운동과 풀캔 운동, 측면 외회전 운동은 어깨관절 안쪽돌림의 근력 강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4,000원
        145.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헌비교 연구로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다섯 편의 국선도 명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비교하여,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초로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국선도 명상 프로그램에 제안할 점을 도출하였다. 제안할 점으로는 첫째, 국선도 명상의 요체인 삼단전 이단호흡법에서 마음을 여는 프로그램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실생활 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스스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 넷째, 국선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서로 다르므로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는 점, 다섯째, 신체온도변화와 손아귀 힘 등과 같은 신체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가 전무하므로 이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보다 효과적이고 실천하기 쉬운 국선도 명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4,300원
        146.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표현, 사회성 기술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장애인복지 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2020년 8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8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자기표현의 효과검증을 위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사회성기술과 삶의 질의 효과는 두 집단의 평균을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t 검증하였다. 결과분석, 미술치료가 진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회성 기술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삶의 질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발달적 측면의 재활치료뿐만 아니라 자기표현, 사회성 기술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147.
        2021.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 이완 요법이 중년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통계적이고 임상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중년이 되면 몸이 쇠약해지고 면역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중년들은 다양한 자연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면역성을 높이는 뇌 이완요법 중 두개천골요법과 감정자유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뇌 이완요법이 자가 면역성강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뇌주파수 측정 평가와 설문을 이용한 주관적인 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자연치유 뇌 이완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자가면역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두개천골요법(CST)과 감정자유기법(EFT)이 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EGG(뇌파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자연치유 뇌 이완요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관악교육문화센터에 방문한 수강생과 자연치유 뇌 이완요법을 수강하고 교육을 100% 출석 수료한 교육생 36명을 대상으로 두개천골요법과 감정자유기법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하여 치유적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뇌 이완요법이 정서적 안정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p<0.05).스트레스감소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따라서 뇌 이완요법은 뇌의 시냅스를 활성화시켜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감소, 자기효능감 등을 높이는 운동요법이 가능하다.
        4,000원
        148.
        2021.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체지방률이 높은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리포사지(Lypossage)를 이용한 복부와 하지 체형 관리가 비만 관리 방법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총 35명으로 주관적인 비만 체형을 고민하는 사람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리포사지는 9주동안 주 2회 실시하였으며, 단일 실험군은 리포사지 1Zone인 허리와 둔부, 허벅지 관리 50분을 실시하였다. 검사는 처치 전, 처치 4주 후와 9주 후 시행하였으며, 그룹 내 중재 기간에 따른 전ᆞ중ᆞ후 비교를 통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전검사(0주), 4주후 검사, 9주 후 검사에 대한 세 기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체중과 체지방량, 허리둘레, 허벅지 둘레 감소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리포사지는 직장인 여성의 하지 체형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알 수 있었다
        4,200원
        149.
        2021.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명상을 하고 명상일지를 작성하면 알아차림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명상에서 경험했던 사건을 명상일지 작성 방식에 따라 단계별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67회 반복하여 기록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작성된 기록들의 의미에 따라 질병 및 건강, 대인관계, 심리적 불안, 직업 및 기타 주제어로 분류하고 각각 사성제의 고(苦), 집(集), 멸(滅), 도(道)에 따라 명상 내용들이 어떠한 의미와 변화를 가져 오는 지를 탐색하여 기술하였다. 선행연구 42편을 수집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유사한 것을 선별하여 탐구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명상에 관한 이론과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일지 작성이 원하는 목적에 유익하다는 연구결과는 다수 발견되었지만 명상의 효과가 어떻게 높아지는 데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하였고 이에 명상일지를 작성하여 알아차림에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유익함을 가져 오는지를 밝혀 본 것이 타 연구와의 차별이라 하겠다. 명상일지 작성이 알아차림의 효과를 높여 명상 수행을 진작하는 방편이 된다면 일반화되기 쉬울 것이다. 명상일지를 작성하여 효과를 높이는 다양한 연구가 촉진 될 것이고 초보자들의 명상 생활화와 대중화 되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본 논문의 목적이 되겠다
        4,000원
        150.
        2021.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실시하는 목적은 자기성찰과 정신건강 간에서 나타나는 5요인 마음챙김 경로 및 간접효과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익산시와 평택시의 애견훈련센터에 방문하는 성인남녀 140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후 표기가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129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자기성찰, 5요인 마음챙김, 정신건강에 관한 설문지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M-Plus 6.12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분석에서 자기성찰은 5요인 마음챙김(β=.358, t=4.187, p <.001)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요인 마음챙김은 정신건강(β=.264, t=2.445, p <.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간접효과유의성검증결과에서 자기성찰이 5요인 마음챙김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이르는 경로의 경우의 간접효과(β=0.123, CI[0.014 ~ 0.319])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기성찰과 정신건강과 5요인 마음챙김의 관계성 검증분석을 토대로 한 경로 및 간접효과유의성검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51.
        2021.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송라 추출물이 피부관련 질환에 중요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염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와 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에서 50% 에탄올, 70%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고, 부분적으로 70%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과 달리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피부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주를 이용해 피부염증 완화 효능을 검증한 결과.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시 TNF-α와 IFN-γ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인 CCL17과 CCL22의 수치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송라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피부질환에 관련된 기능성 소재 및 민감성 피부관련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사료된다.
        4,000원
        152.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명에너지 통로/나디의[ 정화]와 생명에너지[ 조절을 승리법]의 기능과 역할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생명에너지 통로의 14개 가운데 이다 나디, 삥갈라 나디, 수슘나 나디가 더 중요하고 이들 셋 가운데 수슘나 나디는 가장 중요하다. 생명에너지의 10개 가운데 쁘라나 생명에너지와 아빠나 생명에너지가 더 중요하고, 이 둘 가운데 쁘라나 생명에너지가 가장 중요하다. 이들 14개 나디와 10개 생명에너지에는 각각 위치, 기능 및 역할이 있다. 이들 생명에너지 통로에 불순물이 껴서 막혀서 생명에너지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할 때 요가수행자는 생명에너지 통로를 정화하고, 원활하게 흐르도록 생명에너지를 잘 조절을 해야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법, 곧 사히따 꿈바까와 께발라 꿈바까가 있다. ‘사히따 꿈바까’는 ‘날숨을 동반한 지식(止息)’이라면, ‘께발라 꿈바까’는 ‘들숨과 날숨이 완전히 소멸된 멈춤[止息]’이다. ‘께발라 꿈바까’는 ‘생명에너지 조절의 승리하는 방법’과 동의어이다. 이 방법이 완성될 때 피로, 갈증, 비장의 종양, 다른 질병, 세 도샤에서 발생한 병, 복부에 있는 질병이 모두 소멸되고, 열병과 음식물로 발생한 독소들이 모두 제거되고, 백발 등도 없어지고, 쁘라나 생명에너지가 브라흐마란드라로 향하게 된다. 이처럼 생명에너지 통로/나디의 정화와 생명에너지 조절의 기능과 역할이 인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다.
        4,800원
        153.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 관점에서 김환기 예술작품에 나타난 한국인 미적 원형과 치유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융의 관점에서 예술이 가지는 속성을 알아보고 김환기의 대표 작품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원형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와 그의 작품이 주목을 받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김환기작품이 주는 치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김환기작품을 통해 나타난 한국인의 미적 원형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거친 질감(texture)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교류와 관계를 중시하는 정(情)의 문화. 둘째, 무기교와 자연스러움에 대한 가치의 존중. 셋째, 가치지향성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김환기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미술감상의 치유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미적 체험은 개인의 주관적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뿐 만 아니라 집단의 정서적 원형을 공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작품에 나타난 원형적 상징을 경험하는 것은 인간정신의 보편성, 집단의 공동가치를 공유하며 치유적 힘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한 김환기의 미술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인에게 내재한 원형적 심상을 찾을 수 있고 예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4,500원
        154.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대 동양의학에서 경락(經絡)과 혈위(穴位)에 대한 인식은 해부지식, 임상 경험, 양생 수련의 실천 등이 결합된 산물이라 볼 수 있다. 고대인의 삼라만상(森羅萬象)에 대한 철학적 사유, 특히 당시 성행하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기일원론(氣一元論),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 등의 철학사상 영향으로 단순한 선[經絡]과 점[穴位]의 결합이 경락과 수혈(腧穴)이론으로 승화되어 경락학설 체계가 창조되었다. 본 연구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 『황제내경(黃帝內經)』 등 십이경맥(十二經脈)에 관한 문헌을 비교∙분석하여 경맥의 종류와 명명의 변천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초기의 경맥은 11경맥이었으나 『황제내경』 이후 12경맥 체계로 변화되었으며, 크게 수경(手經)과 족경(足經)으로 양분되고 오장육부(五臟六腑)와 삼음삼양(三陰三陽)의 음양이론이 결합되어 경맥의 명칭이 완성되었다. 향후 학설에 머물러 있는 경락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경락의 실체가 규명되길 기대한다
        4,000원
        155.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물리 치료사의 업무 중 근골격계 장애를 유발하는 환경 적 요인 및 자세 요인에 대한 실태 조사 및 결과를 분석하고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메뉴얼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치료 분야 종사자 30 명, 근골격 치료 분야 종사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방법은 물리 치료사의 치료 영상을 30 분 동안 촬영했다. 작업 자세는 2분 간격으로 15번 절단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는 OWAS 및 REBA를 사용한 자세 분석을 사용하였다. 근골격계 및 신경계 대상자들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매뉴얼을 통해 2주간 중재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신체 부위 별 유병률과 특징적 분포는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허리 통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OWAS 기준에 따른 작업 자세 분포는 신경계 분야에서 신체, 다리, 체중,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 <0.05), 근골격계 분야에서 다리와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REBA 평가 기준에 따른 근무 태도 분포는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 예방을 위한 부적절한 작업 자세 예방 교육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근골격계 예방 교육을 마련하고 질병을 줄이기위한 환경 적 요인과 자세 요인을 바꾸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156.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c 색소의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의 일부 유리아미노산과 그 유도체의 조성 및 함량, 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일부 피부미용 화장품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리아미노산은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으며, 단백질 비구성 아미노산 유도체는 열수 추출물에서 2종,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3종이 검출되었다. Phenolic acid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함량분석에서, phenolic acid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서 2종, 메탄올 추출물에서 5종이 검출되었다. 또한 flavonoids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rutin과 taxifolin이 약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이 40.43 ± 0.21%로 열수 추출물에서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서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생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157.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발 성장인자 관련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성장인자가 탈모에 적용되었을 때 모발의 시너지 효과를 연구하여 뷰티산업 종사자들이 전문적이고 경쟁력 있는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틈새 시장인 점판 시장의 활성화로 뷰티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성장 인자는 인체가 출생 시 가지고 태어나는 세포분열 활성화인자로 기능이 떨어진 세포를 자극하여 모발 성장과 모유두 세포의 세포 분열을 촉진시키며 모발 성장기를 연장시킨다. 모낭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된 성장 인자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F),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Noggin(모낭자극성장인자), 줄기세포증식인자 (SCF, Stem Cell Factor), 케라틴형성세포 성장인자(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간세포성장인자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등이 있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각각 모낭과 모발의 형성을 촉진하며 모낭의 성장을 조절하고 모발의 성장기 유지에 기여하며 정상적인 성장 주기로 컨트롤 한다. IGF-1과 GH를 같이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어 피부 파필라 주위의 매트릭스 세포와 결합 조직 피복(CTS)의 두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프로시니아딘(포도씨 추출물)과 산사열수 추출물은 모발 성장과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하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적용 시도 모유두 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모발이 성장함에 따라 IGF-1의 발현 은 증가되고 TGF-β1의 발현은 감소되어 모유두 세포의 퇴행과 감소를 지연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성장인자가 남성형 탈모를 지연시켜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좀 더 편리하고 효과가 증대되는 대중적인 두피.모발관리의 한 방법인 샴푸, 트리트먼트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미흡한 점이 보완되기를 바란다 .
        4,200원
        158.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포괄적이며, 의료법 위반 여부가 염려되는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하여 정확한 개념을 확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9년 5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분석하고 응용하여 노인건강관리서비스에서 헬스치공의 운동처방 적용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먼저 2019년에 통계청에서 최근에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을 통해 인구변화 추이에 따른 노인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헬스치공의 자연요법으로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체육총국의 자료를 통해 치유원리를 확인하였고, 헬스치공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 결과로서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영역에서 만성질환자의 건강중재를 위한 헬스치공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첫째, 개인의 건강정보 확인 및 수집, 둘째, 혈압과 혈당 측정 및 관리수준 설정, 셋째,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상담, 식이관리 및 조절 상담, 다섯째, 헬스치공 수련 목표 및 수준 설정, 여섯째, 헬스치공 수련 실시와 점검, 일곱째, 피드백에 의한 운동처방 사이클 조정이라는 7단계 수준에서 운동처방 적용 예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에서 헬스치공을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경우 많은 부분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헬스치공을 포함한 다른 자연요법 프로그램이 제공될 경우에도 같은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4,000원
        159.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hool of Chinese Medicine, B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Objective: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edicinal tea formulas, explores the medicinal value of tea in the formulas to provid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with the idea of using tea in the formulas. Methods: This thesis combed through the medicinal tea formulas in the medical books of the past dynasties and explored the main indication, usage and preparation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Results: Tea had the record with the medicinal effects in many herbal literatures. Doctors often used tea with other Chinese herbs together in the formulas. Conclusion: This kind of formula combining tea and Chinese herbs was called as “medicinal tea formula”. Medicinal tea formula had been standardized and formed during the Song Dynasty in China.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treatment of many indications and improve the value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4,200원
        160.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경험을 통해 겪고 있는 현재 고통의 원인과 맥락을 이해하고 명상상담을 통해 어떤 치유적 경험을 하였고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떻게 실천하며 살아가는지를 탐색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우울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명상상담과 사회복지의 통합적 접근을 내러티브로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명상상담의 수행절차는 호흡명상과 느낌명상, 영상관법의 명상적 기법과 상담기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상황이나 이해에 따라 역할극, 그림그리기, 자애명상 등의 기법도 함께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상담녹음 축어록과 상담현장노트, 상담일지, 심리검사 체크리스트, 감사일기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의 명상상담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기술적, 설명적, 치유적, 실천적 내러티브인 4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명상상담 경험을 통하여 부정적이던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고 치유과정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노인들의 심리, 정서적 치유를 돕는데에 명상상담이 유용했으며 명상상담과 사회복지의 통합적 접근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아울러 복지현장의 다양한 대상자에게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학제간 유연성과 확장성을 보여준 연구 자료로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