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2

        2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 applying super-high pressure (150-250 MPa) to a sealed pressure vessel, it is possible to make oyster shucking machine that automatically opens two-sheet shellfish or oysters. Possibility of developing a shucking machine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the working pressure for meat of oysters produced in the southern coast and conducting sensory evaluation of meat oyster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hucked oysters under super-high pressure of 150 MPa in the pressure vessel, the number of type A with separated shells and well-separated meat was 22 and type B with both shells and internal meat and shells not separated. For the oysters that were treated at 175 MPa, there were 58 type As with shell separated and meat well separated and 42 type Bs without oyster shells and insides. When looking at the oysters shucked at 200 MPa in the pressure vessel, the number of type A was 86 and type B was 14 accounting for 86% of oysters with good marketability. As a result of shucking oysters by applying 250 MPa, 96% type A oysters and 4% type B oysters were obtained from the total specimen. The total specimen oyster weight used in the conducted experiment was 6 kg, the average oyster shell weight was 3.99 kg and the average oyster meat weight was 1.25 kg. Therefore, the fatness of oyster meat, which measures the added value of oysters, is 20.8%.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inned oysters by hand and type A oysters shelled by machine with an operating pressure of 200 MPa. The hand-worked oyster sample scored 4.7 points only in salty taste, and scored 5.0 or higher in color, shape, smell, fishy taste, texture and preference.
        4,000원
        2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rodelae Herba (SH) and Perilla Frutescens (PF) extracts have been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with various disorders for thousands of years. There are some reports regarding the anticancer effects of SH and PF each by each, but their mixture have not been investigated and their mechanisms also have not been cle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mechanisms and their effects of the mixture of SH and PF extracts o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 Head and neck carcinoma KB cells were treated with SH, PF and their mixture. Anticancer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searching cancer cell death pathway; apoptosis and autophagy, which have been regarded to be effective and safe methods. Apoptosis, which is termed a programmed cell death, was observed by TUNNEL assay. Autophagy, which is termed a type II programmed cell death, was observed by acridine orange red staining. Additionally, the protein expressions associated with apoptosis and autophagy were detected for their mechanism by western blots. The mixture of SH and PF extracts induced autophagic and apoptotic cell death simultaneously in cancer cells. And 0.4 mg/ml of the mixture with SH and PF extracts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mTOR, however, the expressions of ATG5 and LC3-II, which induced autophagy, up-regulated. The mixture of SH and PF extracts also down-regulated the expressions of Bcl-2, but up-regulate the expressions of PARP-1 cleavage, Caspase-9 cleavage, Caspase-3 cleavage and BAX, which 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xture of SH and PF extracts induce autophagic and apoptotic cell death simultaneously in head and neck cancer cells and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anti-cancer drugs.
        4,300원
        25.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증성 장질환은 장관 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명확한 발병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그 중 궤양성 대장염은 염증 및 혈변, 설사 심한 경우에는 발열을 동반한다. 현재 치료제로는 설파살라진, 메살라민과 같은 항염 증제, 항생제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부작용으로 두통, 빈혈 등의 있고 드물게는 간염, 폐렴 등이 유발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실험은 5주령의 수컷 마우스를 일주일간 적응기간 후, CON군 DSS군, 저농도군, 중농도군으로 나누었다. CON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DSS를 일주일간 투여해 장염을 유발한 후 2주간 WK-20을 투여한 후 검사를 한 결과 저농도, 중농도군에서 대장염의 증상이 유의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WK-20은 DSS를 통해 유발되는 대장염에서 치료적 효과를 보이지만 MTT 검사를 통해 농도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9.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speed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Korean high-school students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NQ-A).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453 high-school students (227 boys and 226 girls) from September 2019 to October 2019 in Chungbuk area. Based on the self-reported speed of eating data,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fast group (n=180), a medium group (n=184), and a slow group (n=89). NQ-A scores for each group were measured in each speed group. In the environment section, gir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tim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and smartphones: the fast group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than the medium group (p=0.035). In the practice section, among boys, the slow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washing hands before eating than the medium and the fast groups (p=0.022). This study suggested that eating speed of high school students i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environment factor and practice factor of NQ-A, such as time spent on smart devices or washing hands before eating. The study results can provide baseline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on health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4,000원
        3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 균주 4종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베타글루칸 함량 및 아미노산 성분분석을 통한 영양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풀버섯 4종의 균주 중 Vv 균주(KMCC04386)의 DPPH 라디컬 소거능(23.7%)이 가장 높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Vv-Chi 균주(KMCC04382)가 각각 8.17 mg GAE/g, 3.46 mg QE/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철 환원 항산화능(0.152) 및 환원력(0.094) 역시 Vv-Chi 균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풀버섯 균주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베타글루칸 함량은 VG-19 균주(KMCC04380)가 17.53% (w/w)로 가장 높았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VG-19 균주가 각각 986.8 mg/kg과 369.3 mg/kg으로 균주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VG-19 균주의 경우, 시스테인(Cys)이 171.0 mg/kg으로 다른 균주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검출되었으며 그 외에도 아스파르트산(Asp), 세린(Ser), 글루탐산(Glu), 알라닌(Ala), 이소류신(Ile), 류신(Leu) 등의 감칠맛,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과 일부 필수아미노산 성분이 다른 균주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풀버섯 4종의 균주 중에서 DPPH 라디 컬소거능을 제회한 항산화 활성은 Vv-Chi 균주가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 및 영양성분 함량은 VG-19 균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지에서 수집된 야생버섯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야생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10종의 야생버섯류 중에서 영지(OK1362)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3.2%), 총 폴리페놀 함량(28.9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0.0 mg QE/g)철 환원 항산화능(0.134), 환원력(0.155), 아질산염 소거능(56.3%) 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그 이외에도 아까시흰구멍버섯(OK1360), 광대버섯속의 A. lanigera (OK1398), 졸각무당버섯(OK1406)이 높은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영지(OK1362)가 25.2%를 나타내며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구름버섯속의 T. lactinea (OK1457)가 24.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류 중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4,000원
        3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도 및 인지도가 높은 식용 버섯인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표고(Lentinula edodes), 팽이(Flammulina velutipes)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를 대상으로 상온 (20-25 ̊C) 및 저온저장(4 ̊C) 3개월 후의 시료와 저장 전의 시료와의 항산화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베타글루칸 성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큰느타리와 표고의 열풍건조 시료를 제외하고 다른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의 상온저장 처리가 가장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큰느타리와 표고 열풍건조 시료를 제외하고 상온저장 시 함량치가 가장 낮았으며, 모든 식용 버섯류의 로스팅 시료에서 저장 전에 비하여 상온 및 저온저장 시에 함량이 감소하였다. 철환원 항산화능은 표고의 로스팅 시료를 제외하고 다른 버섯류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에서 저장 전에 비하여 상온 및 저온저장 시료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환원력은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의 상온 및 저온저장 시에 저장 전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베타글루칸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의 상온 저장된 시료에서 가장 낮은 함량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용버섯 가공원료의 상온 또는 저온저장 시에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베타글루칸 등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서 그 활용도가 높으리라 기대된다.
        4,000원
        3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oodservi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of workers.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2015 and March 2015 for 329 foodservice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Chungbuk Area. Of these respondents, the majority (78.4%) of them were females. Most of them were in their 40s (40.4%) or 50s (33.4%). If the respondent's correct answer rate of knowledge was 0~50% or 51~100%, the respondent was classified into a ‘Low Group (LG, n=175)’ or a ‘High Group (HG, n=154)’. Among a total of 14 foodservice management questions, 6 items (personal hygiene: 1 item; food material: 2 items; and food processing: 3 items) had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scores for workers in HG than for workers in LG. As a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Use different knives and cutting boards for fish, meat, and vegetables’ was a variable of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was most urgently neede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rive important items for improving foodservice management and policy development for foodservice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4,000원
        3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iomyoma is a Benign tumor that develops in smooth muscles and is known to occur more in women in age between 40s and 50s. The most common site of leiomyoma is uterine (95 %). It occurred in oral region is very rare about 0.065 % and usually developed in upper and lower lips, palatal site, buccal site and tongues. The prognosis of leiomyoma is very positive. The recurrence rate is extremely low to 2 % below. In present study, we report a 78 year old female with a lesion located in temporomandibular joint cavity which was suspected as a malignant tumor. Additionally, this paper reports contains a literature review of oral leiomyoma. Rare location with painless leiomyoma of present case will be considered to be caution.
        4,000원
        3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워가드’는 ‘6TS72S’ב07-9-47’ 교배조합에서 계통 분리 하여 선발하였다. 2007년 풋마름병 저항성 대목 품종인 ‘B 바리아(다끼이)’와 ‘B블로킹(다끼이)’ 간 교배를 실시하여 F1 조합을 작성하였고, 여기에 시듦병 저항성 유전자를 집적하기 위해 저항성 자원인 ‘07-9-47’과 다시 교배하였다. 매년 2세대씩 풋마름병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시듦병 저항성은 분자표지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후대검 정으로 우수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과 2010년 1년 2세대 진전으로 형질을 고정하였다. 2011년 풋마름병과 시듦병 등에 저항성을 보이며 균일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F6세대의 고정계통을 최종적으로 육성하였고 이를 ‘파워가드’라고 명명하였다. ‘파워가드’는 풋마름병 뿐만 아니라 시듦병(I3), 고구마 뿌리혹 선충(Rex),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ToMV), 줄기 마름병 (Asc1), TYLCV(Ty3)에 복합내병성을 가지고 있다. ‘파워가드’의 생장형은 무한형이며 과형은 원형이며 평균과중 40 g 정도, 당도는 4.2 oBrix 정도이다.
        4,000원
        3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 및 로스팅 처리의 가공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과 영양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잎새 버섯의 열풍건조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팽이와 꽃송이 버섯은 가공방법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꽃송이버섯의 로스팅 시료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팽이와 잎새버섯은 유의적 차이가 없거나 생 시료에 비하여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팽이와 꽃송이버섯 로스팅 시료가 생버섯(fresh) 시료에 비하여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잎새버섯은 로스팅 처리로 인하여 아미노산 성분들 중 단맛을 담당하는 세린(Ser), 알라닌(Ala)성분들이 증가함과 동시에 쓴맛을 나타내는 류신(Leu), 이소류신(Ile) 성분들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팽이와 꽃송이버섯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로스팅 처리로 인하여 생시료에 비하여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로스팅 처리가 버섯내의 영양성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표고(Lentinula edodes) 버섯차 개발을 위하여 귀리(oat)와 현미(brown rice)를 부재료로 사용함으로서 버섯 특유의 향미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곡물류 특유의 고소함과 영양학적 가치 향상을 기대하였다. 이에 버섯시료의 가공방법 중 열풍건조 및 로스팅 처리에 의한 생리활성 및 영양성 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와 표고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 사이의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소 거능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베타글루칸 함량은 로스팅 처리에 의하여 함량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스팅 처리된 귀리와 현미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귀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베타글루칸 함량은 현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는 높은 글루탐산(Glu) 성분 등을 포함하여 모든 아미노산 성분이 현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버섯 시료와 부재료의 혼합비율별 추출온도 및 추출 시간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분석결과, DPPH 라디컬 소거 능은 로스팅 표고와 귀리 1:1 혼합물(LE+O)의 100 ̊C, 3분 추출조건에서 33.5%로 가장 높았으며, 아질산염소거 능은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물(PO+B)의 100 ̊C, 10분 추 출조건에서 49.9%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의 10분 추출시간 조건에서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추출물(PO+B)의 함량치가 16.2 mg GAE/g 로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고와 현미 (LE+B) 3:1 혼합물에서 34.4%로 다른 혼합비율의 함량치에 비하여 높았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느타리와 현미 혼 합물(PO+B) 중 1:1 혼합비율에서 필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고와 현미 (LE+B) 혼합물 3:1의 비율에서 필수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성분 중 단맛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성분함량이 월등히 높았던 귀리를 혼합함에 따른 느타리, 표고와 귀리 혼합물에서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500원
        38.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studies utilizing dogs, cats, birds, fish, and robotic simulations of animals have tried to ascertain the health benefits of pet ownership. some research has associated viewing fish in aquariums with positive well-being outcomes; as there is no physical contact with the animal, this form of interaction carries less risk. From the points mentioned above it is clear that having an aquarium can significantly influence life and health. Aquariums can heal a stressed out body and mind making it clear of all unwanted thoughts which reduces the stress and blood pressure. Watching beautiful fishes swim in the aquarium provides a break to the viewer from all the routine work in life and cause a sense of relaxation or calmness. It helps kids to gain knowledge about a variety of fishes and learn how to care for them. Hyperactive kids become quiet and calm. These positive effects on health are caused due to secretion of neurochemicals influenced by gazing at colorful active fishes swimming in the tank. The remaining studies involved novel interactions with fish in home or public aquariums. Outcomes relating to anxiety, relaxation and/or physiological stress were commonly assessed; evidence was mixed with both positive and null findings. Preliminary support was found for effects on mood, pain, nutritional intake and body weight, but not loneliness. All studies had methodological issues and risk of bias was either high or unclear. Review findings suggest that interacting with fish in aquariums has the potential to benefit human well-being.
        6,000원
        4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eptozotocin(STZ)을 45mg/kg.b.w의 용량으로 흰쥐의 미정맥에 투여 한 후 당뇨병이 유발된 당뇨 흰쥐에게 1일 1회 7일간 1,000mg/kg,b.w의 용량으로 황백에탄올 추출물을 투여 후 glucose 함량과 당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glucose-6-phosphatase(G-6-P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H, glucokinase(GK)활성과 glycogen 함량을 측정한 결과 황백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이 glucose 함량과 G-6-Pase 활성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glycogen 함량과 G-6-PDH, GK의 활성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황백 에탄올 추출물이 혈당강하 효과를 가졌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