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합의 수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수출 증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한 것이다. 수출용 백합 생산비의 대부분(50% 정 도)을 차지하는 구근 비의 절감을 위하여 수출국가가 선호하는 국내 품종을 개발하고 개발 품종의 구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생산자 조직과 수출 업체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수출전문생산단지를 구축하 고 현재 일본에 집중된 수출구조에서 가까운 러시아와 중국 등의 다양한 국가로의 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또 한 수출대상국 현지의 백합 소비 형태를 파악하여 백 합수입국의 요구 시기에 맞추어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 다. 관세인하와 식물검역기간 단축 등의 국제적 교섭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브랜드와 새로운 마케팅 방법의 도 입이 필요하다.
        4,000원
        2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국화 ‘백마’의 수확 후 몇가지 포 장재 처리가 선도유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화단계의 결과, PE필름 처 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6일째 개화가 25%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꽃크기 변화의 경우 기능성 한지 포장재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실험 6일째 꽃의 직 경 변화 속도가 19%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화 색변화의 경우 기능성 한지 포장재(I, II, III)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2일 정도 화색변화가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체중 변화의 경우 신문지, PE 필 름, 기능성 한지 포장재(I, II, III) 모두 대조구에 비 해서 높은 수분흡수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포장재 II 는 절화 국화 ‘백마’의 선도유지에 관련된 품질요인인 개화단계, 꽃크기, 화색변화, 생체중, 에틸렌 발생량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2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 국화 ‘백마’의 수확 후 수송조건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선도유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절화 국화 ‘백마’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수 송조건 실험 결과 저장온도에 따른 절화 품질은 5oC 저 온 저장시 상온(대조구)저장과 20oC 저장 보다 효과적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송방법에 따른 절화 품질은 물올림 처리 후 수직 수송방법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생장조절제 uniconazole 10 mg/L−1 문무 처리는 개화를 지연시켜 선도를 유지 시켰으며 daminozide 1,000배 분무 처리는 꽃목 굽음을 지연시켜 절화 국화 품질 유지에 우수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4,000원
        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dition of metallic additives and the geometry of gas metal arc weld deposit were studied by using Φ1.6mm flux-cored wire designed for hypo-eutectic Fe-Cr-C-Si hardfacing.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metallic additives, such as Mn, Ti, Al and Si, by less than 0.5wt.% of the overall wire weight affected the dilution of weld deposit by changing the metal transfer mode during welding. The lowest dilution for each additives could be obtained at the transition point between spray and short circuit modes. The bead width was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the increase of arc length due to the oxidizing effect and by the molten pool flow behavior due to the Marangoni effect. Among additives, Mn and Al a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bead width by decreasing the sulfur level and by inducing Marangoni flow directly at the molten pool, respectively.
        4,000원
        2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는 개화를 위해서는 30일의 지속적인 단일 처리가 요구되는 원예작물인데 본 연구에서는 국화의 화형별 홑꽃 타입의 ‘Limelight’, ‘Sunlight’, ‘Candle Light’, ‘Firebrand’, ‘Twilight’와 겹꽃 타입의 ‘Spirit’, ‘Sunburst Spirit’, ‘Mandalay’, ‘Illini Harvest’가 단일 (SD)−장일 (LD)−단일 (SD)의 일장 처리가 생장 및 개화조절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30일간의 단일 처리와 5일 또는 10일 동안의 장일처리 후 5일 또는 10일 동안의 단일조건을 각각 처리하였다. 품종별 차이는 없었으나 5 SD−10 LD−25 SD 처리는 개화를 지연 시키고 설상화 수가 증가되었다. 특히 ‘Firebrand’와 ‘Candlelight’ 품종의 설상화 수는 각각 40개와 60.8개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SD−LD−SD 처리는 개화를 6일에서 7일정도 지연시키는 것 외에는 큰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Illini Harvest’와 ‘Limelight’의 설상화 수는 어떤 SD−LD−SD 처리에 의해서도 증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새로운 품종별 일장처리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국화의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칼슘 및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가 절화백합과 장미의 절화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공시재 료는 Lilium Oriental hybrid ‘Le Reve’와 Rosa hybrida ‘Fire King’를 사용하였으며, 25% 칼슘 및 36%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구에 포장 후 5oC와 20oC 저장고에 48시간동안 저장하였다. 절화 백합의 ‘Le Reve’ 경우 36%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구에 포장 후 5oC 저장시 상품의 수명은 대조구에 비해 2일정도 증가되었다. 그 러나 절화 장미 ‘Fire King’의 경우는 절화의 선도유 지나 수명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절화 백합의 경우에는 상품의 수확 후 기능성 포장재가 저장성 및 선도유지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1.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desirable table manner culture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practice of traditional basic table manner.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261 participants(618 males and 643 females) in Daegu and Kyungpook. The recognition, practice of traditional basic table manner were measured on the five-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overall recognition score on ordinary table manner was 3.74 points, and of methods and kinds of dinner services was 2.99 points. The education score on table manner of parents for sons and daughters was 3.66 points, and the necessity score of table manner was 3.92 points. The scolding score of adults for table manner was 2.79 points, and cooking score of side dishes for adult was 3.25 points. In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raditional table manner, perception is much higher than performance. Respondents consider that the most perceptional and performant traditional table manner item is 'eating foods inside mouth by not seeing and rushing out'. Meanwhile, 'eating and taking some foods from a main dish' was the lowest perception and performance. The total recognition score on traditional table manner was 77.78 points, and the total practice score on traditional table manner was 71.72 points.
        4,000원
        3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 백합‘Siberia’의 수확 후 수명 연장과 품질 향상을 위해 1-MCP의 효과적인 처리 농도, 시간 및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개화 단계는 모든 처리별 5°C처리가 개화지연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개화 단계가 지연되었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엽록소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은 대조구가 5일부터 감소되는 반면 5°C 조건에서 1.5mg·L-1 1-MCP 전처리를 1시간동안 하였을 때 11일까지 증가되었다. 수분흡수량에서는 대조구가 실험 종료일까지 꾸준하게 감소하는 반면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가장 높은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수분균형은 무처리시 7일부터 (-)값으로 급격히 떨어지는데 비해 대부분의 1-MCP 처리구는 9일부터 서서히 (-)값으로 떨어지고,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 1시간 처리구는 11일까지 유일하게 (+)값을 유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전처리별 조사 초기 색상 변화에서는 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녹색값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으며, 절화수명 및 절화 품질에 있어서는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19일로 가장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박테리아 발생량은 5°C조건에서 1.5와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에틸렌 발생량 및 호흡률은 대조구보다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도관의 미생물 발생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수확 후 절화 백합의 선도유지 및 품질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유통 과정 중에 상용적인 기술로 사용 가능함을 제시 할 수 있었다.
        3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 국화 ‘백설’의 상온 및 5℃ 저장시 Promalin 50mg.L-1 처 리는 절화 후 초기 개화를 억제시키고 품질을 증진시키는 좋은 작 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상온 저장시 더욱 효과적이 었으며 상품성 손실과 관계되는 생체중 유지에 작용하여 선도유지 에 좋은 전처리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romalin 50mg.L-1 분무 전처리는 절화 국화의 에틸렌 발생을 억제시키는 경향을 나타 내었으며 호흡급등형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국화 ‘Yes Song'의 이산화염소 전처리가 선도유지 및 품질 을 조사하였다. 개화 단계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수확 후 8일까지 급속히 개화하였고, 특히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비교적 선도가 유지되었다. 생체중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5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고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 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높은 생체중을 유지하였다. 수분 흡수량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5일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으 며, 특히 ClO2 5mg.L-1 처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 였다. 수확 후 잎의 엽록소 함량은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꽃잎의 화색변 화에서는 BA 25mg.L-1 처리시 화색변화를 가장 오래 지연시켰다. 에틸렌 발생량은 초기 3일째는 급속히 증가하다가 그후 비교적 완 만한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별로는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절화 수명 및 절화 품질에 있어서도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8일정도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도관 의 미생물 발생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수분 흡수가 원 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수확 후 절화 국화의 선도유지 및 품질에 매 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유통 과정 중에 상용적인 기 술로 사용 가능함을 제시 할 수 있었다.
        38.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9년 헝가리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35점을 평가하여 원예적 형질을 조사하고 유용한 자원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한국시판 대비 품종 ‘금당’과 ‘슈퍼비가림’과 비교했을 때 개화소요일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초장은 한국 품종이 평균 163cm이었으나 헝가리 자원은 133cm로 작게 조사되었다. 과형은 한국 품종과 유사한 sweet banana형이 83%로 가장 많았고, 소형은 cherry형이 14%였다. 과중은 대체로 한국 품종 25g에 비해 무거워 평균 34.7g이었다. ASTA 값은 100이상이 9자원이었으며, 당함량은 15% 이상이 4자원이었다. Capsaicinoids 함량은 10mg% 이하인 자원이 69%, 10~40mg%가 17%, 40mg% 이상은 14%로 대부분 매운맛 성분이 적은 자원이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