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러스, 반수체, picloram, 전처리양식을 규명할 목적으로 배양효율에 미치는 화분발육 단계와 온도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Dreamland’의 감수분열중인 약을 현 미경적방법으로 검경하여 본 결과 화뢰의 길이가 23.0-24.9mm는 tetrad 단계이었고 25.0-26.9mm는 uninucleate 단계, 27.0-28.9mm에서는 binucleate 단계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및 고온 온도처리 결 과는 전체적으로 캘러스 및 배 발생율은 저조하였고 특 이한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Microgametogenesis 단 계별로 약배양 효율을 조사한 결과, late uninucleateearly binucleate 단계인 23.0-28.0mm에서 17.8% callus가 유도되었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6.7%로 나타 나 적정 배양 stag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된 캘 루스를 picloram과 zeatin을 혼용한 MS 배지에 이식 하여 25oC에서 배양하여 식물체를 얻었다.
        4,000원
        23.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Modified Mini-Mental Status (3MS) Examinatio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Method: The 3MS was administered to 24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from Jan. 1 to Apr. 30 in 2001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evalua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3MS wer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Results: Test-retest reliability of 3MS was excellent (r=0.97), and Interitem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49 to 1.00. The score changes between the two tests were not related with the gend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duration after the brain injury. When items of 3MS were compared with the items of NCSE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43 to 0.73. When the NCSE was used as a gold standard to evaluate cognitive dysfunction, optimal cutoff scores analyzed by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for 3MS and MMSE were 68 and 22,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oth 3MS and MMSE were the same at 80% and 89.5%,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3MS w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screen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4,500원
        24.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행연구의 후속연구로 기획된 이 글은 보편 바흐(Bach, the universal)이라는 이미지를 논의의 중심에 두고 있다. 특별히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보편 바흐라는 이미지가 1980년대 후반 영미권의 새음악학(new musicology)과 함께 등장하였고, 새음악학 담론과 교차되면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해냈다는 점이다. 새음악학의 대두와 함께 보편 바흐의 이미지가 어떤 방식으로 도전받고, 변화하고, 또는 변화하지 않았는지 살피기 위해 이 글은 보편바흐를 주장한 로버트 마샬, 새음악학적인 시선으로 보편 바흐를 반박한 수잔 맥클러리(Susan McClary), 그리고 보편 바흐의 이미지를 근대라는 새로운 창으로 검증해나간 존 버트(John Butt) 등의 논의를 분석하고 비판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근대와 바흐라는 사고가 21세기 한국의 바흐담론(또는 서양음악담론)에서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질문한다.
        2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관심은 바흐담론의 내부와 외부에서 유통되는 바흐의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이 글은 바흐의 이미지들이 바흐담론 안에서 어떤 과정과 절차를 통해 생산되고 재생산되 고 또 해체되는지 추적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19세기를 대표하는 포크켈과 슈피타, 그리 고 20세기를 대표하는 허츠와 볼프의 문헌을 분석한다.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다하나 이들 의 연구는 고귀하고 숭고한 인품을 지닌 위대한 작곡가 바흐, 독일 루터교 교회음악의 완성 자, 최선을 다하는 천재 등의 이미지를 창조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이미지를 전통적인 바 흐의 이미지로 규정하고 이들이 음악학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2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바흐의 세속칸타타를 담론의 중심으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된 것 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1733년을 주목한다. 바흐담론에서 1733년은 바흐의 《1733년 미 사》가 작곡되고 이것이 드레스덴 궁정에 헌정된 해로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바흐담론은 이 시기 바흐가 모두 5곡의 세속칸타타를 작곡하였고, 이들 역시 드레스덴 궁정에 헌정되었다 는 사실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이 글이 시도하는 것이 이러한 기존의 시각에서 종교와 세속 의 날선 구분을 잠시 내려놓은 채 이것을 넘어선 바흐의 일상을 재구성하는 일이다. 이는 바 흐의 세속칸타타(또는 그의 《1733년 미사》)를 작곡가의 ‘특별한 과외 활동’으로 간주하지 않고, 그의 음악활동의 일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며 또한, 이것은 드레스덴을 향한 바흐의 동경, 또는 야심이 그의 대표작인 《1733년 미사》뿐 아니라 이 시기 작곡된 그의 세속칸타 타들을 통해서도 일관되게 구현되었다는 것을 말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2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의 양적 형질을 다변량으로 분석하여 유연관계를 해석하고, 품종을 분류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172품종의 군집분석 결과 7군으로 분류되었다. 제Ⅰ군에는 장단백목 외 13품종이 속하였으며, 100립중이 가장 무거운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Ⅱ군에는 충북백 외 111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짧으며, 1주종실중이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Ⅲ군에는 호서콩 외 5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긴 만생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Ⅳ군에는 팔달콩 외 3품종이 속하였으며,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Ⅴ군에는 광교콩 외 26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조생종이었고, 경장이 짧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Ⅵ군에는 소명콩 외 5품종이 속하였고, 분지수가 많은 품종들이 분류되었다. 제Ⅶ군에는 아가4호 외 3품종이 속하였고, 경장, 협수 및 1주립수가 가장 많은 품종들과 100립중이 가장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28.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이 주목하는 문제는 바흐연구와 신음악학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음악학의 지류 중 가장 보수적이라 평가받는 바흐연구는 과연 신음악학과 관련이 있는가 또는 없는가라는 질문을 다루고 있다는 의미이다. 1985년 미국의 음악학자 커만은 자신의 저서, 『음악을 생 각한다』를 통해 당시 음악학의 연구대상과 방법론 등을 비판하고 이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커만이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커만 스스로에 의해 비평, 그리고 이후 학자들에 의해 신음악학이라 명명되었다. 그러나 과연 신음악학이 바흐연구에도 침투 하였는지, 또는 하지 못하였는지 논의하고 있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글은 이러한 질 문을 염두에 두고 1950년대 이후 바흐연구가 지나온 행적을 분석함으로써 신음악학의 영향 력을 진단하려 한다.
        29.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mma amino butyric acid (GABA), known as a non-protein amino acid and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has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neurotransmission, induction of hypotension, tranquilizer, and diuretic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high GABA in fermented soy curd. Thirty-two strains of tofu-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which a traditional Korean food fermented with many kind of microorganism. Among 32 strains, four strains (strain No. 10, 104, 214, 249) formed firm soycurd. In order to select lactic acid bacteria having high GABA producing potential, the isolated strains were cultured in the soymilk and fermented for 48 hr at 37℃. A strain No. 383, which showed highest GABA contents in fermented soycurd, was identified as L. sakei by 16S rDNA sequencing and API analysis, and named as L. sakei 383. L. sakei 383 showed optimal growth up to 24 hr at 35℃ in MRS broth. The optimal time and temperature for GABA production were 18 hr and 35°C in soymilk. In the optimal condition time and temperature, GABA content of fermented soycurd by L. sakei 383 was 8.65 mg/100 g.
        30.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칸타타는 합창, 아리아, 레치타티보, 그리고 코랄 등의 다양한 편성 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각 악장이 제시하는 음악 역시 무척이나 다양한 양식과 작곡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칸타타의 가사도 그것의 음악 못지않은 다양한 층위의 역사 적, 신학적 의미의 결을 보여준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특별히 바흐의 칸타타에는 당대 의 신학적 흐름을 반영하는 정통루터교와 경건주의의 신학언어들이 모두 등장하고 있다. 서 로 다른 신학적 지향점을 지닌, 서로 다른 시인들에 의해 구성된 가사는 따라서 음악학적인 분석의 대상이 된다. 이 글은 바흐의 칸타타 가사가 담고 있는 여러 가지 층위의 신학적 의미 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타타 가사의 분석을 통해 정통 루터교와 경건주의의 신 학적 견지가 어떠한 언어로 등장하는지 설명할 것이다.
        3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도시의 외관을 표현하는 경관색채에 관련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없다. 본 연구는 색채의 조사 분석단계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1990년대에 조성된 1기 신도시인 일산신도시와 2000년대에 조성된 2기 신도시인 동탄신도시를 선정하여 상업지역 가로의 건축물과 옥외광고물을 대상으로 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일산신도시와 동탄신도시의 가로경관색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일산신도시가 동탄신도시 보다 무채색의 비율이 5배정도 높게 나타나 정적이고 딱딱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둘째, 두 지역 모두 B계열을 포함한 한색 계열에서 가장 높은 유채색의 비율을 나타냈는데 이는 건물 외관의 짙은 유리창 면적이 넓게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유리창 면적을 제외한 건축외벽의 색에서 무채색이 많이 분포한 일산신도시와 달리 동탄신도시는 난색 계열인 YR계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지역 모두 계열별 색상 분포 그래프의 모양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동탄신도시가 각 계열 안에서좀 더 다양한 색상이 쓰였다. 이와 같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조성된 두 도시의 색채 경관색채 분석에 사용된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다양한 지역의 조사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나단조 미사》작품 자체가 아니라 작품이 만들어지는 전 단계와 전 상황에 주목 한다. 특별히 1730년 이후, '드레스덴'과 관련 있는 몇 가지 상황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리하여 개별적인 사건으로 취급되는 경우 《나단조 미사》와의 연결고리가 미약하게 보일 수 있는 몇몇의 상황들을 보다 큰 문맥으로 엮어 드러나는 함의를 논의한다. 또한, 이 논문은 《나단조 미사》가 탄생하게 되는 음악적 문맥의 재구성에도 관심이 있다. 음악적 문맥의 재 구성이란 새로운 음악양식과 언어를 창조하려는 바흐의 탐구과정을 되짚어 보려는 것이며 이것은 바흐에게 주어진 음악적 전통의 탐구과정을 되짚어 보려는 것이기도 하다. 음악적인 문맥과 시기적인 문맥의 재구성을 통해 이 두 가지 맥락의 공존, 그리고 이러한 공존을 통해 창조되는 작품이야말로 작곡가 바흐의 전형적이며 보편적인 창작과정의 결과물이라는 결론 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34.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요한 세바스천 바흐가 사용한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이론적 인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에 관련된 관습 조명을 위한 기초 작업임과 동시에 이러한 관습이 빚어내는 바흐 음악의 '적절한' 템포 설정을 위한 이론적인 출발점이기도 하다.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관습들은 18세기 초 반 독일의 이론서에 담긴 논의들에 천착함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17세 기를 거치며 사라져가는, 그리고 결국 새롭고 현대적인 개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으로 대체 되어 가는 정량기호체계 이론의 잔영이 18세기 초 독일 문헌에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것이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 이해를 위한 근본적인 전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논문투고일자
        40.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동축 다중체계의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사면에 구축하고 토양수분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대상사면을 정밀 측량하여 정밀 수치지형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고 흐름분배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측정지점을 선정하였고 역 측량을 통한 효율적인 측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2003년 11월중의 380시간 동안의 집중 모니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