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7

        8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북부 지역에 적응하는 옥수수 품종 개발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2017~2018년 중국 요녕성 동항과 연변주 용정에서 18 품종/교잡계를 파종기, 재식거리 및 시비량 등 관행에 따라 재배하여 출사기 성숙기 반응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1. 지역 간의 출사까지의 적산온도 차이가 출사일수의 변이 보다 적으며, 출사일수 차이가 10일 이상인 품종/교잡계는 다청옥, 강다옥, 14GS19/14GS11이었다. 출사일수의 연차변이가 적은 반면 출사까지 적산온도가 큰 경향을 보였다. 2. 동항이나 용정의 적산온도는 북한의 옥수수 숙기 분류기 준에 중간늦종 범위를 벗어나는 늦종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용정에서는 북한 성수군 기준의 늦종 재배 가능하며, 동항은 북한의 수풍, 회천, 신포, 양덕, 평강을 잇는 지역에 해당한다. 3. 평균 수량이 10a 당 1,000 kg 이상인 품종은 신황옥 (1,076 kg), 황다옥(1,023 kg), 그리고 중국 비교품종 Xianyu335, Fulai818도 각각 1,013 kg과 1,038 kg이었다. 18개 품종/교잡 계의 대부분이 중간늦종~늦종 군에 분류되었다. 18개 품종/교 잡계의 대부분이 중간늦종~~늦종 군에 분류되었다. 4. 북한의 각 지역별 재배 가능한 성숙군은, 중산지 혜산은 중간종, 북부 선봉은 중간종~중간늦종, 북부 산간인 중강과 동해안 북부 청진지방은 중간늦종~늦종 재배가능지이며, 그 외 지역은 모두 3,000oC 이상으로 늦종 재배에 충분한 적산온도 를 보였다. 북부산간 고지대인 삼지연, 풍산, 장진은 적산온도 2,000oC 이하 지역으로 옥수수 재배가 어려운 지역으로 나타 났다.
        4,000원
        8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hear and tensile strength properties of adhesive road studs in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s. METHODS: The 300 mm×300 mm×50 mm rectangular specimens were fabricated using asphalt and concrete mixture for installation of road studs. Four 140-mm-radius circular areas were milled on each specimen with depth of 5 mm to install the adhesive road studs. About 100 g of thermal melting adhesive was applied on the milled area, and then the road stud was bonded onto the surface of the asphalt and concrete mixture. Direct shear testing was conducted at a speed of 5 mm/min on the interface between road stud and asphalt and concrete materials. Tensile strength testing was also conducted on the prepared specimens by applying load with increase of 50 kPa per second. These tests were performed not only in dry condition but also in wet condition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isture on the shear and tensile strengths. RESULTS : According to the shear testing results, the average shear strength of asphalt samples in dry and wet conditions are 0.509 and 0.234 MPa, respectively. From this testing, the shear strength of wet sample was found to be decreased by 50% with respect to that of the dry sample. Similar trends can be observed on the concrete samples.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of asphalt samples was 0.187 MPa at 1.5 mm of displacement in dry condition. The concrete sample has a 0.222 MPa average tensile strength,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asphalt sample because of the rough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sample. CONCLUSIONS: It is determined from this study that the shear and tensile strengths of road stud bonded on the surface of asphalt mixture a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n concrete samples. Regardless of the pavement type, the wet conditioning of the sample can decrease the shear and tensile strength by 50% those of the dry sample. In the future, the quality improvement of adhesive and in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y between road stud and pavement surface.
        4,000원
        8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mong 3 different types of bus stops, specifically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front & back partition,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back partition, and bus stop with open space (referred to as bus stop types Ⅰ, Ⅱ, and Ⅲ, respectively) at urban roadside, using the Anderson-Darling test as statistical method.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data on concentrations of PM2.5 on the 3 types of bus stops at urban roadside were acquired for certain days, with different levels of air quality index (AQI). Secondly, this study accomplished the data processing of removing outliers from acquired data, and the Anderson-Darling test was conducted to estimat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s of PM2.5 in the 3 types of bus stops. RESULTS :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M2.5 for AQI‘ Very High’for bus stop types Ⅰ, Ⅱand Ⅲare 46-179㎍/m3, 66-194㎍/m3, 42- 134㎍/m3, respectively, and for AQI ‘High’for bus stop typesⅠ, Ⅱ and Ⅲ are 16-71㎍/m3, 26-84㎍/m3, and 14-69㎍/m3, respectively. Furthermor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of PM2.5 in AQI were estimated for given measurement dates using the Anderson-Darling test as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for AQI ‘Very High,’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Very High’and‘ High’were determined more likely to occur regardless of bus stop type. With respect to each type of bus stop, the probabilities of ‘Very High’for bus stop type Ⅱ were 93.37% and 98.92%, higher than for the other bus stop types. For AQI ‘High’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Good’were found to be very low, at 0.00% to 3.07%, and occurred mainly for‘ Moderate’and‘ High’in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 High’for bus stop type Ⅱwere analyzed to be greater than 90%, compared to those for the other bus stop typ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hen PM2.5 is analyzed on certain days,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in AQI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type of bus stop.
        4,300원
        8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 세계화의 지속적인 진전과 사회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기업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기업 경쟁의 초점이 물리적 자본 경쟁에서 인적 자본 경쟁으로 점차 변화해 가고 있다. 인적자원의 질은 기업의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생존 및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직의 리더에 대한 기대는 더욱 높아졌다. 조직의 리더들은 높은 윤리적 수준을 바탕으로 구성원과 투명한 의사소통을 통해 동기부여하고, 자기 결정권을 높여주어 급변하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훈련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구성원의 직무성과를 높여주어, 지속적인 기업 성장을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진성리더십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는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으로써 조직 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갈등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들은 이러한 갈등을 관리하거나 완화시키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본 연구는 조직 상황에서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상사와 구성원 간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으로 과업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국 기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약 1주간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36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 중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한 24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갈등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 동에는 부적인(-)인 영향을 미쳤지만, 과업성과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갈등의 매개효과는 진성리더십과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만 나타났다. 그 외 진성리더십과 과업성과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지되지 않은 가설에 대해서는 추가분석을 통해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요약과 함께, 시사점, 한계 및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4,900원
        8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In this study, a numerical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gular velocity and weight of wheel, and density of road-bed particles on corrugation development. METHODS : Discrete element method coupled with rigid body dynamics was applied to simulate a wheel-running circular table with variations in independent parameters, such as wheel angular velocity, wheel weight, and particle density. The position profiles for travel distance from origi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nfirm if the trend from numerical analysis agrees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RESULT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wheel exhibits a clear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corrugation even though the weight of wheel does not demonstrate clear trends for both long-wave and short-wave corrugation. The density of road-bed particles is observed to have clear proportional effect on corrugation development. The movement of corrugation to the running direction, which was observed in previous research, is also observed for various conditions. CONCLUSIONS : The parametric study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with rigid body dynamics clearly exhibits good agreement with analytical solution for initiation of corrugation. The coupled method is confirmed to supply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not be delivered by analytical solution only.
        4,200원
        87.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조직들은 불확실하고 급속도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공을 위해 다각 도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조직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구성원의 자발적 지식공유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의 지식공유 딜레마를 해소시키는 요인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리더십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리더의 언행일치, 즉 행동적 진실성이 그간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리더의 행동으로 제시되어 왔지만, 이를 지식공유와 연결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아울러 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메커니즘에 중점을 둔 연구는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리더의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 관계를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친사회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육군 간부 329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계적 에너지는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관계적 에너지와 지식공유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부하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행동적 진실성의 간접효과 또한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더 강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적 진실성과 지식공유 두 변수간의 관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연구의 말미에 기술하였다.
        5,700원
        9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t different types of roadside bus stops in an urban environment, and analyze the tendencies in PM2.5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dex. METHODS :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t roadside bus stops, we collected data such as PM2.5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oncentration levels at different types of bus stops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only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In addition, the daily variation i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levels of fine PM2.5 in the target area for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were 18.40㎍/㎥ to 108.27㎍/㎥, 22.81㎍/㎥ to 135.51㎍/㎥, and 16.62㎍/㎥ to 81.52㎍/㎥, respectively. According to air quality index levels during the target measurement period, the bus stop with an open space had the least concentration levels of PM2.5 compared to the other bus stops.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M2.5 concentration levels usually increased during the peak hour period in the morning and gradually increased after 2 pm until the end of the peak hour period at night, regardless of the bus stop typ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effect of PM2.5 concentration levels on the atmospheric, weather, environmental,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in a target area, and the variation in concentration levels depending on the type of bus stop.
        4,000원
        9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9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관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PM, probiotic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계 Hy-Line Brown 240수를 4처리구로 구분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복합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복합생균제 3(PM3, 복합생균제 0.3%), 복합생균제 5(PM5, 복합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산란율, 계란 호우유니트, 난각두께, 난각강도, 난황색 및 농후난백 높이는 PM3, PM5가 CON 및 CP3에 비해서 높았다. 계분으로부터 암모니아, E. coli, 총호기성균, Coliform, Salmonella 균수는 CON>CP3>PM3>PM5 순서로 증가하였다. 본 결과는 B. subtillus, 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 0.3%가 산란율, 계란품질 개선 및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을 낮추어 양계장 악취저감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 준다.
        4,000원
        9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 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 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 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