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121.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볼트의 변형을 고려한 강재 조립 합성보의 휨거동에 대한 해석기법 및 결과가 제시되었다. 볼트의 변형, 합성효과 및 접촉면의 마찰이 합성보의 휨거동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볼트의 변형이 합성보의 휨거동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BAQUS의 Nonlinear Spring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볼트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유한요소 모델에 의해서 처짐, 휨응력, 전단응력이 계산되었으며 이런 결과는 완전 비합성보, 부분 합성보 및 완전 합성보의 해석 값과 비교되었다. 해석결과 합성보의 거동은 강재의 마찰보다 볼트의 갯수로 표현되는 합성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특히 합성률이 50%이상이 되면 볼트의 변형을 고려한 합성보의 휨거동은 완전합성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4,000원
        12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moshenko의 전통적인 보 이론에 근거한 유한 요소의 전단 잠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 변형도법을 적용한 7자유도 공간 박벽 뼈대요소를 개발하였다. 2개의 노드를 갖는 직선 보요소에서 한 요소내의 변형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형상함수를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일의 원리에 따라 강성행렬을 구성하였다. Corotational 기하 비선형 해석법을 이용하여 불평형 하중을 산정하였으며 부재 길이의 비선형 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bowing effect를 정밀하게 고려하였다. 일축 비대칭 단면을 갖는 곡선 외팔보와 이축 비대칭 단면을 갖는 직선 외팔보에 대하여 횡-비틀림 좌굴에 의한 안정 해석과 후좌굴 해석을 수행한 결과 ABAQUS 쉘요소와 좋은 일치를 보여 주었다.
        4,300원
        1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 총 3회에 걸쳐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해역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에 종속영양세균의 수는 각각 표층수에서는 3.5×101~1.16×103 cfu mL-1, 0.4×101~5.6×101 cfu mL
        4,000원
        12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휠체어 추진이 척수손상 환자의 균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척수 완전 손상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휠체어 추진 시뮬레이션 장치와 휠체어를 추진하지 않는 경우와 추진하는 경우 시각피이드백 이용유무에 따른 둔부와 대퇴부의 압력분포와 압력중심이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좌석시트 압력분포 측정도구인 FSA를 사용하였다. 이들 실험도구들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 1) 시각피이드백 이용 없이 휠체어를 추진하지 않는 경우와 추진하는 경우에 압력중심의 흔들림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휠체어 추진 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경우에 척수손상 레벨에 상관없이 압력중심의 흔들림이 모두 감소되었다. 시각피이드백 이용 유무에 따라 흉수상부 손상, 흉수하부 손상, 요수 손상 환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경수 손상 환자의 부위별 좌석시트 압력분포 평균을 보았을 때, 휠체어 추진 시 둔부전방 > 둔부후방 > 대퇴부 후방 > 대퇴부 전방 순으로 압력이 분포되었으며, 휠체어를 추진하면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경우의 부위별 압력 증가비율을 계산한 결과, 둔부전방과 대퇴부 부위로 더 많은 압력증가가 생겼다. 4) 흉수상부 손상 환자의 부위별 좌석시트 압력분포 평균을 보았을 때 휠체어 추진 시 둔부전방 > 대퇴부 후방 > 둔부후방 > 대퇴부 전방 순으로 압력이 분포되었으며, 휠체어를 추진하면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경우의 부위별 압력 증가비율을 계산한 결과 둔부전방과 대퇴부 부위로 더 많은 압력증가가 생겼다. 5) 흉수하부 손상 환자의 부위별 좌석시트 압력분포 평균을 보았을 때 휠체어 추진 시 둔부전방 > 대퇴부 후방 > 둔부후방 > 대퇴부 전방 순으로 압력이 분포되었으며, 휠체어를 추진하면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경우의 부위별 압력 증가비율을 계산한 결과 대퇴부 부위로 더 많은 압력증가가 생겼다. 6) 요수 손상 환자의 부위별 좌석시트 압력분포 평균을 보았을 때 휠체어 추진 시 둔부전방 > 둔부 후방 > 대퇴부 후방 > 대퇴부 전방 순으로 압력이 분포되었으며, 휠체어를 추진하면서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경우의 부위별 압력 증가비율을 계산한 결과 둔부후방으로의 압력 증가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하고, 다음으로 대퇴부 전방, 그리고 대퇴부 후방 순이었다. 결론 :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휠체어 추진 시 척수손상 레벨에 상관없이 압력중심의 흔들림이 모두 감소하였다. 또한, 전방 또는 전후방으로의 압력분포 변화를 통해 균형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움직임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시각피이드백을 이용한 휠체어 추진이 척수손상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5,800원
        12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레넬 프리즘 (Fresnel Prism)을 제공하여 편측무시 현상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한 명의 대상에 대해 반전연구(ABAB) 설계를 사용하여 2007년 4월 2일부터 동년 4월 27일까지 4주간 주 5회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편측무시 현상은 MVPT,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 ‘X' 지우기 검사를 사용하여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MVPT 수행 시 치료 전 원점수 24점, 좌측반응점수 16점에서 치료 후 원점수 32점, 좌측반응점수 19점으로 증가하였다. 2. 선 나누기 검사 수행 시 평균오차범위가 기초선І에서 33.75%, 실험처치І에서 12.88%, 기초선Ⅱ에서 22.67%, 실험처치Ⅱ에서 13.40%로 점차 감소하였다. 3. 알버트 검사 수행 시 평균오류수가 기초선І에서 14.5개, 실험처치І에서 0.63개, 기초선Ⅱ에서 6.33개, 실험처치Ⅱ에서 0.2개로 점차 감소하였다. 4. ‘X'지우기검사 수행 시 평균오류수가 기초선І에서 11.75개, 실험처치І에서 2개, 기초선Ⅱ에서 7.67개, 실험처치Ⅱ에서 0.4개로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프레넬 프리즘의 사용이 편측무시 현상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프레넬 프리즘의 착용으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면 환자의 일상생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 연구를 통하여 통화 연결 음악(Ring-Back-Tone)의 개성이 통화 상대자의 개성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통화 연결 음악과 통화 상대자의 퍼스널리티를 측정하기 위해, 성격 5요인 모델에서 음악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3가지 요인인 개방성(Openness), 외향성(Extroversion), 신경성(Neuroticism)에 대하여 각 요인에 속하는 4가지 하위 특성(trait)들을 평가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 1(N=15)에서는, 17가지의 통화 연결 음악의 퍼스널리티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3 가지를 선정하여 실험 2에 적용하였다. 실험 2(N=60)에서는 통화 연결 음악의 변화에 따라 동일한 통화 상대자에 대한 퍼스널리티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3가지 통화 연결 음악 및 음악을 설정하지 않은 대조군에 각각 15명의 피실험자들이 참여하였다(N=60). 실험에 적용된 모든 3가지 퍼스널리티 요인에 있어 피실험자들은 통화 상대자 퍼스널리티를 측정하는데 통화 연결 음악의 개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개방성(r=0.722, p<0.01)과 외향성(r=0.753, p<0.01) 요인에서는 통화 상대자와 통화 연결 음악의 퍼스널리티 간에 높은 양의 상관 관계가 도출되었다.
        4,300원
        129.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작업치료사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들의 대학(교) 교육과정 중 재활보조공학 관련 교육 과목을 조사하고, 작업치료사들의 재활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대학(교) 중 30개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작업치료 양성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3월 2일부터 동년 6월 30일까지였다. 둘째, 국내에서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후, 임상경험을 갖고 있는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10월 28일부터 동년 11월 4일까지였다. 결과: 현재 국내 작업치료대학(교) 중 30개 대학(교)의 교육과정 내 재활보조공학 관련 교과목이 4년제 10.9과목, 3년제 9.3과목이 운영되고 있었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치료사는 230명(89.8%)으로 이 중 136명(53.1%)이 대학(교) 수업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들은 재활보조공학이 작업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가장 도움이 되는 영역을 일상생활활동 영역이라 하였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은 대학 교육과정 과목 개설, 협회차원의 보수교육, 타 전문영역과 연계한 워크샵,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는 28점 만점에 평균 10점 정도를 나타내어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식도는 임상경력이 높을수록(p<.05), 학력이 높을수록(p<.01) 높게 나타났다. 결론: 향후 작업치료사가 재활보조공학 전문가로 체계적으로 양성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육과정에 재활보조공학 관련 핵심교과목 개설과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4,200원
        130.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볼트로 체결된 강재 조립 합성보의 휨거동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휨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개의 강재보가 볼트로 체결되어 횡하중을 받을 때 발생하는 볼트의 합성효과, 강판사이의 마찰특성을 고려하였다. 체결에 사용된 볼트의 갯수 및 마찰계수의 변화에 따른 변위, 휨응력 그리고 전단응력을 쉘 요소를 사용한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계산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완전 비합성보, 부분 합성보와 완전 합성보의 해석치와 비교되었다. 해석결과 합성보의 거동은 강재의 마찰보다 볼트의 갯수로 표현되는 합성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합성률이 에 도달할 때 합성보의 거동은 완전 합성보와 유사함을 보였다.
        4,000원
        131.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성지반 위의 비대칭 개/폐단면의 박벽보에 대한 탄성해석 및 안정성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엄밀한 강성행렬을 계산하기 위한 개선된 수치해석 기법을 새롭게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치해석기법은 박벽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엄밀한 강성행렬을 산정하는 선행된 수치해석기법의 결점을 보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은 일반화된 고유치 문제에 관한 해를 얻는 것으로서 일반화된 14개의 변위에 대한 고유치 문제를 평형방정식에 관한 1차의 연립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진다. '0'의 고유치에 대응되는 변위파라미터에 대해 다항식이 가정되며 항등조건으로부터 '0'의 고유치의 수와 동일한 미결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고유 모우드가 결정되고 이로부터 'non-zero'의 고유치와 다항식의 해를 조합함으로써 엄밀한 변위함수가 결정된다. 이후 부재력-변위의 관계를 이용하여 엄밀한 강성행렬을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해석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에 의한 해를 제시하고 보요소 및 쉘요소을 사용한 유한요소해와 비교 검토한다.
        4,500원
        133.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구조의 초기형상해석을 위한 새로운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elastic parabolic cable element)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탄성현수선 케이블요소(elastic catenary cable element)에 대한 적합조건과 접선강도행렬 유도과정을 간략히 한다. 이를 토대로 장력이 충분히 도입되어 자중에 의한 처짐 형상이 포물선에 가깝다는 가정 하에서 무응력길이를 포함하는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의 비선형 힘-변형관계식과 접선강도행렬을 유도한다. 또한 현(chord) 방향으로 두 케이블요소의 등가 장력식을 정의한다. 본 요소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탄성현수선과 탄성포물선 케이블요소를 각각 적용하여 고정하중을 받는 사장교의 초기형상해석을 수행하고 무응력길이, 등가장력, 그리고 최대장력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4,000원
        13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age of infinite competition, quality control plays a huge part in deciding whether companies survive or not. In order to successfully solve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quality in corporate management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I suggest tha
        4,000원
        138.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야차단 유무가 눈-손 협응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Zebris Medical GmbH사의 Winarm software에 의한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기능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시각 손상이 없고, 손 기능 장애가 없는 대학생 4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데이터 결손값과 수행 횟수에 오류를 나타낸 19명을 제외한 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동작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x, y, z 좌표의 수치를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평균속도와 총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오류횟수와 x, y, z 좌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시야차단 유무의 평균차이에 대한 1회와 5회 실시결과 비교시 x 좌표에서 운동감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야 차단 유무가 협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손상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 적용시 운동감각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사용하여 협응력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시각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39.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 내 불편한 공간 및 요소와 위험한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이 두려워하는 사고와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이었다. 설문내용은 가정 내 공간 실태와 불편한 공간 및 요소, 위험한 공간, 사고 관련 항목을 포함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1대1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노인들의 가정 내 공간 중 불편한 공간은 없음 20명(47.6%), 화장실/욕실 11명(26.2%), 부엌 4명(9.5%), 다용도실 4명(9.5%), 침실 2명(4.8%), 현관 1명(2.4%)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는 화장실/욕실의 바닥 미끄러움(2.67±1.43점), 침실의 리모콘 사용(1.90±1.43점), 부엌의 싱크대 높이(1.82±1.22점), 거실의 가전제품 사용(1.65±1.25점), 다용도실의 세탁물 넣고 빼기(2.16±1.53점), 현관의 공간협소(1.63±1.07점)로 나타났다. 위험한 공간은 화장실/욕실 13명(34.2%), 부엌 12명(31.6%), 없음 6명(15.8%), 현관 3명(7.9%). 거실 2명(5.3%), 다용도실 2명(5.3%) 순으로 나타났다. 두려워하는 사고별로는 가스사고가 21명(42.9%), 외부인 침입이 11명(22.4%), 화재로 인한 질식이 9명(18.3%), 낙상이 4명(8.2%), 기타가 3명(6.2%), 화상이 1명(2.0%)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27명(55.1%), 자녀가 10명(20.4%), 기타가 6명(12.3%), 경찰서가 4명(8.2%), 배우자와 병원이 각각 1명(2%)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시 지역 노인들은 없음을 제외하고 화장실/욕실을 가장 불편한 공간으로 여겼으며, 가장 위험한 공간 역시 화장실/욕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사고는 가스 사고였으며,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노인을 위한 건축설계와 가정용품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내 안전성과 기능성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주거 변경을 위한 작업치료접근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노인들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4,600원
        140.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interlanguage pragmatics reveals that they have been modelled on cross-cultural pragmatics. However, in order for interlanguage pragmatics to contribute in the area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should examine how L2 pragmatic competence develops as L2 linguistic competence increases. Therefore, interlanguage pragmatics studies should be modelled on acquisitional pragmatics. As an effort to explore developmental features of pragmatic competence by linguistic profici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ech act behaviors of three linguistically distinctive groups. A total of 159 English learners, which consisted of high school 1st and 2nd graders, university freshmen, and university seni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written responses to the 7 situations in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ponse length, vocabulary, request forms, and the use of please. The three groups showed different behavioral patterns in the realization of requests and complaints, utilizing different linguistic strategies to be responsive to the social factors. For future research, expanding learner population to include very low and high level learners, developing a new research tool other than DCT, a more systematic grouping by linguistic proficiency were suggested.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