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2

        14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ole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 gene is critical for lipid metabolism and for maintaining homeostasis in adipocytes. Association between Hanwoo carcass traits and FABP4 gene g.7516G>C SNP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however, its association and how does it influence Korean brindle and black cattle has not been demonstrated and established till date.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planned to analyze the SNP associati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g.7516G>C) in FABP4 gene and gather genetic information on economic traits of Korean brindle cattle and black cattle. As per sequence of bovine FABP4 gene available (Genbank accession No. NC_007312.4), one pair of primers (5’-ATA TAG TCC ATA GGG TGG CAA AGA-3’ and 5’-AAC CTC TCT TTG AAT TCT CCA TTC T-3’) was designed to amplify a 452bp product of the FABP4 gene including the region of 7417–7868. The SNP,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s using restriction enzyme MspA1I, was genotyped in 117 animals of brindle cattle and 24 animals of black cattle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BP4 genotype significantly (p<0.05) affect with carcass weigh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ny other economic traits was observed in brindle as well as in black catt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NP (g.7516G>C), located in FABP4 gene, could be used as important DNA marker of economic traits in Korean brindle cattle. Furthermore, we suggest that additional samples needs to further analysed to make related data exclusively authentic.
        4,000원
        14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lanocortin receptor type 4 (MC4R) gene is expressed in the hypothalamus and regulates energy intake and body weight.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obesity and energy balance in human were also regulated by the MC4R gen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lymorphism on the MC4R gene SNP C1786T and its association with economic traits in Korean native cattle (brindle and black cattle) by PCR-RFLP. A total of 125 cattle from the two breeds were tested for economic traits (meat quality index, backfat, thickness, carcass weight, longissimus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AS program. In the results, C allele had highest frequency than G allele frequency in the both breeds and the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t quantity index and backfat thickness in brindle cattle breed. However, in black cattle, the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issimus muscle area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786T SNP of the MC4R gene may be useful as a genetic marker for economic traits in the brindle and black cattle.
        4,000원
        147.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I) failure in 1,619 Korean native cows at Gangwon East area, Korea. The average AI failure rate was 37.02% in the cows and the highest rate was 40.85% in Yangyang-city. Based on the parity in the cows, the AI failure rate was 49.14% and 29.91% in the first and fifth parity cows, respectively. Whereas cows until fifth parity were decreased in AI failure, cows with sixth or more parity showed an upturning AI failure trends with the increasing of parity number. AI failure rate incidence according to the rump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und was 28.9% and 33.4% at 5 mm to 10 mm and over than 15 mm,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0.2186) between AI failure rate of mother and that of their offspring cows. That is, offspring of dams with high AI failure rate showed also higher AI failure than those of dams having lower AI failure rat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I failure rate was closely related to the rump fat thickness, parity number, and conception rate of mother cows. In addition, these results might strengthen the basis to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Korean native cows.
        4,000원
        14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암호의 수질변동과 주요 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의 경우, 수온은 3.8~21.2􀆆C, 수소이온농도(pH)는 6.7~8.6, 전기전도도는 64~76 μs cm-1, 용존산소량(DO)은 5.3~13.2 mg L-1,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2.5~3.3mg L-1, 부유물질(SS)은 1.0~5.1 mg L-1, 총질소(TN)는 0.622~0.841 mg L-1, 총인(T-P)은 0.007~0.019 mg L-1, Chl-a 농도는 2.8~8.8 mg m-3로 나타났다. 수정 Carlson 지수(TSIm)에 따른 영양단계 평가 결과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53종으로 규조류 28종,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기타 9종이 확인되었다. 현존량은 113~2,909 cells mL-1의 범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종수는 16종으로 출현 분류군별로는 윤충류 10종,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4종과 2종이 확인되었고 현존량은 309~435 ind. L-1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2목 21과 33종으로 103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등 줄하루살이였고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은 총 9종으로 정수식물 8종, 부유식물 1종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돼지풀과 물참새피가 출현하였다. 어류는 총 30종 613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33.3%의 고유도를 나타냈고, 외래도입어종은 3종으로 침투도 10.0%로 나타났다.
        4,000원
        14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의 봄철1회 및 2회 이용 시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수원)에서 조생종 ‘Kowinearly’ 품종을 공시, 2009년 9월 30일에 파종하여 2010년 6월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1차 수확시기로 출수시(T1), 출수기(T2), 출수후기∼개화초기(T3), 개화기∼개화후기(T4), 등숙기(T5) 및 등숙후기(T6) 등 6처리였으며, 2차 수량조사는 6월 11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owinearly’의 출수시는 5월 4∼5일, 출수기는 5월 14일, 도복은 개화 이후 많이 관찰되었다. 건물률은 T1 14.8%에서 T6 35.0%로 생육진행에 따라 높아졌으며, 조단백질, RFV, 건물 소화율 등 사료가치는 생육 지연에 따라 낮아졌다. 건물수량과 가소화 건물수량은 T4에서ha당 각각 8,984 kg과 5,728 kg으로, 조단백질 수량은 T3에서 795 k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재생초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은 T1과 T2에서차이 없이 각각 5,425 kg, 596 kg, 3,204 kg (T1)과 4,811 kg,589 kg, 3,143 kg (T2)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은 T2와 T3에서차이 없이 각각 11,089 kg, 1,254 kg, 7,669 kg (T2)과 10,354kg, 1,225 kg, 6,915 kg (T3)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일당 건물생산량과 일당 가소화건물생산량은 1차 생육은T2, T3, T4에서, 재생초는 T2, T1에서 높았으며, 전 기간일당생산량에서는 출수기인 T2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T3, T4, T1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IRG‘Kowinearly’를 봄철에 1회 수확하여 이용할 경우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고려한 수확적기는 출수후기∼개화기이며, 봄철 2회 수확하여 이용할 경우 재생과 단위면적당 총 생산량을 고려한 1차 수확적기는 출수기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50.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Speeding is often the primary contributor to fatal crashes. Surprisingly, driving behaviors are indirectly affected by personal factors such as law-abidance, risk sensitivity, and situational adaptability.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vement markings at reducing the speeds of high-risk dr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drivers (including law-abiding or law-breaking, high-risk or low-risk) react to different pavement markings in a driving simulator. METHODS: The five different pavement markings were selected from markings used in other nations. The forty-two drivers were then surveyed, via questionnaires, and placed into the corresponding groups. Finall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speed reduction for each pavement marking. RESULTS: Higher speeds were linked to the high-risk drivers. Furthermore, after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 of average speeds by pavement marking, it was determined that Dragon's Teeth had the greatest speed reducing effect on these drivers. CONCLUSIONS: Perceptual countermeasures are unlikely to strongly affect high-risk drivers' perception of speed on the curves. This statistically demonstrates that Dragon's Teeth have a subtle effect on reducing speeds in the driving simulator.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high-risk drivers in terms of road facilities. It approaches the effects of various patterns of pavement markings for high-risk drivers.
        4,000원
        15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Road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can guarantee road alignments with safety factors, however it can be hard work to deal with general car accident factors in only this evaluation index. Ideal Road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is show the mutual balance of road alignment and human factors with a variety of factors for road safety.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overall road safety evaluations which are methods of running speeding consistency and car platoon safety analysis (driver's behaviors factors) as well. RESULTS: Out of 13 sections in a experimental road layout, safety factors of 8 sections showed 'Good' or 'Fair' status. However, 'Poor' results were found out in 5 sections. Particularly, it showed the different outcomes among the 4 evaluation methods used in this study. CONCLUSIONS: Road safety counter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potentially dangerous sections in road which failed to identify in the other method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 future study of more reliable Road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in the future for road safety.
        4,000원
        154.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의 활용으로 수입 사료를 줄이고 사료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갈대(Phragmites communis)를 공시하여 생육시기별사료가치와 재생 및 생산성을 구명하였다. 시험 1은 경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2009년 5월부터 2010년 4월까지 7생육시기별사료가치를 분석하였으며, 시험 2는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 2011년 5월부터11월까지 10시기별로 수량과 사료가치 및 재생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 1) 5월부터 갈대의생육이 진행될수록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조단백질 함량은 2009년 5월, 7월, 9월, 2010년 4월 말에 수확하였을 때 각각 7.7%, 4.6%, 3.7%, 2.2%로, 상대사료가치 (RFV)는 각각 80.2,65.1, 61.8, 52.8로, 건물 소화율은 각각 59.3%,46.9%, 42.2%, 36.4%로 감소하였다. 반면 리그닌 함량은 7.1%, 9.9%, 12.0%, 13.2%로 크게증가하였다. (시험 2) 1차 수확한 갈대의 생육과 수량은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 수확시 양호하였으며, 조단백질, RFV, 건물소화율 등 사료가치는 시험 1과 마찬가지로 생육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1차 수확이 빠를수록 갈대의 재생은 양호한 경향이나 7월 말 이후는 차이가작았고, 8월 이후 재생은 매우 부진하였다. 연간 수량은 2011년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말에 수확하였을 때 건물수량은 각각7,329 kg/ha, 12,527 kg, 9,593 kg, 8,279 kg, 7,649kg, 5,822 kg, 5,540 kg으로,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1,067 kg/ha, 1,201 kg, 1,046 kg, 533 kg, 377kg, 258 kg, 175 kg으로, 가소화 건물수량은 각각 3,924 kg/ha, 5,264 kg, 4,273 kg, 3,322 kg,3,352 kg, 2,195 kg 및 1,887 kg으로 낮아졌다(p<0.05). 본 연구에서 RFV를 기준한 갈대의조사료 (건초) 품질등급은 5월 갈대는 4등급 (다소 불량), 6~9월 갈대는 5등급 (불량), 10월, 11월 및 이듬 해 4월 갈대는 6등급 (부적합)이었으며, 재생 갈대는 모두 4등급 (다소 불량)으로분류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는 늦어도 7월 안으로 수확․사료화 하는 것 이 양호한 가소화 건물수량과 볏짚 이상의 사료적 가치를 기대할 수 있어 권장되었다. 아울러 갈대의 재생은 전반적으로 불량하였고 1차수량이 연간 수량의 70% 이상을 점유하였으며,갈대는 연 1회 수확하여 사료화 이용이 바람직하였다.
        4,000원
        157.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악산 오색계곡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오색교(325m)에서 대청봉(1,708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500m(WI=79.0℃·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0)에 대하여 해발 500m(WI=79.0), 900m(WI=63.6),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Eig.=0.27)에 대하여 해발 1,1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7,000원
        15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organisms from the littoral and pelagic regions, and considers particularly trophic levels vs. zooplankton abundances. Zooplankton samples, collected every 3 months over a year from 2010 to 2011 at 29 temperate lakes and reservoirs, which belong to two different river basins (Youngsan and Seomjin River). The spatial pattern of rotifers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This reflected the fact that rotifers strongly dominated the zooplankton community. There were considerable spatial variations in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NOVA,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littoral and pelagic regions in abundance of zooplankton (ANOVA, p=0.205). The mean abundance of zooplankton in eutrophic system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esotrophic system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index were not shown in both trophic systems.
        4,000원
        16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 영산강∙섬진강 수계 29개 호소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61종, 녹조강 157종, 남조강 39종, 기타 67여종으로 총 424종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4차 조사시기에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대동호, 대동제, 소포제, 군곡제, 개초제, 둔전제 지점에서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였고, 영산호를 비롯한 하천형 호소에서는 비교적 빈약한 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점에서 20% 이상의 우점율을 보인 종은 대부분 규조류였고 2차와 3차 조사에서 녹조류와 남조류도 우점의 빈도가 높아졌다. 개체군 밀도는 조사 호소나 시기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없었고 특정 종의 성장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의 농도는 조사호소와 시기에 따른 편차가 매우 컸으며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와 클로로필-a의 농도 사이에는 매우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