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2

        19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lect the forage millet variety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reclaimed tideland, forage and feed value compared for 16 millet cultivars grown at the Saemangyem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April to August in 2014-2015. In order to select barnyard millet for forage that substitute rice, a total of 16 germplasm were collected, including germplasm in retained by the Rud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Center, and domestic and foreign germplasm which other researches were retaining in Korea. Out of the 16 germplasm, including Jeju barnyard grass (JBG), were initially selected which are late-heading, long plant height, wide leaves, seed shatter-resistant, and with high dry forage yield in Saemangyem reclaimed tideland. The highes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barnyard millet were 78.4 ton ha-1, and 21.1ton ha-1 in transplanting May 10. The content of proline was the highest in JBG and IT153610 variety. Total phenol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JBG and the lowest in PI183332 variety, but very high in yield ability were selected; JBG was selected.
        4,000원
        19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markers allow rapid screening of crop varieties in early growth stages. We developed a modified SNP PCR procedure for assaying SNPs in maize. For SNP marker development, we chosen 200 SNP sites from MaizeGDB database, and designed two base pair mismatch primers based on putative SNP site of B73 genome sequence. PCR products size was from 200 to 500 bp or was not shown in the case of SNP site existing in Korean silage corns. Using previously discovered 16 primer sets, we investigated distinctness of 50 silage F1 hybrid corns including 10 Korean silage corns developed by RDA such as Gangdaok, Kwangpyeongok, Dapyeongok, Andaok, Yanganok, Singwangok, Jangdaok, Cheongdaok, Pyeonggangok, and Pyeonganok as well as 40 foreign commercial silage corns. From cluster analysis, we confirmed that 10 Korean silage F1 hybrid corns were clearly distinguished except for Singwangok, P1395, and several foreign commercial corns, and selected minimum SNP primer combination for Gangdaok, Jangdaok, Pyeonggangok, and Pyeonganok. Therefore, development of SNP marker sets might be faster, cheaper, and feasible breed discrimination method through simple PCR and agarose gel electrophoresis.
        4,000원
        19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bial inoculation as additive consisting of novel lactic acid bacteria on qua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zation of Miscanthus sinnensis silages.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in treatments of additive of lactic acid bacteria (ALAB) inoculation had similar to control. pH of Miscanthus sinnensis (MS) silage in treatments of ALAB inoc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 in treatments of ALAB inoc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ut the content of acetic acid in treatments of ALAB inoculation decreased. In addition,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treatments of ALAB inoc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refor, we suggest that MS silage improved by inoculation of additive consisting of novel lactic acid bacteria.
        4,000원
        19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유자돈 시기에 자돈의 성장성적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돈의 사료섭취량을 극대화하는 것은 중요 하다. 본 연구는 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의 향미제의 사용이 이유자돈의 성장성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 체중 6.43±0.955kg의 3원 교잡종 ([Yorkshire×Landrace])×Duroc) 160두를 공시하였으며, 4처리 5반복 펜당 8마리씩 성별과 체중에 따 라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1)향미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 2)밀크-바닐라향 0.3%를 첨가 한 사료 3)버터향 0.3%를 첨가한 사료 4)어분향 0.3%를 첨가한 사료이다. 실험결과 성장성적, 혈액성 상 및 설사지수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미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향미제를 0.3% 첨가한 사료는 그렇지 않은 사료에 비해 이유자돈의 성장성적이나 혈액성상에 있어서 아무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기 때 사료 내 다른 에너지 수준 및 비테 인 첨가 급여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삼원교잡종(L×Y×D; initial body weight, 73.5±0.5kg) 거세 수퇘지 12두를 사용하였고 대사틀에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은 고온기인 7~8월에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에너지 2수 준(3,300 및 3,400kcal/kg)과 비테인 2수준(0 및 0.5%)이며 4×4 Latin square로 하였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고에너지 사료(3,400kcal/kg)가 저에너지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다(p<0.01). 그러나, 비테인급여는 영양소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에너지 수 준 및 비테인 첨가가 육성돈 내 생리적 변화를 보이지 않 았다.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혈중 IgG에서는 고에너지 사료 가 저에너지사료보다 높았으나(p<0.05)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cortisol농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고, 비테인 첨가급여는 IgG 및 cortisol 농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비테인 첨가급여보다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돼지 체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여 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는 돼지 사료 내 고에너지를 급여 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후 더 연구해 볼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0.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농후사료 다량 급여 시 나타나는 산통은 발생하지 않으면서 증체량은 높일 수 있는 적정 농후사료 급여 횟수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제주산마 13두를 이용하여 12주간 농후사 료 급여 횟수(체중의 2.5%를 2, 3, 4회)를 달리하여 급여하였다. 이때 건초와 물은 무제한 급여하 였다. 번식마의 농후사료 급여 횟수에 따른 산통 발생을 조사한 결과 혈액 내 피브리노겐 함량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농후사료 급여 횟수별 증체량 조사 결과, 총 증체량은 일 일 4회 급여구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일당증체량은 8~12주에서 일일 4회 급여구의 경우 높 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장내 pH와 직장온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 범위 내에 있었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번식마에게 체 중의 2.5%의 농후사료의 급여 횟수 조절에 따른 산통 발생과 증체에는 차이가 없는 것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