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

        181.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수많은 정보들을 쉽고 빠르게 제공하는 인터넷과 다양한 언론매체들의 속에서 접하고 있는 우리는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의사 소통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정보전달이라고 할 때,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정부는 2019 년 7월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명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한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법이 개정되어 공공기관 및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은 학력, 신체조건, 가족관계, 출신지 등의 불합리한 편견 요인을 제외 하고 면접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발성, 발음, 억양 등의 교정을 받기 위해 스피치 학원을 통해 해결책을 찾고 있는 취업준비 생들이 많이 있다. 이외에도 직장인들에게도 스피치는 중요한 부분인기 때문에 화술 및 화법의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곳을 찾고 있지만 대면으로 교육을 받기에는 시간적, 금전적으로 만만치 않기 때문에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FGI와 심층인터뷰 진행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자들에게 효율성, 편리성, 접근성 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는 스피치 교육 앱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 앱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상관없이 스피치 능력을 향상 시켜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182.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이 점차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청각장애인들이 다양한 기기 들을 활용하여 비장애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였던 부분들이 직접이나 간접적으로 완화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 한 보조기기들의 역할들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청각장애인들의 불편한 점을 이해하지 못하여 불편함을 겪고 있다. 청각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회 생활영역에서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한 차별 금지법을 개정한지 12년이 되었지만 아직 까지 장애인들이 겪는 불편함은 여전히 겪고 있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 기반으로 청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소통지원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구현하였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청각장애인들이 보조기기나 중개인 없이 비장 애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논문의 범주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글 파이어베이스 개발 플랫폼으로 개발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테스트 랩과 성능테스트를 사용 하였으며 결과에서 Slow rendering과 Frozen frames의 항목에서 Activity항목들이 현 출시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비교 하였을 때 속도 면에서 문제가 없었으며, 특히 Login Activity값과 Search Activity값은 높게 나왔다. 어떠한 스마트 폰만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쉽게 앱 스토어에서 다운받아 비장애인들도 같이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서로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iOS와 웹 시스템을 추후 개발함과 동시에 이 시스템의 중요한 목적인 중계지원 서비스를 확대하여 청각장애인들의 사회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조금이나마 해소하고자 하는데 있다.
        183.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국제교류에서 나타난 의사소통의 영역별 내용과 그 의미를 탐색하여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만 5세 두 반 유아와 담임교사 2인, 푸에르토리코, 일본, 중국, 아프리카, 태국과 1년 간 국제교류를 주고받은 내용을 질적 사례연구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국제교류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내용은 ‘듣기: 친구에게 귀 기울이기, 다름을 이해하기’, ‘말하기: 서로를 배려하는 말하기’, ‘읽기: 기다렸던 읽기’, ‘쓰기: 다양한 표상적 놀이’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교류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의미는 ‘귀 기울임을 통한 다문화 언어 이해’, ‘의사소통의 주체자로서의 유아’, ‘경험이 역량으로: 세계와 관계 맺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장기간의 국제교류에서도 유아들이 주체가 되어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점, 이러한 경험을 통해 문화간 민감성, 문화적 인식을 아우르는 문화적 역량이 향상될 수 있음을 제시한 점이다.
        18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 및 참여정도가 의사소통역량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재학생 1~6학년 중 다문화가정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5부를 제외한 103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고,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라 의사 소통역량의 하위요소인 목표설정역량, 해석역량, 메시지전환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라 또래관계의 하위요소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역량은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향상과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정부차원에서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85.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 모형을 개발·적용한 후, 그 효과와 현장 적합성을 검증해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ercu(1998)와 Moran(2001) 의 문화 수업 모형과 교사 및 학생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을 5, 6학년 각 1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약 3개월 간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고, 실험 전․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소인 지식, 기능, 인식, 태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의 차후 실행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18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eong Yeun Ku. 2017. Development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elecollaboration with American Peers.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271-29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a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with American peers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CC) and their perception of the a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A total of 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rade six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of 16 students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1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ICC levels were evaluated with 21 questions based on Fantini’s ICC assessment scale before and after the telecollaborative learning with American peers. While telecollaborating with 28 American peers of grade five, the experimental group shared information on 8 different topics for two academic semesters. On the completion of collaborating with their American pee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only expected to answer the 20 questions related to the experience on the telecollaboration with American peers. The study found that (1)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nefit from a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with American peers in developing their ICC, (2) especially, the telecollaboration is of a great use in developing their knowledge and awareness of other culture, and (3) the students perceived the experience of telecollaboration to be an effective learning in terms of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n class. At last, the implication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given.
        18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의사소통학적 접근이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한 [수학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을 교육대학원생 49명에게 적용한 후 <수학적 신념 검사지>를 통해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고, 인터뷰 희망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신념 변화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개발한 교육과정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에 대한 반영적 설문(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과 그 이유)과 그룹 발표의 대표적인 사례를(내용 요약⋅발표 및 실제 현장 적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학적 접근의 교사교육과정을 통해 교사의 신념에 대한 인식은 연속적인 상호작용성, 맥락 의존성, 양방향성, 교사 역량 의존성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학적 특징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개발한 교육과정의 활동들이(의사소통학적 관 점의 학술 논문에 대한 비평적 사고, 그룹 토의와 전체 토의)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을 주 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교육기관에서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8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24일까지 총 4회기 가족원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 사전·사후 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부모 대상자 8명 중 5명의 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보다 사후 점수가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3명의 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보다 사후 점수가 1~2점 정도 감소하여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용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설 문지 통계분석 결과, 개방형 의사소통(36.67→38.33)과 문제형 의사소통(34.89→37.22)의 평균이 증가하였고, 전체 점수 또한 프로그램 전 평균 70.44점에서 프로그램 후 평균 76.56점으로 6.12점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으며 유의확률이 0.02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 과가 나타났다.
        18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과 ‘협력학습’의 바탕에 내 러티브 기반 영어동화책을 소재로 하여 학생의 정의적 측면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모 두 신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영어 동화책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뒤 협력적 활동을 실시하였다. 의사소통능력신 장을 위해서는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는 6학년 학생 93명 대상, 주당 3시간으로 1년간 이루어졌으며, 1-2차시에는 네 기 본문형 연습과 협력학습의 방법으로 주요표현의 듣고, 말하기 활동을 하였다. 3차시에는 1-2차시에 배운 표현을 쓰는 활동을 하였으며 이때도 역시 협력학습의 방법을 활용하였 다. 4차시에는 목표표현이 포함된 영어 동화책을 읽었으며, 5차시에는 학생들이 목표표 현과 영어동화책의 내용을 활용하여 역할극 대본을 쓰고 역할극을 하였다. 6차시에는 평가 및 과제 점검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동화책의 교훈적인 요 소를 내면화하고, 협력학습을 통해 정의적 측면이 향상되었다.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은 학생들의 문법 감각을 길러주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이 이루 어졌다.
        19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동,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과 관련된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예방, 개 입하기 위해서는 핵심 이해 당사자인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및 이와 관련된 부모-자녀 관계 의 속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부모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 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은 온라인 게임 인식 질문지를 사용 하여 4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및 자녀의 온라인 게임 이용 에 대한 태도 및 반응에서 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을 예측하는 변 인을 알아보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집단에서, 그리고 통제적인 양 육태도와 역기능적이지 않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각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과 관련 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 환경 및 부모-자녀 관계의 맥락에서 아동, 청소년의 게임 이용 문제를 고찰하고, 부모의 게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191.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전용 커뮤니케이션 앱을 활용한 쌍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교사-어머니 의사소통 에 참여한 어머니, 교사 경험을 분석해 봄으로써 상호 호혜적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노출, 단편적·형식적 의사소통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커뮤니케 이션 앱을 활용한 교사-어머니 의사소통은 첫째, 기존의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제약점을 개선하고 활성 화 하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교사와 어머니, 유아 모두에게 이롭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앱의 기능을 잘 활용하면 유아에 대한 상담이나 자세한 이야기도 충분히 나눌 수 있다. 넷째, 교사와 어머니 간 신뢰감 및 상호친밀감의 기회를 마련하며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192.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CT(computational thinking)를 기반으로 공유와 리믹스 기능을 활용한 스크래치 프 로그래밍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과정은 초등학교 5, 6학년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 간 사이버수업으로 실시되었다. 스크래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학생들은 댓글활동 및 모둠활동과 더불어 작품 공유 및 리믹스를 하는 활동에 계속해서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들은 실생활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향 상을 보인 학생들의 공통점은 스크래치의 공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고, 리믹스 기 능을 2회 이상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에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능력도 고루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CT를 기반으로 설계한 스크래치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창의 적인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준다고 볼 수 있겠다.
        19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 간 의사사통과 갈등 양상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다문화가정 자녀 185명을 조사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결과 농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갈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갈등요인 중 가족관계 갈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정체성갈등, 국가 및 지역정체성 갈등, 친구관계갈등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갈등은 평소 따돌림 경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갈등하위변인인 가족관계 갈등인식은 따돌림 경험과 모국적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아정체성 갈등인식은 연령과 따돌림 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친구관계갈등 또한 따돌림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간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아동의 성별과 연령 및 모 국적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 간 의사소통유형과 갈등 간 관련성은 갈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은 자녀갈등과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으며, 부-모 간 문제형 의사소통은 갈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있어서는 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따돌림 경험여부, 모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 간 개방형 의사사통 수준이 높을수록, 따돌림 경험이 낮을수록 아동의 갈등이 낮으며 동시에 갈등인식이 낮아지고 또래관계도 원만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격한 인구감소와 이농현상이 심각한 농촌지역에 차세대 인적자원인 다문화가정 자녀 육성지원에 대한 방향성 제공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19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마트 시대라 불리는 21세기에 교사의 전문성은 소통능력이라 전제하고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부터 예비교사들의 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내러티브 활용 교육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는 인간과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개별적인 경험과 사건을 유의미하게 연관 짓는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소통능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동안 예비교사들이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일부로 전공 및 교양 과목과 더불어 공통으로 이수해야하는 교직이론과목은 방대한 양의 이론적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설명 위주 강의 방식을 개선 및 보완하며 학습자들 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러티브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196.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박조직의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부정적 영향으로서의 집단 갈등에 주목하여 의사소통과 갈등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 집단 갈등이 집단 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선박조직과 육상조직 사이의 의사소통이 집단간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록 육상조직과의 갈등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박조직구성원 사이의 의사소통이 선박조직의 집단 내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선박구성원 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선내 구성원간의 갈등은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박조직과 육상조직간의 집단간 갈등과 선박조직내 구성원간의 갈등은 선박조직의 집단응집성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집단응집성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문화 시대에 미적 사고와 감성을 표현하여 자연스럽게 시각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초등미술교육에서 아동이 미적 체험한 대상을 표현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다른 대상과 외현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매개체인 조형언어가 학습되어야 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학습과정에서는 멀티미디어라는 디지털 비디오 본래의 특징을 활용하여 시청각적이며 미적인 소통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내용과 이야기 구조를 구성한다. 주제 및 탐색 단계에서는 주제 선정을 위한 브레인스토밍과 스토리보딩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표현방법을 탐색한다. 표현단계는 클레이로 장면별 모습을 만드는 활동부터 비디오, 사진 촬영, 소리 녹음, 음악 확보 후에 무비 메이커(windows movie maker)로 동영상을 편집하는 활동으로 전개된다.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아동 중심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어야한다. 아동이 접하고 있는 시각문화에서의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시각적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99.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의 홍수사상을 모의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는 HEC-HMS와 하도의 수리해석에 이용되고 있는 HEC-RAS를 결합시켜 직렬보 운영에 따른 홍수 소통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절차를 확립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을 적용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주요 지류를 대상으로 38개 소유역을 분할하여 유역추적을 실시하였으며, 유역추적기법은 Clark법을 채택하였다. 또한 하도의 홍수추적은 HEC-RAS의 부정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홍수파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직렬보 운영에 따른 하도의 주요지점에 대한 홍수 소통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