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2

        181.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국민을 참여시킨 X-프로젝트를 분석, 국민이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과정과 실제적 참여, 그리고 사회적 효과와한계는 무엇인지 논의한다. X-프로젝트는 2015년 12명의 민간 위원이 추진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하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원한 사업이다. 국민은 일상에서 겪는 아픔이나문제를 반영한 6,212개의 질문을 제기했으며, X-프로젝트 위원, 학계와 출연연 전문가, 정부정책담당자가 모여 50개 질문으로 국민의 요청을 연구과제화하고 연구팀을 공모했다. 대학, 정부출연연 연구자뿐 아니라 고등학생, 대학원생, 일반인, 기업인 포함 310개 연구팀이 신청했고 최종 54개 연구팀이 선정됐다. X-프로젝트 참여자, 비참여자 및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국민참여형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광범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발견했다. 대중의 아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연구의 필요성은 물론 이 연구에 대중의 직접 참여가 가능함을 발견했다. 둘째, 시민들이 생산한 지식이 전문가들의 시각에서도 유용하다는 발견이다. 전문 연구자들은 국민이 제기한 질문이 매우 참신하고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셋째, 국민참여형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실행으로 시민들이 과학기술 발전의 수혜자가 아닌 발전에 기여하는주체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인식했다는 발견이다. 그러나 국민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동기 부여,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아이디어 제기부터 연구에 이르는 전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개선, 일반인 연구자와 전문 연구자가 협업할 수 있는 방법 및 제도의 개선은 앞으로의 과제로 지적되었다.
        9,900원
        182.
        2016.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활동 참여와 자율성 및 삶의 질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 학년, 거주 형태, 본인의 종교, 한 달 용돈 등 다양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데이터가 빠진 항목을 제외한 118부를 분석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대학생들은 ‘전화 혹은 컴퓨터로 다른 사람과 연락하기’(한 달에 19회 이상)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활동에 있어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집안/주변에서의 활동에서 가장 낮은 자율성을 느끼 고 있었으며, 신체적 기능은 좋지만 활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한 달 용돈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건강한 대학생들의 참여와 자율성 및 삶의 질의 현황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향후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작업의 참여를 권장하고 자율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8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및 기능적 특성과 참여 수준에 따른 작업적 목표활동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 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기능 및 참여 수준에 대해 평가하고 자신의 원하는 목표활동을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얻어진 자료로 일반적인 특성, 기능 및 참여 수준에 따라 목표활동의 빈도를 분석하고 작업의 하위 개념에 따라 분류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dow Version. 18.0으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서 남자 뇌졸중 환자는 운전하기, 여자 뇌졸중 환자는 식사준비하기가 가장 원하는 목표활동이었다. 손상측에 따라서는 우세측 마비 환자는 젓가락질하기, 비우세측 마비 환자는 식사준비 하기가 가장 원하는 목표활동이었다. 기능적 특성 중 독립성의 수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의존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운전하기, 의존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화장실가기, 실내 이동하기가 가장 원하는 목표활동이었다. 참여수준에 따른 목표활동은 일상생활활동의 참여가 높은 집단에서는 대중교통이용하기, 사회활동의 참여가 높은 집단에 서는 텃밭 가꾸기, 여가활동의 참여가 높은 집단에서는 운전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및 기능적 특성과 참여 수준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작업적 목표를 분석해보아 작업치료사들에게 목표설정 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4,200원
        18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사회참여도를 평가하는 사회참여 척도(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RNL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RNLI를 번역-역번역하여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안면타당도 검증은 K-RNLI(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대상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도 정도로 검사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은 K-RNLI와 Frenchay 일상생활활동 자기평가 지수(Frenchay Activities Index; FAI), 삶의 만족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도구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 가를 검증하였다. K-RNLI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K-RNLI 도구 전체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85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안면타당도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K-RNLI는 FAI(γ=.74) 와 SWLS(γ=.54)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신뢰도 검증에서는 내적일치도가 Cronbach’s α 값이 .9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9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사회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 로써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K-RNLI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사회참여 수준을 파악하고 중재계 획 및 중재결과, 연구를 위한 유용한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000원
        185.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자 아이돌 그룹에 대한 선호도 및 팬덤 활동 참여 의도 결정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아이돌 그룹 유형별 선호도 결정 요인 을 일반 기획사 및 메이저 기획사 소속 아이돌에 대한 선호도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일반 기획사 소속 여자 아이돌 그룹 선호도 결정 요인은 외부 선호도와 여성적 매력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요인은 남자 응답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저 기획 사 소속 여자 아이돌 그룹 선호도의 경우, 음악성 및 여성적 매력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설명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아이돌 그룹 팬덤 활동 참여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 과, 음악성을 포함해 외부 선호도와 여성적 매력 요인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 자보다는 남자 응답자들의 팬덤 활동 참여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400원
        186.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 여성들이 학생상담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을 통해 청소년기 자녀 에 대한 이해 변화와 자기성장을 이루어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지역의 학생 상담자원봉사협의회에서 4년 이상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주로 40대에서 50대의 여성 봉사자 9명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청소년기 자녀 이해 변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 장의 아이들을 접하면서 이들은 청소년기 아이들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청소년기 자녀 이해 과정 에서 이들은 자녀의 마음 읽기, 기다려주기 등 공감적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셋째, 상담 봉사 경험을 하게 되면서 자녀 양육태도도 점검하게 되고 부모-자녀관계의 개선을 위해 자신을 변화시키 고 있었다. 넷째, 상담교육과 경험을 통해 얻은 의사소통기술이나 대화법 등의 실제적 적용은 자녀와의 의 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자녀와의 관계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연구 참여자들은 봉사활동 경험을 통하여 자기성장의 의미를 터득하고 있었다. 첫째, 상담 관련 교육을 받고 공부하는 과정 에서 봉사자들은 자기주도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둘째, 상담 관련 교육과 경험은 자기이해와 자기반 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상담봉사활동을 통해 자기만족감, 성취감을 느끼고 있으며, 자아 존중감 향상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봉사활동을 통하여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 중할 수 있는 태도도 기르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상담자원봉사협의회의 회원으로 함께 활동하며 소속감 과 사회적 지지 향상에 도움을 얻게 되었다.
        6,400원
        18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 적용이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 치매특별등급 대상자를 위한 활동 중심형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매특별등급을 받은 3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한국 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측정(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한국형 활 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여 일상생활 및 활동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통해 활동 및 중재 목 표를 설정하였다. 중재로 선택한 활동을 관찰 후 20단계로 단계화하고 대상자가 단계를 따라 수행하도 록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후의 대상자의 활동참여 수준, 중재 목표의 수행 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였으며 중재 기간 동안 활동 수행률의 변화는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활동 수준 점수가 증가되었으며 중재 활동의 과제수행률과 수행도 및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를 적용한 활동 중심 프로그램은 치매 특별등급 대상 자를 위한 작업치료의 실제적 모델을 제공하여 치매서비스 영역에서 작업치료 분야의 전문성 확보에 기 여할 수 있다.
        4,900원
        189.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approach is recognized in the field of health promotion as a way to optimize intervention for promoting health by taking into account specific social, economic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of the community. However, the CBPR approach has not been applied in the field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elf-perceived satisfaction of therapists and disabilities on the Short-term Intensive Home-based Rehabilitation (SIHR) program developed using the CBPR approach as well as determine the points that need improvement.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IHR program was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by both the researchers and four therapists on the basis of the CBPR approach. The SIHR program was administered to four disability for 1 hour a day, 2 or 3 times a week, for 8 weeks, and their self-rehabilitation was monitored once a week for 4 weeks. After all intervention peri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he therapists and disability. Results: The therapis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SIHR program, such as behavioral change technique and goal-directed training.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rogram through a community network. Disabilities were satisfied with the therapists’ persuasive and emotionally interactive way of delivering the SIHR program as well as the individually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and physical improvement. The short period (8 weeks) of the SIHR program was noted by both therapists and disabilities as the part that needs improvement. Conclusion: The SIHR program developed using the CBPR approach was feasible and satisfying to therapists and disabilities. However, a longer SIHR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mmunity networks could help therapists effectively utilize community resources and thereby provide mor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y.
        4,500원
        19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EO leadership and employee’s concerning and participation to quality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is critical factor for improving the business performance. This empirical study is aims to find that whether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is significant or not in the automotive parts suppliers. To perform this research, we distributed 250 sheets totally, and withdraw 194 sheets. We analysed 169 sheets that we could use for this research using SPSS 18.0 and AMOS 18.0. We had the results that CEO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es’s participation to quality management. And the result of process improvement have positively effec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duct improvement result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4,200원
        19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참여 향상을 위한 중재를 방법과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근거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Scopus, Pubmed와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검색 용어로 “Participation AND Occupation therapy AND Intervention”을 사용하였다. 2차 분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12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결과는 연구의 질적 수준 및 동향, 중재 방법의 종류, 중재가 적용된 환경, 중재의 대상 클라이언트, 참여 평가도구, 동시에 측정된 종속변인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과 논문의 편수는 증 가하고 있는 양상이며, 중재는 만성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평가도구는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연구자들 은 ‘삶의 질’을 참여와 동시에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참여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 현황을 종합적으로 알 아봄으로써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 증진을 위한 작 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500원
        19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비스기업에게 있어서 고객은 부분적 종업원으로서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이때, 서비스접점에서의 중 요한 고객의 역할로 종업원의 역할내 행동과 유사한 개념으로 고객참여행동과 종업원의 역할외 행동과 유사한 개념으로 고객시민행동이 언급되고 있다. 고객참여행동은 필수적인 반면, 고객시민행동은 자발적 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접점종업원의 직무에 미치는 이 두 고객역할의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접점종업원의 직무와 관련한 고객의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기술적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는 접점종업원의 직무성과는 고객시민행동보다 고객참여행 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기능적 측면으로 이해되는 접점종업원의 직무만족은 고객참여행동보다 고객시민행동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에 의한 접점종업원의 직무성과 및 만족을 관리하기 위해서, 서비스기업이 필요한 가치공동창출 역할로서의 고객행동 을 명확히 이해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5,400원
        19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knowledge. The nutrition-exercise educational period was 12 weeks. The subjects were 160 adult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8.1 years. W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diet history, eating habits, and intake frequencies of six food groups by survey. A total of 94 women among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 nutrition knowledge evaluations and anthropometric data assessment. After the program,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 % of body fat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BMI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25.14 to 24.80 kg/m2,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79.72 to 77.63 cm.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subject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from 8.01 to 9.03. However, there was little change in employ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trition-exercise education program may improve obesity index and nutrition knowledg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weight control program for workers.
        4,000원
        19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산림의 68.1%를 차지하고 있는 사유림은 소규모 영세성과 분산된 임야, 부재 산주 등의 이유로 관리와 경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1995년 32개의 도농복합도시가 56개로 늘어나 는 상황에서 도농복합도시에서의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위한 대책은 더욱 시급하다. 이 연구는 도농복 합도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산림 실태에 대한 인식과 산림경영에 대한 참여의사 분석을 통 해 향후 사유림 경영에 대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지는 울 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는 소호리 지역으로서, 전체 산림면적의 약 92.7%가 사유림이며, 우리나라 최초로 협업체가 조성된 곳으로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사유림 활성화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라 할 수 있다. 도농복합도시에 살고 있는 5개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심층설문면접조사를 통해 총 80부 중 72부의 유효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SPSS 12.0K을 활용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를 위해 t-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마을 원주민과 이주민은 산림 실태에 대한 인식과 산 림경영에 대한 참여의사에 관하여 차이를 보였으며, 산지은행제도와 같은 방치되고 있는 산림을 매매나 임대차의 형태로 푸는 것은 현실적으로 해답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때문에 지역주민을 이용 한 새로운 형태의 규모화 전략을 수립 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9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하여 산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또 한 선행 연구에서 자료가 미비한 일반국민의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참여 산림경영의 문제점으로 개인,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는 대부분 정부의 다양한 정보제 공과 권유의 부족, 제도의 불안정을 지적하였으며, 정부는 일반국민들의 무관심과 복잡한 법률체계 등 을 지적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일반국민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주간 2차례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은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 참여 의향, 참여 형태, 참여단계, 일반국민·기업·시민단체 의 국유림 경영사업 참여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 총 16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이해당 사자의 국유림 경영 참여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무관심(29.5%)’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기업의 경우는‘자사 이기주의(31.5%)’, 시민단체의 경우는‘전문성 결여(32.9%)’가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으며, 여러 이해당사자의 효율적인 국유림 경영 참여 방안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대 국민 국유림 경영 관련 정보 제공(30.0%)’이, 기업의 경우‘협력시스템 구축(26.0%)’이, 시민단체의 경 우‘시민단체의 전문자문/세미나 활성화(32.9%)’가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4,500원
        19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해당 지역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참여 학생들의 지리학 개념 이해 및 지리공간기술 이용 능력이 향상되는지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관악산의 등산로를 개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지오투어리즘 논의, 관악산 관련 지형학 이론, 지역사회 참여 지리학 등의 개념을 적용하고 GIS, GPS, Google Earth와 같은 지리공간기술을 이용하였다. 프로젝트 수행 결과, 등산로를 따라 주요 지형경관에 대한 사진·동영상·설명, 환경 놀이, 경로 난이도 정보 등이 포함된 결과물이 산출되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와 관련된 지리적 개념 이해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지리공간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사회의 관계자들 역시 본 연구의 결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4,800원
        198.
        2015.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2009년 10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Pubmed(Medline)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elderly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odemography OR gender OR “social support” OR fall OR depression OR “self esteem” OR hope OR cognit*)을 사용하였다. Pubmed에서 총 737개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최종적으로 19개의 논문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노인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연령, 성별, 낙상, 시·청각 기능, 인지 기능, 우울, 이웃과의 관계 등이 보고되었고, 이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인의 참여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노인의 참여에 예방·중재 접근을 할 때에는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후 연구에서는 노인의 참여와 관련된 요인들 간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고 요인들 간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규명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9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rticip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elderly and to identify their affecting factors.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77 rural and urban elderl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Outpatient Physical Therapy Improvement in Movement Log (OPTIMAL),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and Utrecht Scale for Evaluation of Rehabilitation-Participation (USER-Particip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Results : All four func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relating to participati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A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in rural elderly (r=-.486, p<.01), and a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 urban elderly (r=.598, p<.05). The main affecting factor was self-esteem in the urban elderly (p<.01).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elderly, and the rural elderly were found to have more weaknesses than those from an urban area. An intervention program for participation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between those from rural and urban areas.
        4,200원
        20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effect on level of leisure activity in stroke patients.Methods : Since 12 November 2014 until 19 December, we have collected a data about participation restrictions, a leisure motivation, and 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 Targeting 125 inpatients/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that are over 55 years old. For the data analysis, we implemented a descriptive statistic,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Results : The study shows that the stroke patients’ level of current leisure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The leisure motivation in subordinate area, it manifest a correlation that is significant in learn, self-development, a health, and social. And it showed a significant of personally restrictions in subordinate area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The element that effects on a level of current leisure activity, it resulted as personal restrictions, learn and social of leisure motivation, the explanation ability was analysed as to 20.0%.Conclusion : Need to utilize an intervention method to maintain a healthy life in participating a leisure activity for the stroke patients, and it is needed of an approach towards restrictions elements and motivator for the leisure interven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