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18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항균물질의 탐색이 활발하다. 선행연구에서 새로운 항균활성물질을 생산하는 세균이 한국토양에서 분리되어 Paenibacillus polymyxa DY1으로 동정 및 명명되었으며, 다제내성 장내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 특성이 규명되어 새로운 항생물질로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배지의 탄소원, 무기질소원, 유기질소원,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의 영양 조성물과 물리화학적 생장조건이 P. polymyxa DY1 균체의 생장과 항균활성 생산에 미치는
        4,000원
        18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copper alloy metal fiber for an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water soluble metal working fluids. Electrochemical potential of Cu/Zn ion is -268mV, and easily makes radicals with molecular oxygen. Especially, hydroperoxide radical shows strong toxicity to the strains. Plasma membrane causes conformational change when hydroperoxide radical binds to plasma membrane. Elution of copper ion from copper alloy metal fiber is detected in metal working fluid. As a result antimicrobial activity of copper alloy metal fiber in metal working fluid is superior to that of copper fiber.
        4,000원
        183.
        200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결과 동결건조된 감귤과피 70%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36.8 ㎎%였으며 감귤과피 추출물 0.01, 0.02와 0.1%의 EDA는 각각 89.6, 86, 81.3%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34.4%, pH 7.0에서 19.5%를 나타내어 산성 영역에서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옥배유의 경우 TBHQ 〉 BHT 〉 TOC 〉 ChEx 〉 EaEx 〉 EtEx 〉 WaEx 〉 Control 순이었고, 채종유의 경우 TBHQ 〉 ChEx 〉 EaEx 〉 BHT 〉 EtEx 〉 WaEx 〉 TOC 〉 Control 순이었다. 두 유지모두에서 에틸아세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에탄올추출물(EtEx)과 물추출물(WaEx)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감귤과피의 각 용매별 추출물의 공액이중산가도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높았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TBHQ보다는 낮았으나 BHT, 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거의 유사하거나 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감귤과피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었고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항균효과도 상승하였으며 이 효과는 그램 양성, 음성균주에서 고르게 나타나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 과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와 항균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감귤 과피의 기능성 이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감귤 가공 후 생기는 부산물들의 식품산업에서의 유용성도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85.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식품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이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차조기의 무기질은 Ca와 Mg 함량이 각각 595.75 mg%와 467.0 mg%으로 가장 많았다. 에탄올 혼합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95%에탄올 추출물은 9.3%, 70% 추출물은 16.5%, 50% 추출물은 18.9%, 30% 추출물은 19.4%, 물추출물(0%)에서는 20.8%이었다.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hexane 층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성분은 감소하고 ethyl acetate 층 분획성분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항균력은 95%, 70%와 50% 에탄올 추출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및 Pseudomonas areuginosa에 대하여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을 단계별 계통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균력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실험 대상 미생물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혼합율이 낮을수록 즉, 30% 에탄올과 물추출물의 ethyl acetate분획물의 저해환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첨가한 액체배양에서 500 ppm의 농도에서는 S. aureus, B. subtilis와 P. aeruginosa에 대하여 대조구의 뚜렷한 증가와 대조적으로 낮은 생균수를 보였으며, 1,000 ppm의 농도에서는 실험 균주 모두에 대하여 배양 24시간 내내 생육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추출과 에탄올 추출의 농도와 항균 활성,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비례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으나 3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분획물이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9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emella fuciformis 자실체를 diethylether로 추출 후 농축하여 Muller-Hinton calf serum의 agar 배지에 100 ㎕ 씩 주입 후 4일 동안 배양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하여 13 mm의 성장저해환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가지고 diethyl ether : methanol : water (1:8:1) 용매로 TLC 분리를 하여 Rf=0.95인 곳에서 12 mm, Rf=0.5에서 6 mm 그리고 Rf=0.1에서 8 mm의 저해환이 나타났으며 이것을 Waters symmetry 300 C18 5 ㎕ column으로 HPLC 분리하여 3개의 peak를 얻었 으며 이중에서 rf=0.95이 단일 peak로 나타나 순수분리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cosmetics are emulsion products that contain the source of nutrition vegetable oil, mineral oil, natural extract and carbohydrate etc.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o be contaminated by microbia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with thiamine dilauryl sulfate(TDS), which was prepared to use cosmetic lotion formulation.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and Escherichia col(E. coli) were used as test organism. MIC value of TDS was determined aganist microorganism for the growth inhibition by concentration of TDS. From the MIC results, antimicrobial effect of TDS was generally more effective to gram positive than gram negative. Antimicrobial effect with pH value against some microorganism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 pH 5 > pH 6 > pH 7. It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and weak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If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formulations with TDS, it would be effective to reduce the artificial preservatives.
        4,000원
        197.
        200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allic nanoparticles against bacteria was investigated. Silver, copper, and titania nanoparticles were tested. The bacteria species E. coli and B. subtilis were selected as models for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respectively. Bacteriological tests were performed in Luria-Bertani (LB) medium or Nutrient (NT) medium on solid agar plate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noparticles in the range of 0 to 150 μg/mL. Silver and copper nanoparticles were shown to be an effective bactericide. However, titania nanoparticles were found to be ineffective as an antimicrobial agent. It appears that E. coli cells are more sensitive to the copper nanoparticles than to silver nanoparticles and B. subtilis cells have similar sensitivity against both copper and silver nanoparticles.
        4,000원
        200.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 호부추(LL), 재래종 부추(LM) 및 약부추(LS)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86~437mg%이었으며 LS〉 LM〉 LL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품종의 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도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LSEx 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유지에 대한 항산화력을 과산화물가(POV)와 공액이중결합산량으로 측정 비교한 결과 3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 모두 0.02% 첨가 종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α-tocopherol 보다 높고 BHT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품종 별로 보면 LSEx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약부추와 그 에탄올추출물이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옥배유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추 3품종의 에탄올추출물 모두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이들 모두 Pseudomonas에 대하여 높은 저해성을 보였으며 위의 각종 이화학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재래종 부추의 에탄올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고른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3가지 품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들 중 항산화력은 소립종인 약부추가, 항균력은 중립종인 재래종 부추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든 추출물들에서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3종 부추 모두 항산화와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 충분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