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7

        20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습지는 수질정화, 재해관리, 생물서식처 제공, 기후변화 대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닌다. 특히 습지는 환경적인 이수기능 뿐만 아니라 유속과 수위를 낮추는 치수기능 목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하천변 인공습지의 조성은 홍수조절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습지의 수질정화 기능과 종의 다양성 등에 생태적 기능에 관한 것이 대부분으로,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중류 유역에 속하는 목감천에 대하여 인공습지 조성 전과 후의 수리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안양천중류 유역에 속하는 목감천을 대상유역으로 하여 HEC-HMS 모형을 통한 유출량을 산정하고 수리모형인 HEC-GeoRAS모형으로 가상의 인공습지를 모형화하여 습지 조성 전·후 수위와 유속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자료를 토대로 대상유역의 인공습지 조성 전·후에 대한 수리특성을 검토하고 수위, 유속 변동에 따른 목감천의 홍수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습지 조성 사업 시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며, 설계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환경오염에 관한 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까지의 수질관리는 생활하수나 산업폐수와 같은 점오염원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점오염원의 관리로는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의 처리가 주목받고 있다. 비점오염원은 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성을 가진 표면에 쌓인 오염원이 강우 시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발생량 및 배출량이 기상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정부의 4대강 물 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수계 전체 오염원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부하가 42~6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65~7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적절한 수질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비점오염원의 처리방법 중 하나인 인공습지는 인간이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자연습지를 모방하여 설계 및 건설하고, 운영하는 습지를 지칭한다. 이러한 인공습지는 비점오염원을 저감하여 오염정도를 완화시키고 수생태계 복원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허재규, 인공습이 조성 후 오염물질 제거와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시 사능천·진건천 인공습지의 수질 및 유량을 조사하여,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저감 및 오염하천의 정화를 위해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03.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larifying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rshy Ericaceae plants on Mt. Changbai in China. The marshy Ericaceae plants in wetland of Mt. Changbai were investigated on about 1400 m altitude. This region is various developmental wetlands and vegetation mixture of needle-leaf trees and broad-leaf trees. This region also is start point of the coniferous forest zone in Mt. Changbai. As results of these researches, L. palustre var. diversipilosum and L. palustre var. decumbens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in Larix olgensis var. amurensis community. R.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var. parvifolium community appeared as a typical community. Environmental conditions of L. palustre var. diversipilosum and L. palustre var. decumbens populations' habitats are more soil humidity and shade condition. R.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var. parvifolium community habitat, however, has more deposits and humidity condition. Therefore when the plants were cultivated, we should recognize the growth condition such as maintenance of humidity and control deposits. The flora of marshy Ericaceae speci
        20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ect fauna were surveyed in 2011 at Ungok wetland, Obeygol, located in Gochang, Jeonbuk, Korea. In total, 149 species belonging to 11 orders and 57 families were surveyed. Among them, Lepidopterans composed 23.5% (35 species) of the total insect numbers surveyed, comprising the most abundant group, and followed by Coleoptera, Hemiptera, and Odonata with a composition of 22.1% (33 species), 17.4% (26 species), and 10.1% (15 species), respectively.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followed by 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and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Phytophagous insects accounted for 60 percent of the total species.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spring by 0.21.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ices were the highest in summer by 4.07, 11.84 and 0.96, respectively. In the study area, the legally-protect species were grouped into five groups; 9 export-restricted species, 17 endemic species, 28 indicator species, 1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and 3 southern characteristic species. Additionally, twenty forest insect pest species were surveyed, belonging to 5 orders and 15 famil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and appropriate management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habitats to continuously conserve and maintain of wetland.
        205.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functions of 10 man-made wetlands in Gunsan City, Jeollabuk Province by means of RAM (Rapid Assessment Method), a technique recommended by Ramsar Convention to appraise wetlands. The assessment of the wetlands value found Gunsan reservoir to have the highest function points while Bukchosan reservoir was estimated to have the lowest function among the wetlands surveyed. By detailed factors of valued 10 man-made wetland, the wetlands were found to function most favorably in terms of vegetational variety and as habitat for wild animals. They need to have more improved functions as habitats for fish and amphibians․reptiles, for preservation and betterment of water quality as well as for supplement of underground water, though. From the assessment of vegetational naturalness of the surveyed reservoirs, Gunsan reservoir turned out to be the most favorable wetland from the viewpoint of vegetation science whereas, however, Anjeong wetland was rated as the lowest in the assessment of vegetational value due to simplicity in its vegetation and lots of dangers in its neighborhood threatening its vegetation and ecology. The assessment of vegetational values for Gunsan, Gongchang, Daewi, Bukchosan, Anjeong, Geumgul, Changan and Chuksan reservoirs showed the same orextremely similar results as RAM function assessment. Geumsan reservoir only, however, featured the opposite result.
        20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습지나 자연습지 모두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홍수를 저감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복원되는 습지에서 자연습지와 유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연습지와 유사한 패턴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바로 대조습지에 대한 조사 및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생태적 식재 설계의 접근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국립수목원의 수생식물원에 도입가능한 수종 선정과 배치를 위해서 현지내 서식중인 수종, 대조습지내에서 관찰된 수종, 그리고 각종 문헌에서 나타난 수종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만들고자 하는 수생식물원의 습지 유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자 하였다. 우선 대조습지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자리형 6개, 웅덩이형 4개, 경사형 1개 등 총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식생과 토양을 조사하였다. 11개의 대조습지내에서 관찰된 습지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가장자리 습지에서 50종, 경사 습지에서 18종, 웅덩이 습지에서 16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생식물과 수심 등 환경조건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결과 기존의 연구와는 큰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으나, 수심에 따른 명확한 분포 패턴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즉,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리연꽃이나 마름은 수심 50cm-130cm까지로 나타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심 20cm 지역에서도 우점수종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토양 분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토양산도 pH 5.6-6.8의 범위에 있는 약산성~중성에 가까운 토양을 사용하고, 전기전도도는 0.2ms/100g 이하, 양이온치환용량은 20me/100g의 범위에 있는 토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현재 국립수목원내 수생식물원에는 총 37과 88종이 식재되어 있으며, 수생식물의 확산 및 경쟁에 의해 군락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식재된 식물의 분류 기준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수생식물원에 도입할 습지식물의 선정은 각종 문헌 및 대조습지 조사, 기존 수생식물원내 분포하고 있는 종들을 모두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수생식물원에 도입할 습지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보면, 가장자리 습지에 21종, 경사 습지는 20종, 그리고 웅덩이 습지에는 63종을 선정하였다. 한편, 선정된 식물들은 각각의 습지 유형별로 입지시켰으며, 습지식물의 배치시에는 수생식물원 내부의 입지적 특성과 분류군별 특성을 고려하였다. 특히, 수생식물의 성장 및 분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심과의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배치하였는데, 정수식물의 수심은 50cm 이내, 부엽식물은 30-60cm 범위 내에서 서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엽식물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수심이 변동하는 구간은 가급적 피하도록 하여 갈수기에 잎이 습지 저면에 닿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침수식물은 수심에 큰 지장을 받지 않으나, 가급적 50-150cm 이내의 수심을 가진 지역에서는 모두 도입하고, 침수식물은 가급적 수질정화력이 높은 식물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부유식물은 특별한 수심을 요구하지 않으나, 수위변동 구간에 식재하여 갈수기에 식물체가 습지 저면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습지지역에서 나타나는 식생 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습지를 조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적 식재 설계 모델을 위한 기초 연구로 볼 수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자연습지에 대한 조사 및 분석, 환경인자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인 모델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207.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on evaluating vegetative value of wetland and RAM evaluation targeting the man-made wetland in Gunsan, Gunsan Reservoir and Gongchang Reservoir had been found to have satisfactory results while Anjeong Reservoir and Changan Reservoir had been found to have unsatisfactory results. Aimed at those reservoirs, a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erms of flora and growth habit. As for the flora, Gunsan Reservoir ranked first with 433 kinds of plants, followed by Gongchang Reservoir with 306, Changan Reservoir with 176 and Anjeong Reservoir with 167. As for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istic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Gunsan Reservoir had 18 species, larger than other wetlands and also, it had more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than others.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various wetland environments resulted from wider area of Gunsan Reservoir. In the case of dormancy form, hemicryptophyt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Gunsan Reservoir and Gongchang Reservoir while annual plants were mainly distributed in Anjeong Reservoir and Changan Reservoir with heavy disturbance.
        208.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Jang-San wetlan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wetland covers wide and flat area comparing to its outside. The samples of the wetland soi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iles and 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soil moistur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wetland soil mostly belongs to sandy loam with the soil moistures of 14.9-153.2%. The soil profiles are configured with O, A, B, and C horizons from the land surface. The organic matter content (2.38-16.7%) at most sampling locations decreases downwardly with the highest at 0-20 cm depth. The organic matter content has a goo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il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wetland soils contain quartz and feldspar (the main components of rhyolite porphyry) as well as montmorillonite, gibbsite, and kaolinite (the weathered products of feldspar). The wetland soil displays the highest iron concentration (average 22,052 mg/kg), indicating oxidation of iron. High concentrations of potassium (average 17,822 mg/kg) and sodium (average 5,394 mg/kg) originate from the weathering of feldspar. Among anions, sulfate concentration is highest with average 9.21 mg/kg that may originate from sulfate minerals and atmosphere.
        21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천시 무의도 습지 주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현황과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무의도 습지의 식생은 2개의 군락군과 6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습지 내에는 땅귀개-흰개수염 군락군으로 대표되며 2개의 군락(고양이수염군락과 갈대군락)이 분포하였고 습지 주변에는 오리나무 군락군으로 대표되며 4개의 군락(진퍼리새군락, 쇠보리군락, 졸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억새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관속식물의 종류조성은 30과 53속 50종 8변종, 총 58분류군이며, 그중 피자식물이 주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중 한국특산식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땅귀개와 이삭귀개, 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아까시나무, 1분류군만이 관찰되었다. 환경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땅귀개와 이삭귀개 등 2분류군, II등급은 돌양지꽃, I등급은 굴참나무와 애기쉽싸리 등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소산식물의 생활형을 보면, 수생식물이 전체의 20.7%인 12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1년생식물은 1종류만이 관찰되었다. 무의도의 marsh형 습지는 다양한 습지식물이 분포하며, 식충식물인 땅귀개와 이삭귀개가 우점하고 물이끼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Bog(산성습원)형태로 진행 중인 습지로 판단된다. 습지의 주변은 인간간섭에 의한 훼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시급한 보전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211.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initial changes in the microbial activities of wetland soil after construction, dehydrogenase activity (DHA) and denitrification potential (DNP) of soil from 1 natural wetland and 2 newly constructed wetlands were monitor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aepyung marsh as a natural wetland, a treatment wetland in the West Nakdong River, and an experimental wetland in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HA of the natural wetland soil was 6.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wetland and similar to that of the treatment wetland 6 months after wetland construction (fall). Few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NP between the soil samples from the natural wetland and 2 constructed wetlands four months after wetland construction (summer). However, 6 months after the construction (fall), the DNP of the soil samples from the natural wetland was 12.9 times and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wetland and the treatment wetland,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organic matter as a carbon source in the wetland soil affects the DHA of wetland soil. Seasonal variation of wetland environment, acclimation time under anaerobic or anoxic wetland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carbon source also affect the DNP of the wetland soil. The results imply that the newly constructed wetland requires some period of time for having the better contaminant removal performance through biogeochemical processes. Therefore, those microbial activities and related indicators could be considered for wetland management such as oper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wetlands.
        212.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Shinbulsan wetland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gree of recovery of habitat by comparing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zone D to that of zone A, intact habitat. The zone D was destruc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golf club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in zone A and zone D of Shinbulsan wetland. The seasonal survey was performed in April, July and September from 2006 to 2007. From the sampling, 2 phyla, 3 classes, 9 orders, 31 families, 69 species and 1155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From zone A,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54 species and 678 individuals were identified. From zone D,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43 species and 477 individuals were identified.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ere higher in zone A than in zone D. The recovery of zone D was inefficient as humidity of soil was not enough to live macroinvertebrates. Also, an endangered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Nannophya pygmaea was found during this investigation.
        214.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biodiversity and life forms of plants distributed in 28 wetlands on Jeju city, in order to apply wetlands to nature exploration sit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131 kinds of the plants were found on 28 wetlands. The plant biodiversity was relatively high in Ban pond, Jeongmool, Mosanimool, Dolgaegi pond, Woot pond, and etc. The 5~6 life forms of plants, relatively high in variousness to other wet lands, were distributed in Mosanimool, Dolgaegi pond, Woot pond, and Yeonhoa pond as well as Jeongmool and Yongsoo reservoir. The 71 kinds, which correspond to 54.2% of plants observe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hydrophytes. The 4~5 forms of hydrophytes were distributed on 23 wetlands, including Jeongmool, Mosanimool, Yongsoo reservoir, Ban pond, Dolgaegi pond, and etc. In conclusion, 5 wetlands such as Jeongmool, Yongsoo reservoir, Dolgaegi pond, Mosanimool and Woot pond were high in variousness of plant life forms as well as biodiversity of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5 wetlands above could be applied as nature exploration sites. In addition,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s such as Isoetes japonica, Nymphoides coreana, Utricularia japonica and Sparganium stoloniferum in this study need to be conserved.
        216.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습지보전 계획수립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심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은 57과 155속 179종 22변종 등 총 201 분류군이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자라풀이었다. 습지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은 애기부들, 개피, 줄, 갈대, 고마리, 미나리, 물칭개나물, 침수식물은 말즘, 나사말, 검정말, 붕어마름, 물수세미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엽식물은 가래, 자라풀, 연꽃, 노랑어리연꽃,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메귀리, 오리새, 소리쟁이, 묵밭소리쟁이, 털비름, 다닥냉이, 말냉이, 나도재쑥, 개소시랑개비, 벳지,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자주개자리,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큰달맞이꽃, 둥근잎유홍초, 둥근잎나팔꽃, 까마중, 큰개불알풀, 뚱딴지, 돼지풀,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큰망초,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33분류군이었다.
        21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표흐름 습지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습지 내 오염물질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는 연속교반탱크반응기(CSTR)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모델은 4차 Runge-Kutta법을 사용하고, 실측치와 계산치의 차이를 최소화 하는 최적화 기법으로 해를 구하며, 미국 EPA 습지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자료중 수질 및 수리자료가 충분하며, 분석이 용이한 하나의 수생대를 갖는 습지를 선택하여, 수질항목중 관심도가 높은 BOD, TSS (Total Suspend
        218.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oastal wetland the mud is consist of fine particles, which means that it is characterized by small gap, and heat transfer is obstructed since moisture is found between the gap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radiation() and soil heat flux() shows a counterclockwise hysteresis cycle, which refer to a time lag behind in the maximal soil heat fluxes. The albedo is independent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vegetation canopy which plays very important roles to store and control the heat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219.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화호 갈대습지공원내의 식물상 현황과 분포를 파악하여 본 지역의 식생생태계 관리 및 보전과 향후 지속적인 식생모니터링(Vegetation monitoring)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화호 갈대습지공원내 반월천, 동화천 및 삼화천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72과 175속 201종 38변종 2품종 1재배종으로 총 24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식재종이 92분류군(38.0%), 자생종이 150분류군(62.0%)을 차지하였다. 또한, 염생식물은 5과 9속 12종 1변종으로 총 13분류군(5.4%), 귀화식물은 17과 41속 45종 1변종으로 총 4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19.0%의 귀화율과 17.0%의 도시화지수로 분석되었다.
        22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cquire the draft data for the artificial wetland greening. The aquatic flora was investigated i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Hantaek Botanical Garden. As a result, total 40 species, 22 families, 32 genus were class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Compositeae. For artificial wetland greening, hydrophyte of 6 species(Acorus asiaticus var. angustatus, Lythrum ances, Lobelia sessilifolia,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ypha orientalis) were planted in the size of the artificial wetland to be 0.5 meters in width, 1 meters in length, and 0.05 meters depth. Two months after planting, the ornamental value showed in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Lythrum ances for optimum results. The covering rate of nine months after planting was Typha orientalis 87.5% and Lythrum ances 80.3%. Whereas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displayed 15.4%, and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and Lobelia sessilifolia appeared 16.7 % and 20 % respectively. The height of plant was the higest in Typha orientalis and smallest in Lobelia sessilifolia.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