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5

        20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n result, They evaluated that the agriculture development institutes very well progressed pest management researches in principle. However, some chronic bottleneck problems still existed such as pesticides resistant pests, lack of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designing proper direction,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ated preferently.
        20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기자재 수출입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출입 물류에 관한 일반사항과 물류실태, 화물정보 제공, 화물 식별 및 분류, 화물 오배송 및 손상 등의 화물관리 상의 애로요인과 개선방안을 조사, 분석하여 조선기자재 수출입 물류에 있어서 화물 관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기자재 수출입 물류가 원할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출입 업체와 물류관련 업체 간의 화물상 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출입 화물의 지연과 소실 및 오배송을 줄이고 물류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표준 화물 분류시스템과 인식시스템의 제정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선기자재 전문 포워더의 육성과 전문성 강화 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포워더 담당자들에 대한 역량배양 교육을 수출입 업체와 물류업체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조선기자재 제품 특성과 물 류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20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published the North'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bout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every years. However,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does not reflect the status and the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maintenance status and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and to propose a regional assessment results.
        20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pare an revitalization plan of region where rural 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The results of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ion in the region where rural development project was completed showed that the facilities were not self-sufficient in terms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 Therefore, a prerequisi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is to prepare an alternative pla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of currently already prepared facilities. Second, a project operation organization system should be streamlined and the competency of operation personnel should continue to be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ort system and establish cooperation networks for increasing the extensibility of project and continuing to induc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in the future.
        207.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is a species of Liliaceae and its tuber is used as medicinal herbs. This medicinal plant is mainly cultivated in Cheongyang and Buyeo of Chungcheongnam-Do and Miryang of Gyeongsangnam-D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ltivation techniques for stable production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e found on farms. These farm surveys were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data on soil environment and cultivation conditions at main producing areas of Chungnam-Do in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Methods and Results : The surveys were investigated from 37 farmers in Cheongyang and 32 farmers in Buyeo who cultivate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There were slightly differences in the local characteristics between Cheongyang and Buyeo. The rate of successive cropping for more than 3 years were 19% at Cheongyang and 41% in Buyeo. The reason may be due to the a small-owned field. It has grown 28% at Cheongyang and 59% at Buyeo in paddy fields. The injury by successive cropping that farmers argued were the increasing pest/disease occurrence, degradation of tuber quality and yield reduction. Crops planted after the harvest of L. platyphylla were mostly Pepper or soybean in upl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jury of successive cropping. The results of 112 soil analysis data were classified by 8 soil series. There are many acidic soil, lack of organic matter, excess phosphate. However, it did not analyzed the influenc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crop as affected by different soil condition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s on the reduction of injury of successive cropping, such as cropping system,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cultivation methods for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and soil improvement.
        20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by surveying and analysing practice cases of green care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many valuable cases were check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internet informations. Case study targets were divided into side-work farmer type, professional farmer type, and Institution directed type, and then case study surveys were performed by each type. Every case has the natural environment in common, and tries to satisfy users’s demands and to give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Especially, the strong motivation, mind, and entrepreneurship of operato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green care. If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and related education programs are accompanied with lots of potential such as Korean oriental medicine, rural tourism village, and sixth industry project, it will be possible to introduce and manage green care successfully.
        20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re the efficient 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in the future by stereotyping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and the garden spaces and the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arm villages and the suggestion of the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rming village environments. As a result, there were the limitations that this research had been limited to the garden spaces of the farm village houses, without considering all the environments of the farm villages. It was thought that, if,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s for drawing the item of the concrete creation of the gardens and the management are proceeded with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in the vei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rm village homestead gardens and the villages in the future, this will prove helpful in practically formulat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policies for supplying the farm village gardens for the farm villages.
        210.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곡류 중 트리코테센류 곰팡이독소인 T-2 독소 및 HT-2 독소의 LC-MS/MS 분석방법을 검증하고 국내 유통 곡류 중 T-2 독소 및 HT-2 독소의 오염실태를 파악하였다. 곡류 중의 T-2 독소 및 HT-2 독소를 분석하기 위해, 염화나트륨을 포함한 90% 메탄올 용액으로 추출, 원심분리, 여과, 4% 염화나트륨용액으로 희석하고, 원심분리한 후, 여과한 후 면역친화성칼럼에 의해 정제한 시료를 LC-MS/MS 동시정량 분석하였다. T-2 독소 및 HT-2 독소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5 μg/kg 및 1.5 μg/kg 얻었다. matrix-matched 표준 검량식에서 상관계수 0.99 이상의 직선성을 얻었으며, T-2독소와 HT-2 독소 2배에서 10배의 정량한계로 표준용액을 첨가한 시료에서 회수율은 T-2독소와 HT-2 독소 각각 100.6±7.2 %, 96.8 ± 9.4 %로 EU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유효성 기준을 만족하였다. LC-MS/MS 정량법을 이용하여 국내 곡류 9품목 115건에 대해 T-2 독소와 HT-2 독소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본 결과, 전체 곡류 115건 중에서 T-2 독소는 83건, HT-2 독소는 93건 검출되었으며 오염도는 T-2 독소는 N.D~37.1 ug/kg, HT-2 독소는 N.D~5.4 ug/kg 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오염도는 유럽기준치(100 μg/kg)이내 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곡류 중 T-2 독소 및 HT-2 독소에 대한 분석법은 향후 우리나라 곡류 중 곰팡이독소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가능하며, 오염도 자료는 안전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1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산과 울산의 중심지역에 대해 공기 중의 분진시료를 채취하여, 위상차현미경, 위상차분산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등으로 석면을 분석한 결과, 석면은 검출한계 이하로서 확인되지 않았다. 공기 중의 분진시료에는 섬유상물질이 다수 포함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 유기질 섬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섬유물질로는 암면, 세라믹섬유, 석고 등이 소량 포함되었으며, 비섬유상인 석영, 방해석, 장석 등의 광물도 가끔 관찰되었다. 국내의 공기 중 분진의 석면분석은 주로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석면의 식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 JIS법과 같이 저온회화 처리 장치에 의한 유기물질 제거 후에 분산염색법으로 석면을 식별하고 계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21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CRVDP) have been carried out as the core one of the rural development schemes in Korea since 2004. CRVDP included the various rural experience programs to increase rural income and in order to promot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roject area.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ng management condition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targeting the 168 CRVDPs have been completed so that the recommendations and lessons which were found the usefulness, challenges and improvements to the CRVDP can be provided to be better the same kind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s such as increasing village income and uti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to the CRVDP and operational management types of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as well. Employ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found 5 clusters of rural experience programs among 168 CRVDPs.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such as the uti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0.01), income of rural experience programs(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i-squire test,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homepage operation and clusters(0.01). Finally, the analysis of covariance about the income of rural experience program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clusters(0.05).
        213.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중등 교육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초등 및 중등 교원양성기관 교수의 연구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그들의 연구 협력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실적 중 ‘학술지 논문’으로 분석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고 24개의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의 최근 3년간(2010년~2012년) 발표된 논문 총 3,058편 중에서 교대 및 사대 교수가 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 1,668편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사대 교수들은 단독 연구에 비해 협력 연구를 더 많이 수행하였고, 협력 연구의 경우 교수들 간 이루어지기보다 대학원생이나 교육공무원과 협력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한편 교장(리더십), 연구동향, 학부모 및 지역사회 등 특정 연구주제에서 협력 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대 및 사대 교수들은 주로 교육공무원이나 대학원생과 공동 연구를 하는 추세이며 추후 교대 및 사대 교수 상호 간 협력 연구가 더 장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정 주제에 관한 협력 연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연구자 개인 차원에서의 노력 뿐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방식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대학 교수들의 연구 협력에 대한 실태 파악이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연구 성과 향상 방안 등 추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이 연구 결과가 의미 있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단순 실태 분석을 넘어 그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21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들의 화재와 안전사고 등의 철저한 관리와 불특정 다수인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요 시설물에 대한 점검, 유지, 관리교육 등 기존 건축시설물의 관리현황들을 조사ㆍ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 조직적인 측면에서 시설관리자들의 자발적인 재난예방과 재난수습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높은 통솔력과 지휘감독권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것은 시설관리자에게 실질적인 예산의 편성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또한 실무자에게도 맡은 부분에 관하여 책임과 권한을 주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 2. 인력적 측면에서 시설물의 관리자 대부분은 30대와 40대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실무자는 30대(48%)에서 40대(24%)로 가면서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관리자 및 실무자의 경력에 있어서도 7~10년 미만과 15~20년 미만의 분포가 낮은 것은 건축물의 시설관리의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상으로 실무자들이 현장에 남아서 정년을 맞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3. 시설관리자 및 실무자들의 근무 조건에서 시설관리자나 실무자 대다수는 근무형태가 불규칙한 근로 조건(71%)에서 근무하고, 급여의 조건도 미비하며 근무환경 역시 열악하였다. 따라서 이의 개선이 필요하며 현실적인 급여 등의 개선도 중요할 것이다. 4. 시설관리의 측면에서 시설물 관리자의 74%가 두 가지 이상의 시설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또한 넓은 관리면적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렇듯 시설물의 안전이나 충실한 관리 점검을 위해서도 관리자나 실무자들의 잡무 등은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교육의 측면에서 시설관리자들은 법정교육에 대해 89%가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론위주의 교육이 83%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시설관리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위주의 교육은 17%밖에 되지 않아 아쉽다고 하였다. 이렇듯 실무교육시간의 확대가 필요하다.
        215.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경용 식물소재 재배에 관한 매뉴얼 마련을 위해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제 조경식물을 생산하는 농가의 경영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자료를 조사하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 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식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주로 참고하는 자료는 인 터넷 검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산자들이 조경식물을 재 배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조경식물 생산기술과 유통 매뉴얼’의 부 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조경식물 생산기술 참고 자료 중 종자준비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족한 항목은 발아처 리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자준비와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 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참고자료에 제시된 내용들이 실제 생산현 장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발아처리방법은 조 경식물별로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종자처리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따라서 조경식물별 종자의 특성에 적합한 실제적인 종자처리방법 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번식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 족한 항목은 온도·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번식 관련 정보가 부 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실제 생산현장에서 적용한 기술과 참고 자료의 기술이 달랐다고 대다수가 응답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재배환경에 맞는 적합한 기술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 째, 정식 및 관리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족한 항목은 병충해 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식 및 관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 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정식에 관한 자료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재배농가에서 정식과 관리는 수요자에게 유통되기 전 최적의 식물상태를 보여주어야 하는 단계로 많은 생산자들이 세심하게 신 경 쓰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정식에 관한 자료가 부족한 만큼 자세한 정보가 제시된 매뉴얼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유통부 문에 대한 가장 부족한 항목은 유통경로가 가장 높았으며, 유통 관 련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유통에 관한 자료 없음이 가장 높았다. 특히 조경식물은 판매장 등 유통시설이 부족하고 유 통과 관련된 자료와 문헌이 미흡하여 조경산업의 발전을 더디게 하 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장 등 유통시설을 확충하여 유통 체계를 확립하고 유통시기, 포장방식, 포장규격 등에 관한 표준화 된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설문조사를 통해 조경식물 재배에 실제 농가들이 참고하는 자료의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향후 설문조 사에서 조경용 소재를 생산하는 농가의 경영자들이 부족한 부분이 라고 지적한 항목들에 대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조경용 식물소재(조경식물) 생산기술과 유통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할 것 이다.
        21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case study surveyed management situa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EFF) producers’ organization and their main activities. Farmers are aging as an average age of 55-year old and producing fruit-bearing vegetables. The EFF did not increase farmer’s income, however, price and income was stabilized more than that of conventional farming because of contract farming. Farm household liabilities are caused by purchasing agricultural machinery, materials and so on. Farmers of EFF have been also cultivating conventional farming, but they don’t plan much conversion intention of conventional farming into EFF owing to lack of differentiated and stable market for their EFF products. And they are guessing that EFF income will increase a little. For increasing of EFF income, they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production cost, produce high quality production, develop processing foods, enlarge contract farming and so on.
        21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 aging through a survey of domestic research buildings,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research buildings. From the study results, we expect safety improvement and an increase in research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research environment of the buildings.
        21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및 예방교육의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및 실태를 규명하고, 그 심각성을 살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교폭력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올바르고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이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환경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지역에 소재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adminstration method)으로 총 6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07부를 제외한 393부의 설문지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및 예방교육의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및 실태를 규명하고, 그 심각성을 살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 분석 하였으며 연구를 통하여 학교폭력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올바르고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이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환경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지역에 소재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adminstration method)으로 총 6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07부를 제외한 393부의 설문지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서는 많은 중학생들이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둘째, 학년별 예방교육의 차이 비교에서는 담임교사의 역할과 가정에서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의 원인과 심각성에 있어서는 각 요인 중 가해학생과 심각성의 언어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차이를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순위는 가정교육강화, 부모, 자녀와의 대화시간 증대, 학교폭력에 대한 부모교육 실시, 처벌의 강화 등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라고 분석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학교폭력 실태를 파악함에 있어 설문조사에 대한 일관적이고 객관성이 있어야 하며 조사된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집단 표집에 대한 체제와 지원이 갖추어져야 하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하며, 신고 후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크므로 피해자 신분보호에 대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학교장과 담임교사에게 의무적인 교육과 책임의식을 갖도록 하고 가정에서 밥상머리교육을 살릴 수 있도록 사회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학교의 교육 관계자가 해당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의 특성에 맞는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에 맞춰진 프로그램이 개발 체계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꾸준하고 지속적인 실천과 피드백을 통해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1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policies on return to countryside for farming or else, through analysing the actual state of settlement and the community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eople returning toward general village and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in rural has been done to figure out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the status analysis targeting the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and original residents who live in general village have been done to figure out the actual state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people returning toward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in rural moved for something else, while people returning toward general village in rural moved with the purpose of farming. Like this, the aims of moving into rural areas show difference. There is little conflict between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and original residents, but some people have an intention to move the other place due to the conflict with original residents. So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is needed for the active responses and suitable adaptation of them. On the basis of this study, policy tasks for return to countryside for farming or else were suggested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each policy on return for farming and something else to rural areas discriminatively. 2) The economic support for a stable settlement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and the programs activating community with original residents are required. The discussion about the new community formation is needed to respond to the increase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