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2

        201.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비대학은 대학 신입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과 교육적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비대학 참여자들이 과연 어떠한 목적으로 예비대학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예비대학이 대학 기획자의 입장에서 연구되는 경향성이 강하고, 수용자의 입장에서 발전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일천한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일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교육적 목적보다 학교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효과에 치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연 수용자의 입장에서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하나의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이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참여동기를 규명하고,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학습 즐거움 동기’, ‘학교 호기심 동기’, ‘학습 외적 보상 동기’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 즐거움 동기(+),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확실성(+), 학습 외적 보상 동기(+)의 순이었고, 오프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공감성(+), 학습 즐거움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확실성(-),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양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학교 호기심 동기(+), 유형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온라인,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대학 블렌디드 러닝 강좌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유형(전공, 교양)별 전략을 제안하였다.
        6,700원
        202.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 도박신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병적 도박자의 단도박 기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단도박 모임에 정기적으로 참석하고 있는 성인 남자 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단도박 기간에 따라 단도박 6개월 미만 집단(n=35), 단도박 3년 이상 집단(n=33)의 2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카이검정(x²)으로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가 차이가 있어 이 변인들을 공변인으로 두고 두 집단간 비합리적 도박신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합리적 도박 신념은 기술과대 평가적 추론, 자기과신-비논리적 추론 2개의 척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아 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는 4개의 하위 척도 중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 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자아 존 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병적 도박자의 단도박 기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4,600원
        20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students can experience, such as for credit and social activities through field trips and participate in field trips. or on-site field training exercise participants currently in Gwangju University They take part in field trip 1, 2, 3 and 4 as the type.. ield Practice 1 type in summer and 2 in winter of 4-week period during vacation holidays with 3 credits, field trips 3 type of 8-week period during vacational holidays with 6 credits recognized for ₩ 400,000 in job training fee is also payable by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gency. 4 types of job training are fourth grade (Architecture Grade 5) can be employed in conjunction for more than 15 weeks and admitted to the second semester of 15 credits by participating in job training. For most schools, but to pay a fee-job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Hanyang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as a student assistance in the field training participating companies. This establishment does not have a clear idea of the legal entities responsible in the event of industrial accidents. Academic research is also nonexistent state for them. n this paper, we distinguish the personality for it via the existing labor precedents with respect to the legal responsibility of an industrial accident. This aims at putting the means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University of job training support.
        4,000원
        20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참여 미술에서 달라진 매체, 주체, 소통의 조건을 분석한다. 1990년대 이후의 미술은 관계 미학과 사회적 작업으로 특징지어진다. 미술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 사회 문제에 대한 개입과 참여를 유도하는 보다 민주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21세기 들어 디지털 미디어가 미술의 영역에서 더 큰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미술작품이 관객들과 맺는 관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디지털 시대에 참여 미술을 둘러싼 변화와 조건들을 살펴본다. 20세기 초 역사적 아방가르드 이래로 참여미술은 장소와 의미화의 문제에 개입해 왔다. 21세기 디지털화된 미디어 환경으로 매체특정성의 개념이 해체된 이후 제시된 포스트미디엄 조건이 전환을 보인다. 다시 말해, 다양한 미디어를 디지털로 재매개하여 다층적인 감각 경험과 소통을 야기한다. 그 결과 참여 미술이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미학을 포함하게 되었다.
        7,700원
        205.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30여 년간 서구 민주주의 사회를 중심으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 에 대한 논의와 실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당위성에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 었지만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목표와 방법론은 다양했다. 본 논문에서는 겉으로 주창되는 규범적, 실제적 이유와는 달리 은밀히 내재된 도구적 관점의 시민참여 논리가 갖는 정책적 함의를 고찰한다. 사례로 영국의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 담론의 형성과정과 실험을 분석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제도권의 다양한 정책관련 기관들이 주장한 시민참여 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필요 논리에 이용된 쟁점 및 실제로 시행된 두 공론화 과정(유전자 변형 작물의 상업화 관련 GM Dialogue와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방법 관련 CoRWM의 프로그램)에 드러난 도구적 관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로의 전환 시도에는 겉으로 주창된 민주주의적 의사결정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목표 외에, 이해관계자들 이 자신의 이해 실현을 위해 도구로서 이용하려는 은밀한 시도들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7,700원
        206.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에서는 다수인이 창작과 연구과정에 참여 하여 만들어지는 공동저작물과 관련하여 기존의 규율과 비교적 최근의 분쟁사례를 함께 검토해보 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물제작과 실험 연구의 경 우 작업의 기획과 결과물의 규모 상 다수인의 협 력이 필요한 경우가 현대에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때 아이디어의 결합과 표현을 위한 노동이 불가 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더욱 많다. 이러한 공동저작에 참여한 다수인의 기여도와 기획자의 역할을 모두 고려하며 분배할 수 있는 모델을 모 색해 나가고자 현 제도와 윤리의 상황을 들여다보 고자 한다.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표현물을 만드는 일에 이른바 개성을 가진 한 사람만이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 등 영상을 제작하는 경우는 물 론, 자연과학계와 공학계에서 다수의 연구원이 실험에 참여하여 연구물을 산출하는 경우에도 공동으로 작업을 하여 저작물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은 각종 기술과 도구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며, 물리적인 작업의 규모나 양 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반드시 필요하기까지 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다수인이 참여하는 저 작물의 산출에 있어, 다수인의 관계를 규율하는 저작권법 상 규율과 사례를 살펴보고, 저작권의 귀속과 행사의 양상에 있어서 최근 규율방식의 기준이나 목적을 아이디어의 기획과 실제 표현 물 창작시의 기여도의 측면에서 다루기로 한다. 특히 공동저작에 있어 실험연구를 통한 산물과 종합예술인 영상저작물의 제작을 중심으로 검토 하기로 한다.
        4,200원
        20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ating of breakfast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SBP),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Out of 34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334 were returned (98.2% response rate) and 323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Subjects were classified as participating and non participating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reakfast intake frequency, 'hardly eat' showed the highest with 18.5% i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10.3% in non participating group, while 'eat every day' showed 38.2% i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highest with 65.5% in non participating group (p<0.001). For the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no time' showed the highest with 30.0% in the participating group, 'over sleep' and 'no appetite' showed the highest with 24.8% in non participating group. For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SBP, 'breakfast should be eaten at home' showed the highest with 47.2% in non participating group and 'may get up early in the morning' showed the highest with 46.2% in participating group (p<0.01).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ther's education leve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Odds Ratios (OR) 2.3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5.52].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on weekdays (OR 1.36, 95% CI 1.01~1.81), Level of need for school breakfast (OR 0.52, 95% CI 0.35~0.76) and whether to approve school breakfast (OR 0.27, 95% CI 0.18~0.4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proper educational efforts for importance of school breakfast could be useful plan to develop school breakfast program.
        4,300원
        20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년실업이 심각한 상황에서취업률은대학 평가의 주요 지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학에서 취업률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 졸업예정자의 참여가 구직효능감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충청지역의 6개 대학 4학년 졸업예정자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그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3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졸업예정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학점이나 자격증 준비가 소홀했던 학생일수록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취업캠프,취업특강,취업박람회,취업강좌,취업동아리,취업상담 등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상승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그러나 취업상담을 제외한 취업지원프로그램별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구직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셋째,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이력서 제출 등의 구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취업박람회의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이력서 제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5,800원
        2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교육의 화두는 행복교육이다. 우리 삶의 목적은 누구나 행복이고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도 행복인데 행복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행복도 능력이라는 것이며 어려서부터 길러야할 학습인 것이다. 장애인과 탈북 가정, 그리고 열악한 조손가정이 많은 12학급의 소규모, 교육복지특별지원학교인 본교의 특성 때문에 학교구성원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방향을 찾기 위해 연구주제를 ‘학교조직의 참여문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행복지수 높이기로 설정했다. 실천과제 첫번째로 구성원 모두의 관심을 높이고 기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전념 할 수 있도록 학교조직을 효율화하고, 원활한 소통로 만들기로 설정하였다.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를 위한 교육기부 활용은 전문적 지식과 준비된 도구로 많은 도움이 되었지만 초등학생에게 어려운 용어 사용 및 다소 지루한 수업 방법은 개선이 필요하였다. 소외계층의 참여를 위한 대청아카데미와 동생행복도우미 프로그램도 운영, 대청아카데미는 기본학습과 인성체험학습을 병행하고, 동생행복도우미는 대학생봉사활동을 지원받아 돌봄 및 상담, 학습지도의 혜택을 받기 때문에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었다. 실천과제 두 번째로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 행복노트 활용을 통한 행복동행 프로그램, 고운말 존댓말 사용하기를 통한 예절동행 프로그램, 편지쓰기를 통한 감사동행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자존감을 높이고 조그만 일에도 감사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게 되어 행복지수를 높이는 생활습관화 역할을 하였다. 실천과제 세번째는 지속적인 참여문화 확산을 통하여 꿈과 끼를 키우는 실천장 만들기로 81%의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인 만들어 가는 행복, 꿈찾는 커리어코치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는 일련의 활동들은 학생들에게 아주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학생과 학부모가 모두 행복한 방학학교 프로그램에서는 생활지도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방학동안에 다양한 특기와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여 80%의 매우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구성원들에게 모두 행복교육의 중요성을 인식 시켰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으로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관심과 신뢰도가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4,000원
        211.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를 다니는 건강장애학생의 학업 참여와 주관적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높이고, 이들을 위해 작업치료사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국내 6개의 병원학교 중 연구에 동의한 2개의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교사 2명과 입교중인 정신건강장애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28일부터 동년 7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병원학교 현황을 빈도 분석하였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수업참여와 병원학교 이용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연령은 평균 15.41세(±2.16)이며 진단명은 지적장애(37.9%), 주요우울장애(24.1%), 품행장애(17.2%) 순이었다. 교사 평가에 의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에서 선생님과의 관계가 3.79점(±0.82)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3.24점(±0.99)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생이 평가한 병원학교의 전반적 만족도는 재량활동 4.24점(±0.83), 병원환경이 4.24점(±0.94)으로 높고 주요 교과목은 3.48점(±1.37)으로 가장 낮았다. 학생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과 만족도는 시설물 배치편리에 대한 모든 하위항목과 선생님의 노력, 수업시간의 미래도움도, 선생님의 공평성, 수업시간 기대에 대한 대부분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들은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수업참여를 더 잘하고, 재량활동시간과 병원환경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받는 정신건강장애학생 수는 제한되어 있고 정신건강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기초한 커리큘럼이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4,600원
        21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대 중반부터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시작된 예술프로젝트는 커뮤니티 아트라 불리며 서울, 경기, 인천, 충남 등의 문화재단과 지자체의 재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안의 구성원인 주민들과 예술가들에게 지역사회를 소재로 참여적 프로그램을 기 획하여 지역 발전을 유도하게 한다. 또한 공동체의 사회문제, 구성원의 갈등을 해결하 고 통합하기 위해 기획된 예술프로젝트로서 예술 내부의 특정한 흐름이 정책적으로 선택되며 강화되어지고 있다.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라는 용어는 커뮤니티와 아트가 결합된 단어로 공 동체 기반 예술 혹은 공동체의 이해에서 출발한 공동체 예술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로 하며, 예술 내부의 새로운 가치를 발 견하고 예술의 선구조를 마련해가는 문화예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도부터 경기문화재단과 안양문화예술재단이 커뮤니티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는 우리동네예술프로젝트 중 박수갈채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논하고 자 한다. 지역사회 구성원인 주민들이 관람자에서 참여자와 실천가인 주체로 변화되 고 예술과 생활이 하나 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커뮤니티 아트에 있어 의미 있는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최근 지역문화진흥법이 통과되면서 지역문화에 대한 관 심이 높아졌지만 그에 비해 여전히 문화와 예술은 커뮤니티 안에서는 추상적인 단어 일 뿐이다. 문화 자체가 삶의 총체가 되고. 예술이 되는 과정 속에 주체자인 주민들이 참여적인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이 스스로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 삶과 예술 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되어야 할 것 이다.
        5,700원
        21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체적, 발달적 변화로 인한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에 대한 사진치료의 적용이 심리 치료적 측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참여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사진치료 프로 그램 참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식의 변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 년여성으로 총 6 명이며, 자료수집은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지오르지(Giorgi, 1997)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4단계에 따른 자료 분석 결과 총 309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구성요소, 13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여성들에게 사진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은 사진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방어기제를 자연스럽게 해소 하고 사진에 투사된 자신의 무의식을 알아차리며, 자신의 이미지를 직면하는 과정을 통해 중년기의 변화를 포함한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보다 유연한 태도로 관계와 일상을 영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진은 잠재적인 현 실을 재현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욕구를 명료화하여 생활에서의 보다 빠른 선택과 실행으로 이어지도록 도움을 주었 음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사진치료는 사진이라는 매체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중년기 여성들의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보다 빨리 해소하고 향후 삶을 계획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6,700원
        21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정시설의 교화기능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교정기관과 교정공무원만의 노력만으로는 성과를 거두기 어렵고, 교정시설에 있는 수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해짐에 따라 기존 교정자원만으로 수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우므로, 교정에 관심 있는 민간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수용자는 자신의 범죄에 대한 죄책감, 장래에 대한 불안감, 구금생활이 주는 고립감과 소외감 등으로 심정의 안정을 찾지 못하는 경우 종교에 대한 욕구가 일반인 보다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행정의 발전방안에 있어 민간 종교위원의 참여와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종교인들은 종교를 매개체로 수용자의 심리적 안정, 수용생활 적응, 사회 복귀 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수용자의 종교활동, 종교위원을 통해 수용자에게 종교심을 높여주기도 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위원을 통해 수용자의 삶의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종교인들이 교정에서 종교위원의 역할을 확대 및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교정시설에서 종교위원회의 참여와 역할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종교위원의 전문성, 종교위원의 다양한 인력풀 구성 및 종교위원의 다양한 인력풀 구성을 위한 교정에 대한 홍보, 교정시설 직원과 종교위원들 간의 유대관계와 종교위원들 간의 소통방안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별 종교위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어느 지역에 있든 유사한 종교 교정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6,700원
        216.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잦은 악천후와 도로의 노후화는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포트홀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에 해당하며, 실제 한국에서 포트홀로 인한 교통사고는 2008년 209건이었으나 2013년에 1,051건으로 5배가량 증가하였다. 도로관리청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저감을 위해 도로 순 찰을 통한 직접적인 모니터링과 전화, 인터넷 등을 통해 도로 상의 문제를 도로이용자가 신고할 수 있는 도로이 용불편센터를 운영하는 간접적인 모니터링을 하여 왔다. 전자는 도로 문제를 정확하게 발견 및 처리할 수 있으 나 인원과 예산의 한계가 있고, 후자는 도로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전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통 합채널의 부재, 신고처리절차 홍보 부족, 도로관리청 전화번호 인지의 어려움, 이동 중 불편위치의 정확한 설명 곤란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국민들이 도로이용 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불편사항을 쉽고 편리하게 신고하고 24시간 이내에 처리하는 도로이용불편 척척해결서비스(이하 척척서비스)를 개발하고 2014년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복잡하고 다양한 도로관 리기관을 구분하여 신고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만 설치하면 해당 도로관리기관에 자동으로 신고하고 그 처 리결과를 공유할 수 있으며, 만족도 평가를 통해 정책에 참여할 수 있다(그림 1). 서비스 개시 후 3개월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이전(2013년)과 비교해 보았을 때, 도로이용 불편 신고건수가 2배 이상 증가됨을 볼 수 있었고, 도로파손과 안전시설물 등 도로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신고유형이 많이 증가했다(그림 2). 또 한 신고내용과 함께 사진 및 동영상을 함께 첨부하기 때문에 차로 수준으로 신고(약 100건)가 가능하여 향후 차 로 기반의 도로 유지·보수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척척서비스의 활용 증가는 내재되어 있는 도로 안 전성 향상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를 의미하며, 향후 척척서비스와 같이 ICT기반의 국민 참여형 정책을 통해 국 가 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1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cern about food safety among consumers is very high at the moment, because many problems related to food safety have occurred, such as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about food safety issue, government in every country have tried to set various food polic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to set consumers at ease about their diet, for instance, food traceability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nsumer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s the results, consumer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nd the study identifies that attitud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4,600원
        218.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방송환경에서 강력한 인기를 모았던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리얼리티 프 로그램중 오디션 포맷은 특히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한 직접적인 참여가 인기의 커다란 동인으 로 작용하고 있다고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실질적으로 먼저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만이 갖는 시청동기를 알아보고,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청자들의 참여에 있어, 검색, 추천, 투표 등 각각의 행위 유형이 시청 동기 및 시청자들의 성향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의 이용 동기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 관심의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이용 행위 중 검색행위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용 동기 중에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그리고 오디션 시 청 플랫폼 수의 순이었으며, 추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혁신성, 그리고 SNS 이용시간 순이었다. 또한 투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관심, SNS 이용시간, 오디션프로그램 시청시간, SNS 이용 빈도 순이었다.
        7,000원
        219.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이버대학에서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학습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활성화되도록 학습자들의 학습참여 활동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체제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활동 촉진 방법으로 스마트 기기의 앱을 활용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측면과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및 적용수업은 B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학전공 수업에서 교과목의 특성과 수업목표를 고려하여 2개 교과목을 선정, 과제작성과정에서 앱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및 공유, 학습자들 간의 피드백 실시 등에 적용하였다. 기대효과 및 활용 전략은 다음과 같다. 1)앱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 유발 및 학습활동에 직접적인 참여 유도 2) 학습자 스스로 제작한 콘텐츠 공유와 학습자들 간의 피드백 실시 등을 통해 상호작용 촉진 및 교과목에 대한 이해 증진 3)앱 활용 과정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력 향상 4)선수학습용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습자들에게 사전학습 자료로 제공 5)학기 초에 학습자들의 자기소개 콘텐츠 제작 및 공유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진 6)그리고 학습활동 과정에 대한 학습 포트폴리오로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4,800원
        22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the involvement in choosing sportswear, and the satisfaction with/perceived importance of sportswear functionality,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A total of 185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surveying 200 female undergraduates in their 20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A factor analysis conducted on 13 questions yielded 4 factors. Factor 1 included consideration about socializing and pleasure, factor 2 privileged ostentation, factor 3 was concerned with enhancing health, and factor 4 was about maintaining appearance. Second, the various effects of different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of the involvement in buying sportswear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were analyze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sportswear was considered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sports,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were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se variable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involvement in choosing sportswea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sportswear. Third, looking at how different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affected the importance of sportswear functionality, the motives related to socializing and pleasure and ostentation, the sub-factors in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mfort. Motives related to enhancing health and maintaining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were found to affect the importance of sports performance. Fourth, a M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functionality between those consumers highly involved in sportswear-buying and those less involved. Those with a high level of involvement were found to prioritize sports performance over comfort. Those with a low level of involvement were shown to place a greater emphasis on comfort.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