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2

        24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perness,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n the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LEAD). For this, we survey 11 public officers who manage the LEAD. Most of them aware necessities of LEAD project. They have a higher satisfaction and think that the project affect ripple effect and contribution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Main performance expected of the LEAD project is a spread of natural circulation agriculture in connection with cultivation and stockbreeding. For continua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fter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find markets of products. Also policy making rel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technique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AD project need a modification based on field and change of agricultural issues.
        24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농촌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현상, 도농소득격차의 심화로 농촌의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농업 부가가치 및 농가 소득이 정체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농업 6차 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농업 6차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위해서 농업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를 정의하고 농촌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농촌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성공적인 6차 산업의 현황과 포장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한 후 농촌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 발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6차 산업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농가소득 증대,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화와 농촌산업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 제조, 체험, 관광, 숙박, 농가레스토랑, 판매 등 모든 분야가 융.복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판매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농산물 소비량 증대와 농촌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24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농촌지역은 재해에 대해 대단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마을의 공동화 현상 등으로 인하여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 대하여 정책적인 배려가 충분하다고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의 사정을 가진 일본의 농촌지역은 재해구호, 재해보상 및 재해보험 등 농업재해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 방재사업을 통하여 농업용 시설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농업용수의 수질보존, 농업용 시설의 기능 회복 등 농촌지역의 역량을 고려한 정책과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농업재해제도에 관한 법적인 검토를 비롯하여, 농촌지역 주민과 정부 및 지자체의 기능에 따른 역할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농촌지역의 자생적인 방재활동 범위를 분석하였다. 특히, ‘농지방재사업실시요강’ 및 ‘농지방재사업 등 보조금교부요강’ 등 정부에 의한 지원시책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정책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본의 경우, 기존의 하드웨워적 정비에 더하여 광역적이고 종합적인 시점을 중시한 정책의 추진 및 지역과의 연계를 중시하는 방재대책의 추진을 위한 다양한 시책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시책은 정부와 지역민과의 원활한 정보공유 및 광범위한 합의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은 크다고 할 수 있다.
        24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easible policy direction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based on the current agricultural and rural environment in Korea. To do so, this study employes a heckman selection model to correct a probable selection bias, utilizing the Korean agricultural census in 2010 and the agricultural statistics of farm enterprises in 2011.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of the farm and off-farm income determinants, according to conjoint type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such as Type 1 (primary+secondary+tertiary) vs. Type 2 (primary+secondary or primary+tertiar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ype 2 has much higher possibilities to earn farm and off-farm income in Korea, especially for farm enterprises. This study concludes with providing some policy implications reflecting rural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24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ich in turn signifies economic values other than the production func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virtual scenarios were set up an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a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WTP) for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is study selected five domains of the public value (environment conservation, maintenance of landscape and cultural tradition,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local community maintenance and socio-economic functions, and food security) and 21 value items as components of the public value. An economic assessment of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as conducted using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value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ranges from a minimum of 6,346.8 billion won to a maximum of 9,327.2 billion won.
        24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define what measurement items in terms of subjective consideration and preference can be use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perceptive patterns particularly how landscape experts weigh up the importance of the each measurement item. In order to extract the measurement item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cluding research document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reports.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was conducted to ask their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items. For the analysis, SPSS 20.0 for Windows was used to carry ou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a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ndscape value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was 4.1494; the ratio value that th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was 87.2%; and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value of the analyzed items was 3.71. All the items have more than 3.00. Ten factor groups were summarized and defined whos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67.86%. The factor groups were named as lyricism, authenticity, environmentally-friendliness, durability, recognizability, regionality, visibility, value of sightseeing, social image, and universali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values are, in order of importance, recognizability, authenticity, visibility, universality, durability, and nativ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environmentally-friendliness, regionality, value of sightseeing, and social image were not as important.
        247.
        2014.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uggest a new business model of direct distribut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suburban area. To secure competitiveness, logistics cost reduction is important through direct transact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on suburban area. The research addresses food safety, farmers' income and unemployment issues with Eco-M business model.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investigation on the followings: current domestic agriculture; related problems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suburban agriculture; specialty stor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co-M business model can solve various problems of suburban agriculture supply system, challenges of organic farming specialty stores, unemployment issues, and difficulties of processing verticaliz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followings. First, there should b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usinesses of environmentfriendly specialty stores through suburban agriculture and producer's agriculture connected with organic farming market.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y of environment-friendly specialty stores. Finally,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Sextic industries is necessary throughout production-process-service process.
        24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iculture is not only sources, but also sinks of GHGs through removal or sequestration of carbon and methane. Therehave been many efforts around the world to improve agriculture’s ability to sequester GHGs and to seek ways for economicbenefits through the emissions reduction project. Specially, animal waste management system and biogas plants have beenuseful to environmental policies in agriculture secto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DM project currentsituation in agriculture sector and draw a implications from it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trategies andprocedures are suggested to link agricultural policies to the CDM projects to create economics opportunities for the koreanagriculture. So it will be useful, a strategy to rai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rural area’s animal waste managementsystem and biogas plant project should consider to develop domestic technologies of biogas digester. Also, localgovernment, local college, rural communities should agree to closely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national’s greenhousegas reduction issue.
        25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에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도 시취약계층의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주거공 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활동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농업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빈민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소득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 도시농업 활동 은 장소와 종류, 대상자에 대한 범위도 초기와 달리 많이 확장되었 으며, 다원적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도시취약계층의 자활을 위해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적 응을 위한 일상적인 생활 기술까지도 교육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 인 자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여러 경로로 지원하고 있다. 도시농업 활동의 국외 사례를 자활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 과,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은 일자리를 고려하고 대 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도시농업 활동에 흥미를 갖고 활동에 참여 하도록 심신의 회복을 돕는 치유형, 개인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비 지출 절약에 도움이 되는 자가소비형, 함께 도시농업 활동을 하면 서 지역사회와 교류하게 되는 사회관계형, 생산활동을 통해 수입과 일자리를 갖게 되는 일자리형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능력 증진을 위해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적절한 활동과 지원을 적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분된 도시농업의 유형이 자활능력 증 진을 위한 사업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25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em제를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azadirachtin 0.5%가 함유된 Neem제를 100~2,000배까지 희석배수 5처리를 두고, 담배가루이 방제효과와 가지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발생상황은 Neem제 희석배수가 높아질수록 성충과 약충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방제효과가 낮았다. Neem제 처리농도별 가지 생육상황은 낮은 희석배수에서는 약해가 발생하였고, 높은 희석배수에서는 담배가루이에 의한 피해가 나타났다. 생육 및 수량은 48일후 조사에서 500배가 초장, 엽장, 절수 등 생육이 양호하였다. 또한 Neem제 500배 처리에서 과실의 발육이 좋아 수량성 및 상품률도 가장 높았다. 경제성 분석결과에서도 Neem제 500배 처리에서 10a당 13,545천원으로 소득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Neem제 희석배수는 500배였다.
        25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ise in national income has resulted in the growth in tourism demand, many studies on developing and managing tourism resources were publiciz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and and willingness to pay(WTP)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agricultural experience of Daegu Urban Agriculture Park and to suggest a proper participation fee. The survey targeting Daegu citizens was performed, and we obtained 346 valid samples. We carried out the logistic analysis and figured out that sex, age, education and alienation area for urban agriculture affected to probability of agricultural experience participation. As the result of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WTP), the measured range with this samples was from 6,052 to 16,436won. Finally, we also attained 25,000won as the proper participation fee which enables maximum revenue by conducting the scenario analysis.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in setting up the construction plan and pricing the appropriate participation fee for Daegu Urban Agriculture Park.
        25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북구에서 추진한 상자텃밭사업과 도시농부 학교운영과정에서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자텃밭은 도시민들이 주거지 내에 상자텃밭을 설치하여 비교적 손쉽게 경작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경작 경험이 전혀 없는 도시민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하는 도시농업의 방식이다(Kang et al., 2007). 상자텃밭 재배교육은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경작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강좌로 삭막한 도시생활 속에서 농업실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도시텃밭재배과정에서의 궁금증과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상시 기술지도 및 모니터링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농부학교는 텃밭 재배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동시에 실시하여 체계적으로 텃밭 농법을 습득함은 물론 도시농업의 발생 배경부터 현대 농업의 흐름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야 한다(Jang et al., 2010). 그에 따라 도시농업이 단순히 재배법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닌 도시농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좋은 교육효과를 내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미루어 보아 지속적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현재 도시민들 중에서 농촌 경험이 있는 연령대는 40대 이후의 연령층이다. 이는 점차 농촌경험이 없는 도시민들이 증가하고, 이들에게는 도시농업 실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작 지식은 교육프로그램에 의해서 충족될 수밖에 없다. 아직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은 도시농부학교라는 한정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점차적으로 다양한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13세 미만 아동을 대상 으로 한 도시농업 교육의 경우 농촌체험 혹은 텃밭과 관련한 경험이 무관한 세대이다.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도시농업 교육은 우선 텃밭 작물의 성장을 관찰하거나 나아가 직접 재배를 배우고 이를 통해 농업의 기본과 작물 성장에 대한 이해를 경험으로써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북구에서는 도시농업 체험로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도시농업을 관찰·체험하고 농업이 도시와 분리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미술 교육과 병행한 도시 꼬마농부의 그림일기 교육을 통해 더욱 자연스러운 접근과 창의적인 인성 발달의 방법으로써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자연과 꽃을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시농업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인식차이 비교를 통해 향후 도시 농업의 추진방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향후 도시농업 실천이 단순히 도시에서 텃밭을 가꾸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농업, 환경, 생태계, 공동체 등 다양한 합의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도시가 생명력을 갖고 지역구성원들의 소통의 공간이 되는 도시농업의 정책적 방안 등의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으나 도시농업이 도시 생활 속에서 생산적 여가활동으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 교감하는 체험의 장으로서의 역할과 도시민의 정서 순화 및 공동체 의식 함양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나아가 공공복지와 연계하여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라 도시농업이 독거노인들의 정서적ㆍ경제적 안정과 더불어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후속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5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lysis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is adopting the advanced methodology among the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ssessment that was defined in GPS2000 (Good practice guideline 2000) and GPG-LULUCF (GP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 2006 IPCC guideline, two approaches are suggested to explain the uncertainty for each section with a national net emission and a prediction value on uncertainty as follows; 1) Spread sheet calculation based on the error propagation algorithm that was simplified with some assumptions, and 2) Monte carlo simul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general purposes.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agricultural field including greenhouse gas emission that is generated from livestock and cultivation lands due to lack of information for statistic data, emission coefficient, and complicated emission formul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uncertain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agricultural field by means of intercomparison of the prediction value on uncertainties which were estimated by spread sheet calcula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A statistic analysis f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uncertainty of emission rate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livestock intestinal fermentation, excrements treatment, and direct/indirect emission from agricultural lands and rice cultivation. It was suggested to minimize uncertainty by means of extraction of emis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each targeting section.
        25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block gra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s so that the local governments get greater autonomy in agricultural policy. First of all, theoretical background on block grant was reviewed and present situation in Korea regarding block grant was examined. Four criteria were set to evaluate the eligibility for the block grant. Four criteria imply that block grant is more appropriate with small-scaled similar projects, high locality projects, easily evaluated projects, and easily formula-applied projects. Applying these criteria to the projects subsidiz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appropriate projects as the block grant were selected. Finally, specific operation scheme of the block grant was proposed.
        25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도심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이용행태와 도시농업 관련 체험에 대한 선호 및 요구를 분석하여 도심공원에 적용 가능한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자들의 도심공원 이용 목적은 산책, 동반자는 가족이나 친지, 공원을 이용하는 계절은 가을, 이용시간은 오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도심공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프로그램의 도입과 관련한 내용에서 도시농업 체험 활동별 필요성에서는 채소수확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그 필요성이 가장 낮게 응답한 항목은 화학비료 이용하기였다. 체험활동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감성체험이 관계체험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체험 내에서는 재미있고, 마음이 편안해지는 체험을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느끼는 것보다 유의하게 높게 요구하였다. 인지체험 내에서는 전문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식물에 대한 관찰력 및 주의력이 증진되는 체험을 유의하게 높게 원하였다.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연령층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적정 운영 계절은 ‘봄’, 요일은 ‘주말’, 운영시간은 ‘오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주체로 ‘전문가’가 필요하며,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상하는 효과로는 ‘정서 및 교육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5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예비 초등학교 교사의 식물 관련 경험과 농업문해가 농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2012년 1학기 초 A 대학 초등교육과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387명의 질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 왜도, 그리고 첨도 등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신뢰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분석의 방법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구조모형은 예비 초등학교 교사의 식물 관련 경험, 농업문해, 그리고 농업에 대한 태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예비 초등학교 교사의 농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식물 관련 경험과 농업문해였으며, 농업문해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물 관련 경험은 농업문해를 매개로 하여 농업에 대한 태도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농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시키기 위해 식물 관련 경험과 지식을 습득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교내 시설을 활용한 체험 학습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는 초등학교 식물교육의 활성화에 작은 밑거름이 될 것이다.
        26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급격한 도시화는 토지이용 증가, 도시환경 파괴, 도시녹지부족 등 도시환경 파괴에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도시 내 환경개선 방안책의 하나로 도시농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의 도시농업에 대한 욕구 증대로 인하여 지자체에서는 도시농업과 관련된 조례 제정과 함께 도시농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타 지자체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도시농업에 대한 정책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는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농업육성을 목적으로 2007년「서울시 친환경농업 및 주말・체험영농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2009년에는 「서울특별시 보조금관리 조례」를 제정하여 텃밭농원에 대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25개의 자치구 중 13개의 자치구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중이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주머니텃밭, 시민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2011년「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지원 조례」시행하였고, 현재 31개 시․군 중 12개의 시․군이 도시농업관련 조례를 제정 및 시행하고 있으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도시텃밭 등의 이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경기도 도시농업지원센터를 설치·운영 할 예정이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매년 도시농업과 관련된 사업을 유치하고 있으며,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여 정보 제공 및 시민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적극적인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향후 시민들의 관심 증대를 위하여 도시농업의 홍보방안, 자발적 시민참여 유도방안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지자체, 시민, 시민단체 등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교류 및 제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