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2

        261.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진생강의 선도 연장을 위한 연구로 생강을 박피하여 45~의 중온수 조건에서 열처리 한 후, 다진생강을 제조하여 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처리조건에 따른 품질을 평가하였다. 생강을 각각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열처리 시 처리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생강의 품온이 처리수의 온도와 평형을 이루는 시간이 짧았다. 열처리 시 다진 생강의 미생물 수준은 열처리 시간 및 온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이상에서는 총균, 대장균군 및 곰팡이의 미생
        262.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조 연근을 포장방법(PE 필름, PP 필름, 마대, 종이봉투)과 저장온도(-5, 0, 10, )를 달리하여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분함량, 경도변화, 색도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수분의 함량은 PE, PP 포장재에서 종이봉투 및 마대 처리구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마대와 종이봉투 포장재는 온도에 따 시료간의 수분함량 차이에 있어서 PE와 PP의 포장재와 달리 큰
        263.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의 저장성 향상 방법 구명 측면에서 수확한 화산 배에 16시간 동안 1-MCP 처리(0, 0.5, 1.5 ppm) 후 상온()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전과 저장 8주 후의 과피 색도는 Hunter L, a 및 b값 모두 1-MCP 1.5 ppm 처리구에서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평가 값은 1-MCP 0 ppm 처리구는 4주째까지, 0.5 ppm 처리구는 6주째 까지, 1.5 ppm 처리구는 7주째까지 좋다 이상의 수준으로
        264.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플라스틱 컨테이너의 통기공 비율에 따른 딸기의 예냉효과와 저장 중 품질비교를 위하여 플라스틱 컨테이너()의 하단부와 양측면부의 면적당 통기공 비율을 5%, 10%, 15%, 20%로 제작하여 컨테이너 당80%의 체적비율로 적재한 후 차압예냉을 실시하고 에서 현 포장방법에 의거한 저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딸기의 예냉 전 품온은 평균 였으며, 목적 품온 에 도달하는 시간은 처리구별로 20%는 1시간 9분, 15%는 1시간 13분, 10%는 2시간 2
        26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근 저장시 포장재 polyethylene 필름의 두께 및 진공포장에 따른 저장기간별 품질(근경의 무게, 경도, 색도, 부패율)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적정 저장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PE 필름의 두께에 따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근경의 질량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0.1mm PE 필름으로 포장한 처리에서 질량의 변화가 가장 적었다. 0.1mm 두께의 PE 필름이나 0.05mm 두께의 방담 필름 처리에서는 저장 90일째에도 92.7~92.8%을 나타내 다른 처리보다 근경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PE 필름이 두꺼울수록 ‘L'이 높게 나타나 명도가 높았다. PE 필름 0.1mm 두께의 처리에서 저장 90일째에 미생물 발생율이 2.6%로 나타나 연근 부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저장 90일까지 진공 여부에 관계없이 근경의 질량이 처리전의 99.6~99.8%를 유지하고 있어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처리간 차이도 없었다. 저장 30일까지는 일반포장과 진공포장 간에 경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저장 90일째에는 일반포장이 83.1%로 진공포장 93.5%보다 크게 낮았고,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나타났다. 진공포장 처리에서는 일반포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L' 값이 적게 감소하여 근경이 밝은 색을 나타냈다. 진공포장에서는 저장 40일째까지는 미생물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50일째에서도 5.6%만이 발생하여 연근 저장시 미생물의 발생 속도를 크게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근을 0.1mm의 PE 필름을 이용하여 진공포장한 후 1℃에 저장하면 장기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66.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맛과 색상이 우수한 정과를 개발할 목적으로 연근 정과를 제조한 후 에 12주간 저장하면서 종합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근 정과의 pH와 산도는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고 산도가 높았다. 저장초기의 수분함량은 약 8%였으며, 저장 2주까지 수분함량이 14-17%까지 증가한 후, 저장말기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오미자 첨가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연근 정과의 총균수는
        267.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Dombaeki (shark meat) treated without salting (NS), with salting (S), air-packed (A), and vacuum-packed (V), during storage at and . We explored water holding capacity, elasticity, total bacterial counts, pH, titratable acidity level,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 and drip loss. Water holding capacity and elasticity values were better when salting and vacuum-packaging were employed than when samples were not salted and were packaged in air. The total bacterial counts in SV mea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samples. The pH of all samples increased slowly during storage, and the pH values of NSA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H values of other samples. The VBN level and drip loss of SV meat were the lowest of all samples during storage. The results show that salted vacuum-packed meat was of better quality than that stored without salting, and air-packed,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26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련 연근 저장에 있어서 세척과 절단의 연근 조건과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저장 후 90일까지의 연근의 질량은 조금씩 감소하였는데, 0℃와 5℃에 비하여 15℃에서 저장한 처리는 질량의 감소가 많았다. 연근의 경도는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0℃에서 저장하였을 때 경도의 변화가 적었다. 색도 L 값은 세척하지 않고 절단된 연근에서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낮아졌고, 갈변현상이 나타났다. 미생물 발생은 저장 온도가 높은 10℃와 15℃ 처리는 저장 40일 후부터 나타나 0℃ 저장에 비해 빨리 발생했으며, 저장 90일 후에 18.2~49.2%의 연근에서 미생물이 발생하여 품질이 크게 떨어졌다. 따라서 백련 연근은 세척한 후 0℃에서 저장하는 것이 장기 저장에 효과적이었다.
        270.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
        27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rley grain and malt is highly related to beer quality, especially hordein is known to be a more significant factor in malting process than albumin. In this study, we proposed selection criteria for high quality malting barley with aid of grain and malt quality parameter scores and storage protein subunit profile informations. Albumin and hordein were extracted and denatured protein subunits were evaluated with malt and grain quality parameters. Total 13 local adaptability test (LAT) lines were planted in four locations (Naju, Iksan, Jeju, and Jinju) and evaluated for malt and beer making qualities. Seventeen germplasms (world collections for high or low seed storage protein content) were also evaluated for biochemical genetic marker. Denatured seed storage protein subunits of albumin and hordein of all tested lines and germplasms were evaluated using 12% 1D SDS-PAGE. Scored data of protein subunit's presence or absence was applied to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AHC) for statistical analysis. Subunits fractionated within specific molecular weight ranges (97.4-31.0, 66.2-31.0, and 45.0-31.0 kDa)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Several LAT lines showing good performance in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clustered in dendrogram constructed by biochemical-genetic assay using XLSTAT. Specific band pattern showed in good performance LAT lines were also observed in some germplasms of world collection having low protein contents which are known to have superior quality in malting. The results would provide selection criteria for high quality malting barley in the malting barley breeding program.
        272.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초, 주정 및 비타민 C 등의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 생강다대기를 튜브용 용기에 담아 에서 각각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미생물 수, 색도, 향기성분변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곰팡이의 경우 생강다대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모의 경우 저장초기 CFU/g의 효모가 존재하였으나, 저장 2주경과 후부터 존재하지
        273.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건조 고추의 냉동조건 설정을 위해 와 에서 냉동한 후 실험한 결과, 저장구의 경우 capsaicin 함량은 저장 30일 후에 초기 함량 대비 40% 이상 감소를 보인 반면, 이하 저장에서는 2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초기 비타민 C 함량은 1,358.45 mg%으로 30일 경과 후 저장구의 경우 859.55 mg% 수준으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구의 경우 초기 함량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STA 값은 저장온도 및 저장 기
        276.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의 유망품종인 세토카의 저장 중 품질변화 양상을 구명하고자 관행인 무포장과 LDPE로 포장하여 상온()과 저온()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요소를 분석하였다. 감모율은 상온+무포장 처리구에서 현저하게높았으나 LDPE포장 처리구는 중량감소 억제 효과가 뛰어나 상온저장도 외부적인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부패율은 온도의 편차가 큰 상온에서, 그리고 습도가 항상 높게 유지된 LDPE포장 처리구에서 높았다. 호흡량은 다른 감귤류의 품종보다 다소
        277.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가 다른 머스크멜론을 이용하여 1-MCP를 처리한 후 멜론의 선도연장 및 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감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한 저장일에는 숙기에 관계없이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감모율이 적게 나타났다. 경도는 숙기와 관계없이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무처리구에서는 저장 10일부터 경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1-MCP 처
        278.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근경을 열풍(40, 50, )으로 일정시간(10, 30, 60분) 처리한 후 LDPE 필름(0.04 mm)으로 밀봉 포장하고 에서 2개월간 저장하면서 포장 내 기체조성과 생강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포장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열처리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낮고 높은 경향이었다. 발아율은 처리구에서 보다 높았으며, 부패율은 고온 장시간 처리구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질경도는 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279.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완숙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냉동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초기에 비하여 과실을 저장 할수록 산도는 감소하였고, 가용성고형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L, a값이 35.63, 6.74 value로 전체적으로 밝은 붉은 빛을 가졌지만, 냉동 저장되어지면서 28.56, 4.13 value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짐에 따라 점차 어두워지고 붉은 빛은 감소하였다. 비타민 C
        280.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0%, 5%, 10%의 염수로 절인배추를 각각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HDPE-film),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LDPE-film), Mirafresh film (MF-film)으로 포장한 후 4주간 에 저장하면서 pH, 염도, 총균수, 젖산균수, 탄력성을 측정해 품질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pH의 경우 절이지 않은 배추(0% 염수)일 때는 필름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