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1

        26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실 돌연변이를 유기하여 미질개선을 위한 육종으로의 적극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얻어진 신동진벼 돌연변이 계통의 작물학적 특성과 종실 저장단백질을 변이모본과 비교 분석을 검토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 변이계통의 작물학적 특성은 변이모본보다 생태특성의 출수기에서는 대부분 조생의 경향을 보였고, 간장 및 수장은 짧은 경향을 나타냈고, 또한 종실특성의 현미 길이, 현미폭 및 천립중에서도 변이모본보다 짧거나 낮은 정도를 나타냈다. 2. SDS-PAGE 분석결과 opaque 군의 SM-22와 giant embryo 군의 SM-34는 글루테린 폴리펩타이드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고, floury 군의 SM-23, shrunken 군의 SM-26, sugary 군의 SM-31은 전단백질 농도패턴은 낮게 보이면서 55kDa 이상의 고분자 band에서 다양성을 나타냈다.
        4,000원
        26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iet with Cucurbita moschata (CM), adlay seed (AS),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CTL) mixed-powder on the visceral fat, fecal amount,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a high-fat diet (HFD). The mixed ratio of CM, AS, and CTL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was 1:1:1 on a weight basi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fat diet (D12492; 45 kcal fat) for 5 weeks during the first phase. In the second phase, which lasted 5 weeks, the rats were divided into six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a high-fat diet group as a control during the 10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and a high-fat diet with 5, 10, 15,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 The adipose tissue (RFP, EFP)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ecal weight produced by the 15%,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compared to the first phase (p<0.05). In terms of serum lipids, TG (triglyceride)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10% and 15% mixed-powder supplement groups.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indings show that the high supplement groups could improve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fecal amount, and blood glucose content compared to the HFD group.
        4,000원
        26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take of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on the lipid levels of mouse blood were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ly available vegetable oils. FiveICR mice were each fed a corn oil,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supplemented diet for a total of 8 weeks. The serum profiles of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were high in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were 3.95% and 0.88%, whereas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8.71% and 4.60%, respectively. The liver and spleen weights of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were higher than those fed corn oil (p<0.05). Total cholesterol level was highest in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p<0.05),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olesterol levels of mice fed Magnolia denudata seed oil and corn oil. The HDL-cholesterol levels in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175.80±27.66 ㎎/㎗) and in those fed Magnolia denudata seed oil (145.20±19.10 ㎎/㎗)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mice fed corn oil (p<0.05).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mice fed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Future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s of seed oils should be carried out.
        4,000원
        26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자 건전성(seed health)은 종자 또는 식물체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물체의 감염상태를 의미한다. 이들 생물체는 종자의 품질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며,감염 종자는 식물체에 병을 유발하고 포장에서의 발병을 확산시킴으로써 대규모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상업용종자의 해외증식 및 국제교역, 종자 유전자원의 해외분양 및 상호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더불어 종자 건전성 관리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벼 종자 유전자원을 보존하고 연구용으로 분양하는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는 유전자원의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 종자건전성연구실(Seed health unit)을 두어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필리핀 식물산업국 산하 식물검역소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아 필리핀 국내로 도입되거나 해외로 분양되는 유전자원에 대하여종자처리 및 건전성 모니터링, 종자 건전성 검사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상 병원균에 따라 육안검사, 수세현탁액 검사, 습지법 검사, 한천배지 검사 등을 적용하고 있으며, 감염종자는 온탕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와 살균제 또는 훈증제와 같은 화학적 처리를 수행한다. 국제미작연구소의 건전성 관리시스템을 우리나라 벼 종자 유전자원의보존·관리에 선별 적용하고, 더불어 종자소독방법과 저장 전관리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벼 유전자원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 등 신뢰구축을 통해유용한 해외 유전자원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6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거베라의 채종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Ge- 10-47’(S4) 등 2계통에 대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15일 간격으로 자가수분을 실시하였고, ‘Ge-10-47’ 등 5계통 에 대하여 자가 수분,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 등의 교 배 방법에 따른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를 조 사하였다. 교배시기별로는 주간 25 ± 3οC/야간 15 ± 3οC 가 유지되는 4-5월과 9-10월은 결실화율은 80% 이상이 고, 결실화 당 종자 수는 20개에서 70개로 다른 시기 보다 월등히 많았으나 겨울(11-2월) 및 여름(6-8월)에는 수정이 거의 안 되거나 낮게 나타났다. 교배 방법에 따 른 결실화율은 자가수분이 58.2%, 형매 교배는 70.8%, 타가수분은 77.5%이었다. 결실화 당 종자수도 자가수분 이 14.1개, 형매 교배가 19.0개, 타가수분은 22.7개를 나타냈다.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의 결실율이 자가수분 보다 높고, 결실화 당 채종립도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교배 횟수는 2회가 알맞았고, 계통의 세대가 진전될수록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는 현저히 적었다.
        4,000원
        26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와 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7.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Original Jeolpyeon and Jeolpyeon with BHT (butyl hydroxy toluene) werecompare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total poly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were estimated at 37.81±0.45 mg GAE/g and 26.35±0.13 mg Q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upon 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Further,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than original Jeolpyeon or Jeolpyeon with BH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Jeolpyeon significantly increased upon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4,000원
        268.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 신종자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모형은 기술수용이론(TAM)을 기반으로 도출하였으며, 분석은 편최소제곱법(PLS)을 이용하였다. 배추생산 농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 분석결과, 선행변수 중에서는 혁신성과 종자홍보가, 매개변수에서는 인지된 용이성이 신종자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이들 변수들 간에는 강한 양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종자에 비해 품질이 개선된 신종자의 개발 및 보급, 그리고 신종자를 이용하여 생산된 배추의 판로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지된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종자홍보와 함께 신종자에 대한 농가의 수용의지를 제고하고 신종자 도입 시 농가가 직면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농가의 혁신성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270.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lling resistance at sowing is pre-requisite to avoid high temperature stress at terminal stage of spring planted maize crop. Seed priming offers promising solution to improve crop resistance against low or high temperature str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ole of seed priming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pring planted maize under various sowing dates. Seeds of hybrid maize FH-810 were soaked in aerated solution of CaC}z (2.2%), moringa leaf extracts (MLE, 3.3%) and salicylic acid (SA, 50 mg L- 1 ) while dry and water soaked seeds (hydropriming) were used as controls. Both primed and untreated seeds were planted on 02 and 22 Feb, and 14 March. Late planted maize observed notable decline in mean emergence time than early planted crop owing to high temperature at planting. Both low and high temperature in early (02 Feb) and late (14 March) planted maize resulted in reduced seedling growth and tissue water status accompanied with elevated membrane electrolytes leakage. Moreover all the priming techniques improved the studied parameters of crop compared with control at all planting dates. Seed osmopriming with SA improved crop stress resistance by earlier emergence, increased seedling dry weight, tissue water status and improved membrane stability followed by osmopriming with CaC12.
        4,000원
        271.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selenium priming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maize at Agronomy Research Area, University of Agriculture, Faisalabad. Maize seeds were prim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elenium (0, 5, 25, 50 and 100 JlM) while untreated seeds were taken as control. Results showed that seed priming with all levels of selenium improved the germination parameters, growth and yield of maize. Seed priming with 50 JlM of selenium recorded maximum grain yield (2.35 t ha- 1) while minimum (1.66 t ha-1) grain yield was observed in case of untreated seeds (control).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out mechanisms of growth and yield improvement of maize as a result of seed priming with selenium.
        3,000원
        27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s and soluble dietary fiber from Cassia tora L. se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assia tora, soluble solid contents, color intensity and contents of emodin and rhein of Cassia tora extract, molecular mass distribution, sugar contents and viscosity of soluble fiber from Cassia tora were analyzed. Cassia tora contains 12.6% of moisture, 5.2% of ash, 13.4% of crude protein, 7.2% of crude fat, 8.8% of insoluble fiber and 48.3% of soluble fiber. The effects of extract condition on soluble solid contents, color intensity and contents of emodin and rhein of Cassia tora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soluble solid contents were higher in 70% or 50% ethanol extracts than those in 100% ethanol extracts and showed highest value in grind sample extracts. In Hunter's color value, 100% ethanol extracts and whole Cassia tora sample extracts were higher in L and b value, but on the contrary, were lower in a value, than those of the other. The highest emodin and rhein contents were observed in 70% and 5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nd showed higher value in room temperature extracts than in heating extracts. The molecular mass of soluble fiber from Cassia tora seed was estimated b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Most soluble fiber(80%) exhibited a molecular mass range of between 50~2000 kDa. The major sugars of soluble fiber from Cassia tora seed were identified as xylose, mannose and galactose. The apparent viscosity of 0.5% soluble fiber from Cassia tora seed was 33 mPas showing a higher value than pectin or xanthan gum.
        4,000원
        27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리뷰의 목적은 벼 종자 저장단백질 구조분석 및 발현특성분석 결과 종합화를 통하여 종자형질 개선 등의 실용화연구를 위한 기반구축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벼 염색체염기서열완전해독 연구 결과를 이용한 유용형질 유전자 분리 및 실용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벼 종자 저장단백질은 인류에게는 주요 영양원으로 사용되어지며 종자 발아시에는 식물체 성장을 위한 질소원으로 사용되어진다.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분류는 용매에서의 용해도에 따라 약산성 및 알카리 용해성의 glutelin, 알코올 용해성의 prolamin, 염 용해성의 globulin으로 나눈다. 벼 염색체 상에는 11개의 glutelin 유전자와 33개의 prolamin 유전자가 존재하며 prolamin 유전자의 경우 5번 염색체 15 Mb 부위에 15개의 유전자가 위치하였다. 이와 같이 종자저장단백질 유전자들이 동일 염색체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진화학적으로 동일 염색체에서 유래하였거나 유사한 유전자발현 조절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Globulin 유전자는 5번 염색체에 단일 유전자로 존재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종자저장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조직 특이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과 대다수의 prolam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에서만 발현을 하였으며 소수의 prolamin과 globul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와 발아종자에서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종자 저장단백질의 프로모터부위를 분리한 후 종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 type C1 프로모터가 종자의 전체 부위에서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glutelin type B5와 α-globulin 프로모터가 많은 양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본 리뷰를 통하여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구조및 발현특성 연구 진행사항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동향분석은 종자형질 개선 및 물질생산 등의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최근의 연구 현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27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 및 근적외선 초분광 반사광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추의 건전종자와 퇴화종자를 선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하여 배추의 건전종자와 퇴화종자를 선별할 수 있는 최적의 반사광 파장 조합을 구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퇴화종자를 검출할 수 있는 초분광 영상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전체적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배추의 건전종자와 퇴화종자를 구별하기 위해 초분광 반사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PLS-DA 모델을 개발하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Calibration set의 분류 정확도 97.6%이고 test set의 분류 정확도는 96.9% 이었다. 나) 배추의 건전종자와 퇴화종자를 분류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파장대는 680 nm로 확인 되었으며, 이는 배추종자가 퇴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chlorophyll 변화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다) 개발한 PLS-DA모델의 beta coefficient를 적용한 PLS의 영상을 이용하여 건전종자와 퇴화종자를 선별한 결과 분류정확도 96.8%로 육안 및 일반 컬러 카메라로 선별하기 힘든 배추의 퇴화종자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7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흥미첨가농도범위를 각각 0.02-0.08, 0.05-0.117 및 0.05-0.117%(w/w)로 놓았으며 혼합비율로서 혼합물 구조모형으로 설계하여 돈육포의 품질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색상 면에서 a값에서는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을 각각 0.02, 0.15 및 0.05%의 농도로 첨가 시 가장 높은 값인 14.5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7.9이었다. 60oC의 가속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 저장 7일 후 TBA값의 증가정도는 80.20%이었으며 처리구 중 가장 작은 값을 보인 것은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0.05, 0.05 및 0.10%에서 나타났으며 그때의 증가율은 16.44%이었다. 저장초기 천연첨가물질 혼합비율에 따라서 총 균수는 3.39-3.69 log CFU/g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대조구의 3.41 log CFU/g과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5oC의 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는 7일 후 약간 증가하였으나 천연물질을 첨가한 경우에는 대부분 감소하였다.
        4,000원
        276.
        2012.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demand for the miniaturiz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has been increasing, as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sharply downsized. Conventional multi-layered PCBs are limited in terms their use with higher packaging densities. Therefore, a build-up process has been adopted as a new multi-layered PCB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process, via-holes are used to connect each conductive layer. After the connection of the interlayers created by electro copper plating, the via-holes are filled with a conductive paste. In this study, a desmear treatment, electroless plating and electroplating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Cu via filling on a PCB. The desmear treatment involved swelling, etching, reduction, and an acid dip. A seed layer was formed on the via surface by electroless Cu plating. For Cu via filling, the electroplating of Cu from an acid sulfate bath containing typical additives such as PEG(polyethylene glycol), chloride ions, bis-(3-sodiumsulfopropyl disulfide) (SPS), and Janus Green B(JGB) was carried out. The desmear treatment clearly removes laser drilling residue and improves the surface roughness, which is necessary to ensure good adhesion of the Cu. A homogeneous and thick Cu seed layer was deposited on the samples after the desmear treatment. The 2,2'-Dipyridyl additive significantly improves the seed layer quality. SPS, PEG, and JGB additives are necessary to ensure defect-free bottom-up super filling.
        4,000원
        27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분자마커를 이용한 목표형질분리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Ivory seed(IVS) 유전자는 bHLH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고, 꽃의 안토시아닌과 종자의 프로안토시아닌의 발현에 관여하는 애기장대의 TT8 및 페튜니아의 AN1유전자와 상동성을 가지는 유 전자로 나팔꽃의 꽃과 종자의 착색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보리 종자로부터 화색이 full purple(FP), pale purple(PP), magenta(M) 및 pale red(PR)인 4가지 계통의 식물체가 분리되었다. 분자분 석을 통해 이 식물체 모두 ivs 유전자의 변이형질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자마커 선발을 위해 고안 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IVS 유전자의 exon 2와 intron 5 영역을 증폭하여, ivs 대립형질인 ivs-stb 및 ivs-pwt을 야생형 IVS로부터 구분할 수 있었다. PCR 결과로 예측한 IVS 유전자의 대립형질 구성 상태는 Southern blot 분석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PP 와 PR은 ivs-stb에 의한 열성 변이체였으며, M과 FP 계통은 ivs-stb 대립형질에 더하여 각각 야생형 IVS 및 ivs-pwt와의 이형접합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분자마커는 IVS 유전자의 대립형질 구분에 매 우 유용하였다.
        4,000원
        27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water, TW), 에탄올(ethanol, TE) 및 핵산(n-hexane, TH)을 이용하여 탱자씨 추출물(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을 각각 제조한 후 그람양성 식중독균 6종(Bacillus cereus KCCM 11341, Bacillus subtilis KCTC 1022,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269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9111,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및 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에 대한 항균활성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prebiotic effec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탱자씨 핵산추출물(TH)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해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강한 증식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탱자씨 에탄올 추출물(TE)은 약간의 증식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배양 81시간 후 대조군은 90.31%의 증식활성을 보인 것에 반해 탱자씨 핵산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64.95%와 75.50%의 증식활성을 각각 보였다. 탱자씨 추출물의 Lb.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증식활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생육저해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탱자씨의 핵산 및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한 항균활성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7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GC와 GC/MSD를 사용하여 안정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성분은 팔미틱산과 올레익산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씨 오일은 열에 의한 성분변화가 없고, 소재 자체의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씨 오일이 마카다미아 오일과 올리브 오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능 또한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씨 오일은 화장품 소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8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친환경농업 및 조사료 용도로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국내 헤어리베치 종자 채종 시 개화 후 경과 일시에 따른 채종 수량 추이를 조사하여 안전 다수확 채종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헤어리베치 품종 ‘청풍보라’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에 걸쳐시험하였다. 2009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11일), 42일 (6월 18일), 48일 (6월 24일), 54일 (6월 30일), 58일 (7월 4일) 등 5회, 2010년도는개화 후 35일 (6월 21일), 42일 (6월 28일), 48일(7월 4일), 54일 (7월 10일), 58일 (7월 14일) 등5회, 그리고 2011년에는 개화 후 39일 (6월 21일), 49일 (7월 1일), 53일 (7월 5일) 등 3회 수확하여 종자 수량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 수량은 개화 후 경과 일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개화 후 42일 (2010년도), 49일 (2011년도), 54일 (2009년도)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 도복으로 인한 꼬투리 소실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1,000립 중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장마기 이후에 수확 된 종자는 수발아 종자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헤어리베치 종자 안전다수확을 위한 수확 시기는 개화 후 42일에서54일 사이에 장마 전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