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3

        28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는 세계 인구의 절반이상의 안정적 식량으로 가장 중요한 식량자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래의 품종육종을 위해 사라져가는 재래종 자원과 벼생산에 영향을 미칠 생물적, 무생물적 스트레스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근연야생종을 보존하고자 1977년 국제미작연구소내에 종자은행을 설립하였다. 현재 123개국으로부터 109,000여점의 유전자원을 확보하여 보존하고 있으며, 야생종 자원도 5,000여점 포함되어있다. T.T. Chang GRC에 새로 도입된 종자는 IRRI내의 SHU(Seed Health Unit)에서 검역을 마친 후 증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증식은 주로 건기에 실시하며 생태형, 원산지, 광감수성 유무 등을 고려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를 달리함으로서 충실한 종자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증식된 벼 종자는 건조를 거쳐 active collection 과 base collection 으로 나누어 보존하며, 안전중복보존을 위하여 제3국인 스발바르국제저장고와 미국의 국립유전자원보존센터에도 보존하고 있다. 보존자원의 종자량, 발아율 모니터링을 통하여 갱신을 결정한다. 보존된 자원은 연구목적으로 분양 및 교환을 통하여 활용된다. 유전자원의 정보관리는 GRIMS(Genetic Resourc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로 운영되고 있다.
        4,000원
        28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말 기준의 국내 해양시설 신고 현황을 지역별 및 시설 종류별로 분석하고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여수청에 신고한 시설이 8가지 종류로 가장 다양하였으나 포항청, 대산청 및 제주해양관리단에 신고한 시설이 각각 3가지 종류에 불과하였다.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저장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고 시설의 수도 가장 많은 종류이며, 여수청과 마산청이 각 38개소로 공동 1위를, 평택청이 11개소로 최하위를 차지하였다. 오염물질저장시설은 마산청이 4개소, 동해청과 목포청이 각 2개소, 여수청, 군산청 및 평택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선박건조 수리 해체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는 종류이며, 전국 시설(조선소)의 45%가 마산청과 부산청 관할의 남해 동부해역에 집중되었다. 하역시설은 부산청과 목포청이 각 3개소, 대산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은 신고 실적이 없었다. 폐기물저장시설은 울산청이 5개소, 군산청이 4개소, 인천청이 2개소, 여수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취수 배수시설은 전국의 65%가 포항지역과 목포지역에 집중되었고, 유어장은 전국의 78%가 마산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밖의 시설은 동해청이 4개소, 마산청이 3개소, 여수청과 평택청이 각 2개소, 인천청과 울산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종합해양과학기지는 제주해양관리단이 3개소, 여수청, 울산청 및 군산청 각각 1개소였으나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해양시설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으로는 지방청별 여건을 고려한 관리, 시설 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관계 법령 및 규정의 개정, 해양시설 종류별 이행사항 숙지 및 준수, 국가적 견지의 적극적 관리조치 등을 제안하였다.
        4,200원
        28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2008년과 2009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한 해양시설의 전국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9년 말 현재 총 672개소의 해양시설이 전국의 동 서 남해 해안에 산재하였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에 신고한 해양시설 수가 124개소로 전국의 약 18.5%를, 목포청과 포항청에 신고한 해양시설은 공히 69개소로 전국의 약 10.3%를 각각 차지하였다. 마산청과 부산청에 신고한 해양시설의 합계가 181개소로 전국의 26.9%를 차지함으로써 전국 해양시설의 4분의 1이상이 부산과 마산을 중심으로 하는 남해 동부해역에 집중되었다.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저장시설은 320개소로 전국 해양시설 총 672개소의 47.6%를 차지하여 시설 종류별 1위였다. 오염물질저장시설은 11개소로 1.6%를, 선박 건조, 수리 및 해체 시설은 178개소로 26.5%를, 하역시설은 7개소로 1.0%를, 폐기물해양배출업자의 폐기물저장시설은 12개소로 1.8%를, 연면적 100m2 이상의 해상관광시설, 주거시설(호텔 콘도), 음식점은 전혀 신고가 없었고, 관경의 지름이 600mm 이상의 취수 배수시설은 88개소로 13.1%를, 유어장은 37개소로 5.5%를, 그 밖의 시설은 13개소로 1.9%를, 국가해양관측을 위한 종합해양과학기지는 6개소로 0.9%를 차지하였다. 해양시설 관리방안으로는 해양시설 신고제도의 계도 및 홍보, 신고제도 및 관리방안의 개선, 신고업무 처리의 개선 및 보완, 신고제도에 대한 해양시설 설치자의 자발적 참여 및 준수사항 이행 등을 제안하였다.
        4,000원
        28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national policy for medical device control system in Korea as deeply analysed the present status of the system. On 1979, Korean government had started to inspect 24 kinds of the medical devices such as X-ray diagnostic equipments, medical sterilizer and etc. mostly imported from advanced countries which USA, Germany and Japan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However medical devices were becoming consideration as an important partner of diagnosis, curing and alleviation of diseases by medical doctors and also much important keeping the health at home. Furthermore medical devices industry can be designated as a national growth engine industry. So it is necessary not only to harmonize to international standards but also the harmonization of the system including pre-market application and post-market surveillance, is strongly needed by the Korea Food and Drugs Administration(KFDA).
        4,900원
        28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육종 프로그램에 선충저항성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이다. 세계적으로 선충에 의한 작물의 수량 감소는 약 10%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나 아시아 각국에서는 주요 작물별로 선충의 피해현황이나 저항성 작물 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각국의 최근 선충저항성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주요 경제작물 중 쌀, 콩, 고추, 오이, 참외 뿐만 아니라 장미, 카네이션, 국화 등 화훼작물에 대한 선충저항성 품종 선발 연구가 이루어졌다. 베트남에서 는 바나나, 커피, 쌀, 리치 등에 대한 선충저항성 검정연구와 식물 기생선충의 분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최근 파인애플에서 선충으로 인한 연작장해가 문제가 되고 있으나 저항성품종 개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아시아 각국에서 선충에 대한 연구가 부진한 이유는 방제전략의 부재, 경제적인 종합방제 대책의 부족, 선충에 대한 정보 부족, 살선충제 가격 부담 등이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선충관리전략의 수립이 시급하다. 선충저항성 유전자원의 이용과 품종개발은 아시아 지역에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선충관리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다.
        4,000원
        28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lacks purchases and wearing satisfaction among old-aged women who were highly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fit due to physical changes and to provide som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slacks patterns to meet their needs. A survey was taken among 223 old-aged women aged 60~79 living in Seoul.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rosstab.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most used place for them to shop slacks was a market(including the Dongdaemun and Namdaemun market), which was followed by a department store and a discount store in the order. As for their preference for slacks according to age,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most preferred straight-line slacks, while those who were in their seventies semistraight-type slacks. As for fit for each body part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rotch length. Those who were in their seventie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crotch length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feeling that crotch length was short. As for their experiences of repair after purchasing a pair of slacks, 82.5% said they had such an experience. Most of the repairs with length, waist and slacks width involved in size reduction.
        4,000원
        28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의 가로경관은 도시민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색채는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색채분석을 통하여 가로경관의 시각적인 문제점을 발견하는 동시에 그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가로경관의 성격과 특징에알맞은 쾌적하고 미적인 거리를 조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홍대 걷고 싶은 거리로, 가로의색채 환경을 조사 분석 한 결과, 가로는 명도와 채도가 일정치 않고 색상 또한 지나치게 다양하게 사용되어 혼란스러운느낌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바탕으로, 개선시 요구되는 형용사이미지인 ‘경쾌한’을 기준으로 제안색채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홍대 걷고 싶은 거리에 조화로운 색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는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4,000원
        29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하늘소과(Cerambycidae)는 산림내 대표적인 천공성 해충인 동시에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가 포함되어 있는 중요한 산림곤충류 중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약 25,000여종이, 국내에는 306종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중요 산림곤충 중 하나인 하늘소과(Cerambycidae)의 분류학적 체계를 수립하여 관련 응용 및 활용분야에 제공할 기초자료를 확보키 위한 국립수목원의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금번연구에서는 향후 하늘소과의 분류연구과제를 체계적으로 수행키 위해 우리나라에서의 현재까지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연구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산림청의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의 DB정보도 함께 활용하여 종합적인 하늘소류의 연구현황을 파악하도록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하늘소과(Cerambycidae)에 대한 연구는 Kolbe(1886)이 16종을 보고한 것이 최초이며 이후 다양한 종들이 보고되었고, Cho(1962)가 한국산 241종의 목록을 제시한 것이 최초의 종합기록이라 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에는 Cho를 비롯하여 Lee, An 등의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정리된 하늘소류는 296종에 이른다 (한국곤충명집, 1994). 금번조사를 통해 Lee(1982)의 1종 등 총 3종이 한국곤충명집(1994)에 누락되었음이 확인되었고, 1994년도 이후에는 Danilevsky(1996)에 의해 3신종을 비롯한 총 10종이 추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수치는 향후, 보다 집중적인 문헌 및 표본조사를 통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동호인들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국가적인 차원의 종합적인 분류연구나 표본의 수집․보존 등은 앞으로의 시급한 과제로 판단되었다.
        29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순천만 거주자의 인식조사에 기초하여 연안습지의 현황을 평가하고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기본틀 수립 및 향후 관리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민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98매(태안해안국립공원: 38매, 순천만: 60매)의 설문지가 유효 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주민의 만족도 조사에서 자연환경은 순천만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이 유사하게 나타나 두 지역간 만족도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환경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전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순천만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두 지역 주민들은 사회 경제환경에는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습지에 대한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 두 지역 모두 중요하다고 답한 사람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습지의 개발과 보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결과로는 두 지역 모두 보전과 완전보전을 원하는 사람이 현재 습지나 자연환경의 보전이 잘되고 있는 것처럼 보전을 더욱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연안습지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이상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때, 주변 환경이 양호한 순천만과 같은 경우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개발을 유도하여야 하며, 태안해안국립공원과 같이 양호한 자연환경과 개발 잠재력이 있는 공존지역은 습지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자연과 어우러지는 개발 즉,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관광지로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92.
        2010.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94.
        201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uld growth can deteriorate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To alleviate the problems in the built environment,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for mould infestation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mould growth problem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Bo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nd the behaviour of occupants have been studied as risk factor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randomly on a national basis. A total of 31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uld growth and activity factors was analyzed. As a result, about 30% of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reported mould problems. However, the types of residential building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mould problems.
        4,000원
        29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교육정보화 전반의 현황에 대한 중국 교육정보화 책무자들의 논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PEC e-Learning 연수에 참여한 중국 연수생들의 초기연구문제를 내용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범주를 설정하기 위해 5가지의 교육정보화 발달의 판단기준을 도출하였고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정보화 인프라, 활용 인적자원의 인식, 지원 정책과 같은세 가지 범주를 설정하였다. 범주의 설정 후 중국 연수생들의 초기연구문제를 단어와 구를 분석단위로 하여 그 사용빈도를 측정하여 상위 빈도를 보이는 단어 및 구를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자들이 선정한 단어 및 구와 비교하여 주요 단어를 도출하여 분석범주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해석하여 중국의 교육정보화 현황에 대하여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가 중국에 다양한 교육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중국교육정보화에 특화된 추진모형개발의기초가 될 것이다.
        6,400원
        29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focuses on analysing situation of disasters and characteristics in construction process which the technical construction firms accomplish. Besides, the study aims at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technical construction firms in construction safety. It is found out by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n this study that safety control and management have a key role to prevent accid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upport strategies are suggested and that additional to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institutions in charge of the field of construction safety the effort of the first contractor, the second contractor and the laborer it is also important.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