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8

        30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궁근종 성장에 관한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의 이해를 위해 자궁근종 및 정상 자궁근세포의 초기 배양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두 가지 세포 배양 방법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안정적으로 연구(특히, 여성호르몬에 대한 반응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세포 배양 방법이 모색되었다. 두 가지 세포 배양 조건 중 두 번째 방법(method 2)이 안정적으로 세포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더 나은 방법으로 결론 내려졌고, 여
        302.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 및 농산물의 생리적 활성에 대하여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마늘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열수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용매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lin allicin 및 total thiosulfinate는 추출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고
        303.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류수 및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온도 (60, 100℃) 및 초음파 병행 조건을 달리한 사자발쑥의 추출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열수 추출이 20.51%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또한 60℃ 및 100℃ 열수 추출이 60℃ ethanol 추출에 비해 각각 2배, 3배 정도의 수율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추출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이 일반 열수 추출과 비교하여 약 20%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세포를 이용한 사자발쑥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6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각각의 조건에 비해 5~8%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암세포를 이용하여 사자발쑥 추출물의 첨가를 통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 측정 결과를 통해 0.8 mg/ml 이상의 농도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물 추출물이 최고 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60℃ 물 추출물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40~62%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서 모든 농도조건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활성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최대 110% 까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선택성에서도 모든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병행하지 않은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해 증가된 세포선택성을 나타냈다. 암 발생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bcl-2 발현 실험에서 100℃ 물 추출물의 IOD 수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나 초음파를 병행을 통해 감소하여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냄에 따라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열수 추출 공정 및 용매에 따른 암 발생 관련 성분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사자발쑥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 60℃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수율 향상 및 세포독성의 저해는 물론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4.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를 혼합한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혼합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설계된 실험조건에 따라 제조된 혼합음료의 당도는 9.77-11.5 , pH 는 3.0정도 이었다. 음료의 색도는 뜰보리수의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산의 함량은 현미식초의 혼합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페놀성 물
        305.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의 부가가치 향상과 새로운 식품자원의 개발을 위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의 혼합음료를 개발하고자 혼합조건에 따른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제조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차였다. 음료의 색, 풍미, 맛 그리고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유의성이 있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풍미는 현미식초의 함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맛은 색도와 같이 뜰보리수의 함량이 낮은 혼합구에서 가장 높았다. 음료의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
        309.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마의 광범위한 약리작용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을 위하여 반응 표면분석법에 의한 천마의 유효 성분의 에탄을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에탄을 추출공정에서 주요변수로 에탄올농도( ; 20, 40, 60, 80 및 100%), 시료에 대한 용매비( ; 5, 10, 15, 20 및 25g/mL) 및 추출시간( ; 2, 4, 6, 8 및 10 hr)을 각각 독립 변수로 하여 중심합
        310.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반조건을 고려한 브레이스된 강골조 구조물의 연속 및 이산화 내진 최적설계에 관한 내용이다. 지반조건을 고려한 구조해석과 연속 및 이산화 최적설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내진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브레이스가 없는 경우, Z-형, X-형의 브레이스 배치형태를 사용한 강골조 구조물에 적용하였고, 정하중,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AISC-ASD 시방규정과 ATC-3-06에 규정한 사용성, 허용층간변위 및 다양한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최소중량, 설계변수 등을 도출하고, 특히 Newmark-Hall 설계스펙트럼 해석과 지반조건을 고려한 ATC 설계스펙트럼 해석 및 ATC 등가정적해석의 해석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서 보다 내진에 적합한 브레이스 배치 형태 및 적용한 해석방법이 최적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14.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 온도, 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의 온도, 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추출 온도와 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315.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nascus purpureus MMK2를 이용하여 황색색소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균주가 생산하는 황색색소의 최적 배양 조건은 탄소원으로 wheat flour 3.0% 첨가, 질소원으로 0.15%, 인산염으로 의 농도가 0.25% 및 의 농도가 0.15%일 때 가장 높은 황색색소 생성을 나타내었다. 배양 온도는 , 초기 PH가 6.5 및 배양 시간 7일 일 때 황색색소의 생성능이 28.91 unit
        316.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발효식품인 된장으로부터 높은 활성의 fibrinolytic enzym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수십 종 분리하였다. 산업적으로 우수한 균종을 선별하기 위하여 분리된 미생물중 fibrinolytic enzyme활성과 성장 속도면에서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하였으며,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Bacillus sp.로 동정되었다. Fibrinolytic enzyme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초기 pH 일 때 상대활성도가
        317.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이크로파에 의한 자생식물 쥐깨풀(Mosla dianthera M.)의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마이크로파 용량( W)과 추출시간(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에탄을 추출물의 품질특성인 총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10개 조건에 따른 추출방법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분석하였다. 종속변수들에 대한 결정계수()는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 성분들의
        31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개갑된 인삼종자를 안전하게 장기보존하고, 또한 이를 효율적으로 발아시키기 위하여 인삼종자의 건조 저항성 및 동결보존을 위한 적정 수분함량을 분석하고, 배 발육과 발아에 관여하는 온도와 호르몬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0일 후의 초기 발아율은 GA3 와 BA 등 생장조절제 처리 후 5℃ 와 10℃ 에서 발아시킬 경우에만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70일 후의 발아율은 생장조절제의 처리와 상관없이 5℃ 와 10℃ 에서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15℃ 에서도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는 일부 발아하였다. 2. 개갑 인삼 종자를 무균상 송풍구와 종자건조실에서 건조시킬 경우 각각 12시간(종실 수분함량 10.6~% ) 및 3일(6.1~% ) 까지는 내과피와 종실간에 수분함량에 차이를 보이면서 급속히 건조되다가 이후 서서히 건조되었다. 3. 무균상에서 0~~l8시간 동안 건조된 종자(수분함량 57.9~~8.7~% )는 95~% 이상이 발아하였으나, 30시간 건조된 종자(7.2~% )는 발아율이 85~% 로 감소하였다. 건조된 인삼종자를 액체질소에 저장 후 발아율을 조사한 바, 12~~30시간 건조(10.6~~7.2~% )된 종자는 90~% 이상이 발아하였다. 4. 건조실에서 건조된 인삼종자는 0~~2일 동안 건조(57.9~~9.0~% )하였을 때 90~% 이상이 발아하였으나, 6일 건조(3.8~% )된 종자는 발아율이 30~% 이하로 대폭 감소하였다. 동결보존 후의 발아율은 2일 건조 종자(9.0~% )만이 90.5~% 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5. 최적수분함량에서 두 건조방법간에 동결보존 전후의 발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건조 장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동결장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적정 수분함량범위는 8~~l0~% 였다.
        319.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백리향의 항산화 기능성 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특성을 확인하고자 microwave power()와 추출시간(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10개구간의 추출조건을 설계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기능성분인 총 추출수율,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의 는 총 페놀성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0.93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mic
        320.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secutive combination process of a biological process as the pre-treatment and a chemical process as the post-treatment is applied for the dyeing wastewater. The poor efficiency of biological treatment using pure oxygen makes the chemical treatment cost hig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iological treatment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chem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minimum dose of chemical reagent to fit the Discharged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different biological treatment effluents. Results revealed that the minimum dosage of Fenton's reagent lead to save the cost of chemical treatment based on the guideline dose in the treatment plant. The possible maximum saving reagents was up to 70% for the effluent of the pilot plant packed with the carrier imbedded microorganism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present treatment plant.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