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2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강원도의 옥수수 재배지들을 조사하고, 밑둥썩음병에 걸린 옥수수로부터 Fusarium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병원균은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EF-1 alpha) 유전자 분석과 형태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F. subglutinans가 밑둥썩음병의 주요 원인균임을 확인하였다. F. subglutinans KWFS-1의 화학적 방제를 위해, 6개의 살균제와 하나의 살충제를 선발하여 항균효과를 검정하였다. 추천농도로 약제를 사용하였을 때, tebuconazole,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이 각각 균사생장을 무처리구에 비해 64%, 60%, 55%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 hymexazol, azoxystrobin, clothianidin, benomyl은 각각 20%, 37%, 35%, 23%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포자생장 억제에서 benomyl, tebuconazole,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은 포자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지만 hymexazol, azoxystrobin, clothianidin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포자생장으로 나타난 균총이 각각 1.1 mm, 2.1 mm, 4.1 mm의 직경크기를 보여 농약별 포자생장 억제효과가 상이함을 보였다.
        4,000원
        2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중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및 myclobutanil의 생물 학적 반감기와 출하전 잔류허용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안 전사용기준에 근거한 기준량과 3배량의 약제를 살포하고 그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 중 두 농약의 잔류량은 각각의 MRL 이하로 나타났으며, 사과 중 생물학적 반감기 는 flusilazole의 경우 기준량 처리구에서 6.7일, 3배량 처리 구에서 6.2일로 나타났다. 반면에 myclobutanil의 반감기는 기준량 처리구에서 13.3일, 3배량 처리구에서 24.8일로 나 타나 flusilazole보다 더 긴 반감기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First order kinetics에 근거한 감소지수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각 농약의 감소상수는 flusilazole에 대하여 0.0513, myclobutanil에 대하여 0.0244이었으며, 산출된 감소상수들 을 이용하여 출하 전 잔류허용기준(PHRL)을 계산한 결과,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한 농약살포를 가정하였을 때 flusilazole은 수확 일주일 전 0.43 mg/kg, myclobutanil은 같은 시기 0.59 mg/kg 이하로 잔류하면 수확 시 잔류농도가 MRL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예측된다.
        4,000원
        2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균제 저항성 Bacillus cereus 분리주의 포자에 살균제와 열을 가해 그 병합효과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B. cereus 균주는 차아염소계 처리 후 분리한 균주(S-BC-50, S-BC-52), 과산화수소 처리 후 분리한 균주(S-BC-23, S-BC-48), acetic acid 처리 후 분리한 균주(S-BC-54, S-BC-56)와 표준균주 B. cereus KCTC1661을 사용하였다. B. cereus 분리주의 포자를 다음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i) 0.56% 과산화수소수(HP), ii) 3% acetic acid(AA), iii) 80oC 열처리(H80), iv) 90o 열처리(H90), v) HP+H80, vi) HP+H90, vii) AA+H80, viii) AA+H90. 포자를 HP와 AA 처리에 노출시킨 결과 포자가 감소하지 않았지만, H80과 H90 처리에서는 1~2 log CFU/mL가 감소하였다(P<0.05). 병합처리(HP+H80, HP+H90, AA+H80, AA+H90)에 포자를 적용시킨 경우, 포자수가 3-6 log CFU/mL 감소 하였지만, AA+H80과 AA+H90은 AA만 처리했을 때보다 오히려 포자 제어가 감소했다. 따라서 HP와 열처리를 병합했을 때는 B. cereus 포자를 불활성화하기에 효과적이지만, AA의 경우 B. cereus 포자가 열처리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4.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 참나무시들음병원균(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형태적 특성과 대사적 특성 및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일본 대조균주(R. quercivora)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채집 지역과 시기가 다른 11개 국내 균주의 분생포자경과 분생포자의 크기 및 형태를 관찰한 결과, 두 형질의 크기 범위가 최초보고 이후 확대되었으며 계통학적 근연종인 일본 참나무시들음병원균과 R. montetyi의 형질 특성과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균주 4개, 일본 대조균주 5개를 이용하여 95개 탄소이용패턴을 Biolog사의 MicroLog Syste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덴드로그램을 그린 결과, 국내 균주와 일본 균주가 일본의 타입균주를 루트로 하여 두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살균제(10성분)와 항생제(1성분)의 생장저해 효과는 국내균주 2개, 일본 대조균주 1개를 이용하여 검정 하였다. 국내균주의 경우, 클로로탈로닐과 베노밀이 10 ppm에서 병원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침투성인 프로피코나졸도 100 ppm에서 병원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고, 저농도에서는 생장을 상당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균주의 경우, 프로피코나졸과 베노밀의 살균 효과가 가장 높았다.
        2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가습기의 살균제 성분으로 사용된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와 PGH Oligo[2-(2-ethoxy) 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는 주로 살균제나 부패방지제 등으로 사용되는 구아니딘(guanidine) 계열의 화학물질이다. 본 연구는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살균제의 재료인PHMG와 PGH의 성분이 포함된 가습기 살균제를 물 2L 기준 0.25%를 첨가하여 희석하였으며 시간경과 별로 각각 수화시킨 후 Disposable soft contact lens와 Daily-wear soft contact lens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의 변화량을 water content, refractive index, spectral transmittance, pH 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Disposable soft contact lens의 굴절률은 1.406에서 1.331로 Daily-wear soft contact lens은 1.450에서 1.441으로 감소하였으며 함수율은 55.62%에서 69.47%, 34.49%에서 37.50%로 각각 증가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결과, UV-B 영역의 투과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 3% 정도의 증가량을 보였다. 실험 후 pH 변화는 8.0에서 8.4로 증가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모두 1일 경과 후 가장 많은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가습기 살균작용을 위해 사용하는 물질인PHMG, PGH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원 나무좀은 나무내부에 갱도를 만들며, 갱도 내에는 나무좀과 공생하는 암브 로시아균(Ceratocystis sp.)이 번식하게 된다. 나무좀 성충이 산란하면 부화한 유충이 암브로시아균을 먹게되며, 일반적으로 암브로시아균의 독소가 나무를 급격하게 약화 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사과원에 사용되는 살균제가 나무좀과 공생하는 암브로시아균 에 대해서 약효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과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와 구아니딘계의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상수화제, 스트로빌루린계인 트리플록시트로빈 액상수 화제를 선정하여, PDA 배지상에서 0.5ml 씩 약제를 분주하고 조직배양 한 암브로시 아균 균사를 5mm씩 지름을 잘라서 접종한 후에 균사 생장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 과,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를 처리한 구에서 암브로시아균의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실험으로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 비테타놀수화제, 헥사코나졸 수화제에 대하여 약효를 검토한 결과, 처리구 모두 약효 가 인정되었으나, 테부코나졸 수화제 처리구에서 암브로시아균의 생장억제 효과가 가 장 우수하였다. 암브로시아균을 몸에 보유하고 있는 오리나무좀을 테부코나졸 수화 제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에 PDA배지에 오리나무좀을 접종한 후, 암브로시아균의 생장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구와 동일하게 암브로시아균이 생장하였다. 이는 암브로시아균낭이 오리나무좀 가슴의 등판 내부에 존재하여 약제가 제대로 침투 하지 못한 때문으로 추정된다.
        2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원예용 오이방제 약제로 등록된 51종 살균제에 대하여 진디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알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였다. 농약보조제에 대한 독성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ethaboxam+Famoxadone, Copper oxychoride+dithianon, dimethomorph+ dithianon 에서 각각 21.5%, 18.6%, 16.4%의 살충독성을 보였을 뿐, 실험에 사용된 모든 약제는 30% 이하의 낮은 살충독성을 나타내었다. 10% 이상의 독성을 보인 약제는 5종 뿐이었으며 나머지 46종의 약제는 10% 이하의 독성을 보였다. Flucioxonile과 Kresoxim-methyl의 경우 콜레마니진디벌 성충에 대하여 각각 90.6%와 53.1%의 살충률을 보이나 진디혹파리 알에 대하여는 각각 3.1%와 9.7%의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2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B.t.)는 해충방제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제이며, 배추재배 농가현장에서 B. thuringiensis를 제형화한 미생물 살충제와 함께 배추 병 방제를 위하여 화학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B. thuringiensis의 미생물 살충제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들 농약과 B. thuringiensis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혼용 및 교호살포하기에 적절한 농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B. thuringiensis 살충제 7종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화학살균제는 배추에서 노균병과 무름병에 등록되어 있는 코퍼하이드록 사이드 수화제 등 12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추천농도의 화학농약을 첨가한 TSA배지에 대상미생물살충제를 도말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비교하였으며, 대상 미생물살충제 7종과 화학살균제를 각각 추천농도로 혼합하여 30분 shaking 한 후 배추 잎침지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petri-dish에서 조사하였다. 7종의 B. thuringiensis 살충제는 화학농약을 함유한 배지에서의 B. thuringiensi의 콜로니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발리다마이신에이 수화제, 옥솔린산 수화제를 함유한 TSA배지에서 콜로니가 형성되지 않았다. 미생물 살충제와 화학살균제의 혼합액을 배추좀나방에 처리한 결과 5종의 B. thuringiensis 살충제(TB-WP, SC, SB, BG)는 12종의 화학살균제의 혼합에 따른 살충력에 차이가 없었으나, TB-SO와 플루오피콜라이드 ․ 프로파모카브하이드로 클로라이드 액상수화제, TH와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의 혼합액처리에서 배추좀나방의 살충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표고 원목재배 균사 활착시기에 감염되는 병 해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표적 유 해균의 배양 생리적 특성과 시판 살균제의 살균효과를 조 사하였다. 유해균의 온도별(10-40℃) 균사생장 조사결 과, 표고균은 25℃에서 균사생장이 우수하였지만 대부분의 해균들은 30℃에서 최적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Hypocrea sp. NFCF413 균주는 35℃, Odontia sp. NFCF108 균주와 Trichoderma sp. NFCF299 균주는 40℃에서도 균사생 장이 양호하였다. 톱밥배지의 수분함량(30-70%)에 따른 유해균 의 균사생장 조사결과, 주홍꼬리버섯(Diatrype stigma ), 동 고병균(Edotia sp.) 및 시루뻔버섯의 균사생장이 50% 이하 에서 가장 양호한 반면, 푸른곰팡이병은 70%의 수분함량조 건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버섯 재배시 발생 하는 곰팡이 예방 및 방제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3종의 살균 제(benomyl, prochloraz, thiabendazole)가 유해균의 균사생 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hiabendazole은 담자균류 의 해균에는 살균력이 매우 약하였으나, 자낭균류의 해균에 는 강한 살균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산림청 지원 연구비로 수행되었음.>
        3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7.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상자육묘(箱子育苗)에서 살균제(殺菌齊)와 생장조절제처리(生長調節劑處理)가 묘생육(苗生育)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삼강(三綱)벼와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살균제처리(殺菌齊處理)에서 삼강(三綱)벼는 Metalaxyl과 SF8002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는 SF8002와 Metalaxyl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과 3엽(葉) 및 4엽(葉)이 뚜렷한 신장교과(伸長效果)를 보였다. 건물중(乾物重)은 Metalaxyl구(區)가 가장 무거웠고 엽수(葉數)와 묘충실도(苗充實度)는 Dachigaren청리구(廳理區)가 양호(良好)하였으며, 살균제처리구(殺菌齊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삼강(三綱)벼에서는 BA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GA,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ABA(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작았고, ABA와 CCC처리구(處理區)가 신근발근력(新根發根力)이 왕성(旺盛)했다.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살균제(殺菌齊)+GA, 구(區)와 Metalaxyl+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Isoprothiolane+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짧았다.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건물중(乾物重)과 묘충실도(苗充實度)가 양호(良好)하여 묘소질(苗素質)이 좋았으며,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보다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또한 삼강(三綱)벼에서는 Metalaxyl+IAA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지상부재생력(地上部再生力)이 양호(良好)했다.
        4,200원
        38.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땅콩녹병과 검은 무늬병을 방제하기 위한 살균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한 결과 12개 공시약제중 Biloxazole이 상기 두 병해의 동시방제에 효과적이었으며 땅콩 수량도 증진되였다.
        3,000원
        39.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살균제를 다년간 사용한 사과원과 전연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에서 채취한 반점낙엽병 이병엽 원반에 각살균제를 처리한 후 Alternaria mali의 분생포자 형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사용여부와는 관계없이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공히 Rovral은 그 권장농도 및 보다 저농도와 고농도에서 가장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Antracol, Dithane M-45, 및 Dikar는 각각 그 권장농도 , 및 그리고 보다 고농도에서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의 포자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나, 보다 저농도에서는 의 포자를 형성시켰다. 각종 살균제를 사용한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Polyoxin 및 Difolatan은 태자형성억제효과가 낮아서 대조구의 에 비하여 의 포자를 형성시했으나,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는 비교적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Captan, Dakonil, 및 Spat의 포자형성억제효과는 상기한 살균제보다 낮았으며, Bayleton은 사과반점낙엽병균의 포자형성억제효과가 거의 없었고, Benlate는 오히려 그 포자형성을 촉진시켰다.
        4,000원
        40.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1. 인삼묘포에 Captan, Difolatan, Zineb, Maneb와 PCNB를 일주일 간격으로 토양관주 하였다. 처리하기전과 2회 및 4회처리후에 각각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 Fusarium 그리고 Trichoderma 균총의 숫적 (수적)변화를 Boosalis의 특별잔사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삼(Panax ginseng)의 모잘록병균으로서 Pythium debaryanum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2.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의 수는 토양관주에 관계없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로 감소하였고 Fusarium 및 Trichoderma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Rhizoctonia solani의 수는 PCNB에 의해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대조구 보다 감소하였다. 3, Pythium debaryenum은 Zineb, Maneb, Captan, Difolatan의 순으로 고 수가 증가하는 반면 Fusarium은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Tichroderma를 제외한 모든 균의 숫적 변화는 시일의 경과에 대하여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4. 토양관주에 의한 약해는 Maneb, Zineb, Captan 구에서 나타났고 묘삼 뿌리의 생체 무게는 Difolatan, PCNB, Maneb구에서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