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

        2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a purpose of suggesting the basic data to achieve customer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each type of restaurant industry for the taste of customers in 20’s referring to 8 images. In the preference for style of image in dining space,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prefer natural, modern and romantic image, and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preferred natural imag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prefer natural, romantic and modern in sequence as their general preference for style of image in dining space, and male participants preferred modern and natural but female participants preferred romantic and natural.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for different menus has suggested that the reasonable image for fast food is casual, hard casual and classic for hotel restaurant, casual for school restaurant, romantic for cafe, casual for western restaurant, simple for Japanese restaurant, classic and elegance for Chinese restaurant and natural for Korean restaur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ining space image, factor 1 are called ‘cold image (CI)’ as they have simple and modern image, factor 2 are called ‘soft image (SI)’ as they have natural and romantic image, factor 3 are called ‘warm image (WI)’ as they have casual and elegance image and factor 4 are called ‘hard image (HI)’ as they have classic image.
        4,000원
        2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ve preference for hot & spicy sauces using conjoint analysis, with focus on English consum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a standard with the best sauce attributes. The respondent group was selected from the CCFRA's customer database.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ample were: the primary grocery shopper in the household, a consumer of a range of home cooked oriental & far eastern cuisines, enjoyed hot & spicy chili-based foods, and willing to buy hot chili-based oriental sauces. A total of 676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in which 76% were women, and all respondents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65 years. An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a conjoint analysis was adopted. In conjoint analysis, a product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a set of attribute levels, where a utility value is estimated for each attribute level.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nsory property (flavor) attribute was most important, the second was brand, and the third was price. For the sensory property attribute, a mild chili sauce of blended garlic, sugar, and lime scored highest. In terms of brand, Blue Dragon was selected as the best. The lesser known Korean Kochujang brand of "Hot&Joy" scored lowest with respect to brand value. Encouraging, however, was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Hot&Joy product: a hot chili sauce blended with ginger and garlic, which held appeal across age groups and genders. In terms of price, 75p per bottle had the best score.
        4,000원
        24.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perception on fruits especially, focusing on apples and pears serve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6 students (504 female and 595 male students)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ly 10 to July 20, 2006.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45% of respondents ate fruits every day and 42% had fruits 2-3 times per week. Approximately, 53% of respondents indicated their usual time to eat fruits was after dinner and secondly 27% had fruits between lunch and dinner. Majority of respondents chose a watermelon as the most preferred fruits and the first chosen among nine fruits (apple, pear, madarin, strawberry, cherry tomato, watermelon, grape, melon, and peach). Cherry tomato was found as the least preferred fruits by 30% of students, however cherry tomato was most frequently offered fruits in elementary school lunch menu. About 50%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ed fruits in their school lunch program. In addition, most students said that they would have fruits more frequently in their lunch menu. However, one fifth of students address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fruits in school lunch program because of kinds of fruits, freshness of fruits, taste of fruits, and quantity of fruits. Almost 71% of students preferred apples. Seventy three percents of students preferred eating apples without peel and 78% of students ate apples as slices of apples. In addition, 61% of students indicated their preference of apple salads. Many students responded they did not eat apples and pears frequently since they do not have a chance to eat them. The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chance to eat fruits and promote elementary children's fruits consumption were discussed.
        4,000원
        2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식 소비자들의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연령별로 살펴봄으로써 연령에 따른 소비행동의 차이와 한식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대별 외식행동의 동기는 아침식사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시간이 없다, 식사준비가 번거롭다, 식사 때이어서 순으로 이었으며, 점심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식사 때이어서라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사교적인 목적도 외식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저녁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연령별차이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는데 30세 이하와 30대에서는 모임이나 데이트를 위한 사교적인 목적의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가족과의 외식을 가장 중요한 동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50%이상을 차지하여서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을 중심으로 한 외식소비행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가족간의 외식행동은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여가시간의 확대로 인한 가족중심의 공동 소비행태의 행동양식이 반영되어진 결과라고 보여 진다. 2) 각 연령대별 끼니의 유형에 따른 외식의 빈도는 전 연령층에서 주 1-2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30대의 외식 빈도가 가장 높아 사회활동과 사교생활이 활발한 연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였고, 50세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외식 빈도는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점심과 저녁 외식은 증가하고 있고 반면 아침외식의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3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50%이상이 주1회 이상 아침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외식비 지출은 30대 이하와 30대 연령층에서는 아침과 점심식사보다 저녁식사에 더 높은 비용을 지출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한편, 아침과 점심 식사는 타 연령층에 비하여 지출비용의 분포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에서 벗어나 동기와 동반자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령과 목적에 따라 세분화되는 분명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지난 10여 년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음식과 레스토랑 업태 등은 우리나라의 외식문화 발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선택 행동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서구식의 패스트푸드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등이 외식의 주요 업태로서 비쳐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식은 여전히 세대의 구별 없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음식이며, 소비자들의 높아진 외식문화 인식도와 더불어 형식적인 발전과 내용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령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외식 소비 행동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그들의 선호도에 알맞은 메뉴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구사함은 복합문화 공간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미래 한국 외식산업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29.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n the preferences and notion about kimchi and kimchi products was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1999 to investigate basic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kimchi for sale. 1,241 subjects of women and men aged 10 to 60 in Kyung-nam area participated in this survey. Most of the subjects made kimchi by themselves at home but this rate of making kimchi at home became lower than past, so increment of consumption of kimchi for sale will be expected in the future. When the people buy kimchi, they considered taste first, and then hygiene, nutrition in order. When they purchase kimchi, more men (69.1%) than women(56%) considered taste, but more women(36.1%) than men(20.6%) considered hygiene first. Subjects aged 30 or older groups considered more the hygiene of kimchi than the subjects of 10~20 age groups did.(p〈0.05) And people of household income over 3 million wons considered more hygiene than people of below 1 million wons income group did. People liked manufactured kimchi the packed with whole or partly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observe the contents.(p〈0.05) They liked better kimchi packed with bottle(46.1%) and vinyl(39.6%) than plastic(14.3%) and this tendency was more in the subjects of women(49.8%) and over 30 age groups.(p〈0.05) They prefered 200~500g packing unit of kimchi whether the family size were big or small. Among the processed kimchi products, men liked better a rice covered up with kimchi, a pot stew with kimchi or a soup with kimchi, On the other hand, women liked better a dumplings with kimchi, a grilled food with kimchi, a pizza with kimchi.(p〈0.05) Subjects aged 10 to 20 years old liked all kinds of kimchi products, but people aged 40 or older disliked them.(p〈0.001)
        4,000원
        30.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n the preference of kimchi and actual amounts of kimchi intake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1999 to get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the augmentation of kimchi intake. Total 1,241 of women and men aged 10~60 in kyung-nam area participated in this survey. Except people aged 20~30, all of subjects, especially in people aged 60 and over, liked fresh prepared kimchi best, and then fermented kimchi. But all of subjects disliked over fermented kimchi.(p〈0.001) And women(4.3±0.9) liked better fresh prepared kimchi than men(4.2±1.0), men(4.0±0.9) liked better fermented kimchi than women(3.9±1.1).(p〈0.05) In subjects aged above 40, as age grow up, the preference of fermented kimchi and over fermented kimchi grew lower. All of subjects best liked chinease cabbage kimchi, and then chonggak kimchi, kakdugi, yeulmu kimchi, dongchimi in order. And women liked better nabag kimchi, yeulmu kimchi, sesame leaf kimchi, bek kimchi, cucumber kimchi, godulppegi kimchi than men and men liked better chinease cabbage kimchi, kakdugi, dongchimi than women.(p〈0.05) People aged 10~20 and above 60 disliked chonggag kimchi. The preference of kakdugi were high in people aged 10~20, but as age grow up, the preference of kakdugi became lower.(p〈0.001) The preference of nabak kimchi and dongchimi with juice were significantly high in people aged 60 and over but people aged 10~20 disliked. Also subjects aged 10~20 disliked significantly yeulmu kimchi, sesame leaf kimchi, green onion kimchi, bek kimchi, cucumber kimchi, mustard leaf kimchi and godulppegi kimchi and subjects aged 20~30 disliked significantly yeulmu kimchi, mustard leaf kimchi, godulppegi kimchi(p〈0.001). But subject aged 30 and older liked all kinds of kimchi. The amounts of kimchi intake in Kyung-nam area were same level of average amount(100g) of korean intake but the amounts of kimchi intake of men(106.4±74.0) were more than women(96.9±69.5)(p〈0.05)
        4,000원
        31.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지역의 외식실태 중 음식점과 음식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교 식품영양과 재학생의 친지 중에서 부산시내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남녀 5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성별과 연령별로 구분하였으며, 연령은 의식수준과 시대적 동질성 등을 감안하여 대학생 이하의 응답자는 학교별로 구분하고 성인들은 10살 단위로 구분하여 조사한 다음 생활환경과 소득수준에 따라 초등생, 중학생 및 고교생을 묶어서 학생층으로, 대학생과 20대를 묶어서 청년층으로, 30대 이상의 장년층을 묶어서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층과 청년층을 묶어서 젊은이로 하였다. 설문 내용은 음식점을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이유와 일반인이 자주 먹는 메뉴중 69종을 선택하여 먹어보지 않은 음식, 좋아하는 음식 및 싫어하는 음식의 종류와 그에 대한 이유 등을 알아봤으며, 각 설문에 대한 선택은 문항에 따라 2∼3개씩 선택하게 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덜어 주었다. 1. 음식점을 좋아하는 주요한 요인은 "맛이 있어서", "분위기가 좋아서", "가격이 싸서" 순이 였고 싫어하는 이유는 "맛이 없어서", "비위생적이어서", "종업원이 불친절해서" 순이었다. 2. 응답자의 30%가 먹어보지 않은 메뉴의 종류는 남자가 6종인데 비해 여자는 9종이였으며, 초등생 15종, 중학생과 고교생이 13종(이상 학생층), 대학생이 6종, 20대가 4종(이상 청년층), 30대가 2종, 그리고 40대와 50대 이상(이상 장년층)이 3종으로 여자와 나이가 어릴수록 그 종류가 많았다. 3. 부산시민이 좋아하는 메뉴는 전체적으로 "생선회", "피자", "불고기"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전통음식을 여자와 젊은이(학생층과 청년층)는 패스트 푸드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적으로 싫어하는 메뉴는 "보신탕", "곱창전골" "꼬리곰탕"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패스트 푸드를 여자와 젊은이들은 보신식품을 더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식을 선호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있어서", "그냥 좋아서", "영양이 풍부해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영양이 풍부해서", 여자와 젊은이들에서는 "외래음식이어서" 비율이 높았다. 6. 음식을 싫어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없어서", "혐오식품이어서", "체질상 거부하여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외래음식이어서", 여자와 젊은층은 "혐오식품이어서"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음식점과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200원
        33.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ers' concept and the acceptability of ginger and its processed product were surveyed by premade questionnaire. A total of 44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ousewives, restaurant managers and related processors at 7 regions in Korea. The 40.6% of total responsors reacted ginger as spice was necessary for food preparation by flavor(87.5%). The most difficulties of using ginger were peeling and washing(89.8%). The raw ginger purchased for their use was only utilized less than 70% of 46.5% and 50% of 21.3% of total responsors respectively. The processed and convenient style spices including ginger were accepted by 72.8% of qestionnaires and 76.9% of them hoped to have ginger paste. Such a convenient ginger products were more welcomed by younger generation than older.
        4,000원
        3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해장비 표준화 모드는 안전항해에 필요한 정보들을 신속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주요 항해장비의 핵심기능과 화면표시, 작동법등을 표준화하는 기능이다. 국제해사기구는 표준화 모드의 항해장비 적용을 위한 지침 개발을 항해통신수색구조위원회의 과업으로 배정하여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표준화 모드 적용에 대한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지침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항해장비 중 ECDIS를 대상으로, 항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 또는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정보 및 기능의 종류, 화면 구성, 메뉴트리의 사용자 선호도 조사를 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웹 기반의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35개국 333명의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ECDIS 사용자들이 항해당직 수행 시 선호하는 다양한 ECDIS 정보의 내용과 화면배치들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표준화 모드에 고려할 사용자 요구 사항을 제시하여, 실효성 있는 지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5.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캐릭터는 생략, 과장을 통한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표현과 소비자에서 식상함을 해소하게 하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콘텐츠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메신저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화 된 캐릭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디지털 캐릭터가 이모티콘이다. 이모티콘이란 다양한 구성원들에 의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알파벳이랑 문자 외에 소통을 위한 수단의 이미지를 말한다. 현대인이 이러한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이유는 보다 감성적인 표현이 가능하고 친근함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이모티콘 중 하나가 카카오프렌즈와 라인프렌즈이다. 이러한 메신저 이모티콘은 해마다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뿐 만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뿐 만아니라 오프라인 시장에서도 꾸준하게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개인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닌 표현유형 별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표현유형은 표현방법과 표현소재로 나누어 이모티콘 캐릭터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 결과 선호도가 높은 캐릭터는 동물을 소재로 하는 경우가 비율이 높았으며, 복숭아나 단무지처럼 의인화된 상품의 선호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실적 인물와 과장된 동물은 낮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인물이 주는 귀여움과 행동의 한계를 보여주기 때문이며 동물의 경우 너무 과장되게 하는 것도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으로 인해 제시된 결과가 한국의 이모티콘 캐릭터 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d purpose to examine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buying property of processed products by rice, barley, wheat, bean. For the stud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f 300 samples more than 19 years of age. We attempt to examine consumers’ preference and individual properties when purchasing processed grain products. Questionnaire was filled for the 23 variable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to consider when consumer purchasing the products. To conceptualize, reduce the high correlation parameters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ttribute to seven factors that safety, brand/image, taste/shelf life, convenience seeking, preferred high-quality, price, consumption patterns. These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by age in safety, brand/image, high quality preference, taste/shelf life. Second, Safety and high-quality preferenc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jobs, and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ption patterns. We analyzed the purchasing preference by purchase frequency. Ramen, bread, beer are higher purchase frequency than any processed grain products. On the other hand, frozen ri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that are used primarily domestic raw, were lower purchase frequency. But the difference of purchase property according to products was very similar that the highest factor is price, the following factor as tast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3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명의 발전과 산업화된 경제 구조, 인구의 밀집 현상이 두드러진 도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녹지 환경이 턱없이 부족하고 대기의 질은 나 날이 악화되고 있다. 더구나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전반적인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륙의 사막화는 점점 가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웃한 중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어떠한 안전장치도 없이 국내로 무차별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대기의 오염으로 외부 공기로 환기를 시 키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할 수가 없고 사람들이 실내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식물을 매개체로 하는 복지원예사가 다양한 프로그 램에 도입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알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현장에 반영해보고자 실내식물의 선호도와 인식조사를 20~60대 성인 100인을 대상으로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가 선정한 실내 공기 정화식물 50종의 사진을 제시하여 조사하였다 가정 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식물은 상위는 산세베리아>인도고무나무>헤데라>행운목>스파티필>쉐프렐라홍콩야자>아레카 야자> 관음죽>벤자민 고무나무 순이었고, 향후 구입 의사가 높은 식물은 행운목>산세베리아>인도고무나무>아레카 야자>안스리움>벤자민 고 무나무>관음죽> 대나무 야자-세이브리지>알로에베라>스파트필름 이었다. 실내식물을 구입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유해 물질 제거능력>재배 관리의 용이성> 미관상의 아름다움이나 향> 가격 이었다. 실내 식물이 미치는 영향은 정신건강 3.18점(5점만점), 실 내환경 3.25(5점만점)으로 정신건강보다는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 원예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할 때 식물 선택에 있어 식물이 가진 환경 정화기능과 인간의 심신 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녹색식물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감 과 편안함을 회복함은 물론이고 보다 개선된 환경을 고루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현대를 사는 우리가 당면한 대기오염 문제와 피폐한 정 신을 복원하기 위해서 이제 실내식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3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국민 생할수준 향상과 더불어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다른 선진국들에 비하여 국민소득 대비 화훼 이용금액이 가장 낮은 국가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화훼이용형태가 결혼식, 장례식, 이벤트 행사등과 같은 일시적 용도인 특수소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꽃을 주로 경조사나 특별한 기념일에만 주고 받는 선물용으로 생각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정서 때문으로 파악 된다. 선진국과 같이 정서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소비에 대한 비중을 높이기위해 화훼에 대한 인식변화와 더불어 구매자의 기호를 파 악하고 화훼상품의 질적인 변화를 꾀해야한다. 대학가의 플라워샵을 방문하는 고객의 주된 연령대는 20대로 남녀비율이 비슷한데 다른 지 역에 비해 남성비율이 높은 것은 선물용구입이 많고, 주 고객의 연령대는 20-30대 젊은 층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젊은 여성뿐만 아니라 젊은 남성도 주요한 화훼소비자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선물의 대상이 될 젊은 여성들의 절화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여 화훼상품의 다 양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서울 성북구 관내 여대생 10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위 절화선호도는 장미(14.6%), 라넌큐러스(10.4%), 안개꽃(10%), 수국(9.4%), 아스틸베(9.1%), 프리지아(7.4%), 천일홍(4.5%), 해바 라기(4.2%), 델피늄(2.9%), 튤립/백합(2,6%)등이며 색상선호도는 분홍(21.7%), 빨강(18.7%), 노랑(18%), 흰색(17.5%), 보라(16.2%),초 록(7.4%), 기타(하늘색, mix color)순으로 밝고 따뜻한 색채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꽃의 형태는 꽃다발(76.7%)을 가장 선호하며 그 다음으 로 한송이 포장(12.6%), 꽃바구니(4.9%), 꽃박스(4.9%)를 선택하였다. 미래 화훼산업의 주고객인 젊은층이 선호하는 취향과 요구에 맞는 절화 상품의 개발로 만족감을 높여 절화를 일상생활에서 즐길 줄 아는 소비자가 되고 절화시장의 활성화도 기대해 본다
        4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s for preserved flower to develope products. The basic questions about planning,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product are asked to 160 included experts and non-experts of flower in the 1st survey. In the 2nd survey, intensive questions and customer’s preferences for product type and design elements (color, shape, species, material, fragrance etc.) are researched to the awared of preserved flower among 1st surveyed people. In aspects of product planning, the detailed product planning with well-awaring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preserved flower is necessary, not concentrating on differences with natural flower products. In aspects of branding, diversifying the education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itself is necessary, not differentiating among the other brand. And suggesting varied applications of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useful to expand its market, not concentrating on developing to high quality. In aspects of developing design, considering for various design elements is important when developing main mass flower. In case of filler flowers, having massive shape and balance with main is necessary to developing green leaves. In aspects of marketing, educating and marketing for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the most urgent priority for expanding its market, not designing and developing high quality products. Especially it is seemed to be necessary to secure some general marketing channel through mass media like advertise, newspaper and TV for the un-awared of preserved flower or uninterested in flower products. And to show various design applications and to improve design quality and maintenance of flower products is helpful to secure potential market.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