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ablish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it is important to ascertain foreign consumer's taste preferences and to evaluate their sensory perceptions of Korean food. In concert with previous studies, the most preferred food were Bulgogi and Galbi. However, respondents showed somewhat different preferences for other foods. Chinese and other Asian participants preferred Galbitang and Samgyetang, while Japanese participants preferred Pajeon, Galbitang and Japchae, and Western participants preferred Galbitang, Mandu and Bibimbap.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hot pepper paste (the representative condiment of Korea) and the least preferred one was ginger. Hot pepper paste was preferred most by Japanese participants, while Chinese participants tended not to prefer ginger and other Asian participants excepting those from China and Japan disliked vinegar most. Foreign consumers tended to consider Korean food as sweet, salty and very hot. Chinese participants considered Korean food to be 'plain' and 'light and washy' in taste, while Japanese participants considered Korean food to be 'greasy' and 'thick and sticky'. Chinese participants considered typical servings to be inadequate, while Japanes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servings as excessive.
        4,000원
        22.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reference of consumers on mobile devices. Preference analysis was performed on five major brands with five aspects such as commercial image, price, design, function and dur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manufactures of mobile devices.
        3,000원
        23.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ve preference for hot & spicy sauces using conjoint analysis, with focus on English consum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a standard with the best sauce attributes. The respondent group was selected from the CCFRA's customer database.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ample were: the primary grocery shopper in the household, a consumer of a range of home cooked oriental & far eastern cuisines, enjoyed hot & spicy chili-based foods, and willing to buy hot chili-based oriental sauces. A total of 676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in which 76% were women, and all respondents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65 years. An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a conjoint analysis was adopted. In conjoint analysis, a product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a set of attribute levels, where a utility value is estimated for each attribute level.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nsory property (flavor) attribute was most important, the second was brand, and the third was price. For the sensory property attribute, a mild chili sauce of blended garlic, sugar, and lime scored highest. In terms of brand, Blue Dragon was selected as the best. The lesser known Korean Kochujang brand of "Hot&Joy" scored lowest with respect to brand value. Encouraging, however, was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Hot&Joy product: a hot chili sauce blended with ginger and garlic, which held appeal across age groups and genders. In terms of price, 75p per bottle had the best score.
        4,000원
        24.
        200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s deducing the relativistic importance in the criterion of decision making and each alternative which is able to make a variety of choices measures the preferred degree in the series of low-ranking criterions. Moreover, this is possible by synthesizing them systematically. In general, a fun-diametral problem decision maker should solve for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s evaluating a set of activitie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target logically, and this kind of work is evaluated and synthesized by various criterions of the value which a chain of activities usually hold in common. In this paper, we study about effective consumer preference to towels made of paper according to the three kinds of intensities of products from some domestic company, using the AHP.
        4,000원
        2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식 소비자들의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연령별로 살펴봄으로써 연령에 따른 소비행동의 차이와 한식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대별 외식행동의 동기는 아침식사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시간이 없다, 식사준비가 번거롭다, 식사 때이어서 순으로 이었으며, 점심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식사 때이어서라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사교적인 목적도 외식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저녁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연령별차이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는데 30세 이하와 30대에서는 모임이나 데이트를 위한 사교적인 목적의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가족과의 외식을 가장 중요한 동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50%이상을 차지하여서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을 중심으로 한 외식소비행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가족간의 외식행동은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여가시간의 확대로 인한 가족중심의 공동 소비행태의 행동양식이 반영되어진 결과라고 보여 진다. 2) 각 연령대별 끼니의 유형에 따른 외식의 빈도는 전 연령층에서 주 1-2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30대의 외식 빈도가 가장 높아 사회활동과 사교생활이 활발한 연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였고, 50세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외식 빈도는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점심과 저녁 외식은 증가하고 있고 반면 아침외식의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3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50%이상이 주1회 이상 아침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외식비 지출은 30대 이하와 30대 연령층에서는 아침과 점심식사보다 저녁식사에 더 높은 비용을 지출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한편, 아침과 점심 식사는 타 연령층에 비하여 지출비용의 분포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에서 벗어나 동기와 동반자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령과 목적에 따라 세분화되는 분명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지난 10여 년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음식과 레스토랑 업태 등은 우리나라의 외식문화 발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선택 행동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서구식의 패스트푸드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등이 외식의 주요 업태로서 비쳐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식은 여전히 세대의 구별 없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음식이며, 소비자들의 높아진 외식문화 인식도와 더불어 형식적인 발전과 내용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령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외식 소비 행동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그들의 선호도에 알맞은 메뉴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구사함은 복합문화 공간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미래 한국 외식산업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29.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ers' concept and the acceptability of ginger and its processed product were surveyed by premade questionnaire. A total of 44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ousewives, restaurant managers and related processors at 7 regions in Korea. The 40.6% of total responsors reacted ginger as spice was necessary for food preparation by flavor(87.5%). The most difficulties of using ginger were peeling and washing(89.8%). The raw ginger purchased for their use was only utilized less than 70% of 46.5% and 50% of 21.3% of total responsors respectively. The processed and convenient style spices including ginger were accepted by 72.8% of qestionnaires and 76.9% of them hoped to have ginger paste. Such a convenient ginger products were more welcomed by younger generation than older.
        4,000원
        3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d purpose to examine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buying property of processed products by rice, barley, wheat, bean. For the stud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f 300 samples more than 19 years of age. We attempt to examine consumers’ preference and individual properties when purchasing processed grain products. Questionnaire was filled for the 23 variable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to consider when consumer purchasing the products. To conceptualize, reduce the high correlation parameters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ttribute to seven factors that safety, brand/image, taste/shelf life, convenience seeking, preferred high-quality, price, consumption patterns. These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by age in safety, brand/image, high quality preference, taste/shelf life. Second, Safety and high-quality preferenc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jobs, and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ption patterns. We analyzed the purchasing preference by purchase frequency. Ramen, bread, beer are higher purchase frequency than any processed grain products. On the other hand, frozen ri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that are used primarily domestic raw, were lower purchase frequency. But the difference of purchase property according to products was very similar that the highest factor is price, the following factor as tast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3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s for preserved flower to develope products. The basic questions about planning,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product are asked to 160 included experts and non-experts of flower in the 1st survey. In the 2nd survey, intensive questions and customer’s preferences for product type and design elements (color, shape, species, material, fragrance etc.) are researched to the awared of preserved flower among 1st surveyed people. In aspects of product planning, the detailed product planning with well-awaring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preserved flower is necessary, not concentrating on differences with natural flower products. In aspects of branding, diversifying the education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itself is necessary, not differentiating among the other brand. And suggesting varied applications of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useful to expand its market, not concentrating on developing to high quality. In aspects of developing design, considering for various design elements is important when developing main mass flower. In case of filler flowers, having massive shape and balance with main is necessary to developing green leaves. In aspects of marketing, educating and marketing for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the most urgent priority for expanding its market, not designing and developing high quality products. Especially it is seemed to be necessary to secure some general marketing channel through mass media like advertise, newspaper and TV for the un-awared of preserved flower or uninterested in flower products. And to show various design applications and to improve design quality and maintenance of flower products is helpful to secure potential market.
        3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트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요트관광 선호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요트관광 마케팅 전략수립과 보다 효과적인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광역시 요트경기장과 해수욕장을 방문한 외부 방문객 및 시민 3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해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요트관광 상품 구매의사는 64%로 요트관광 수요는 낙관적이었으며, 지불가능 지출액은 일일기준 1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에 대한 선호도는 요트체험 및 교육 중심 프로그램으로 주말이나 방학 및 휴가기간을 이용해 당일 또는 1박 2일 요트관광 상품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요트관광의 목적은 여가 및 위락 그리고 선호 동행인은 가족 및 친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 제약요인은 요트관광 비용, 시간소비형 관광활동 그리고 다양한 상품의 부재가 주요인이었으며, 선택요인은 관광비용, 연계관광 상품 그리고 요트관광 상품의 질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 중에 요트관광 상품의 개발, 기반여건 조성 그리고 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5.
        2011.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 만족도를 florist와 소비자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은 Florist 그룹과 소비자 그룹이 상품 꽃다발의 색상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품 꽃다발의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상품 꽃다발 구매시 가격과 색상면에서는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포장은 보통, 형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상품꽃다발 구매 시 선호하는 배색기법을 분석한 결과, Florist 그룹 28%(14명)은 유사색상의 조화, 소비자 그룹 33%(33명)은 동일색조의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Florist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켜 화훼 및 화훼디자인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37.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새싹 채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적근대, 보리, 청경채, 적겨자, 적무, 알팔파의 종자 발아율과 맛, 향, 모양, 색 등의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싹 채소를 원예용 상토에 파종하였으며 7일후 발아율은 적근대 90%, 보리 98%, 청경채 98%, 적무 98%, 알팔파 47%로 나타났다. 적근대는 4가지 특성 중 색에 대한 선호도가 4.3으로 가장 높았으나 향에 대한 선호도는 3.4로 가장 낮았다. 보리는 4가지 특성 중 색에 대한 선호도가 3.9로 가장 높았으며 맛에 대한 선호도는 3.0으로 가장 낮았다. 청경채는 4가지 특성 중 모양과 색에 대한 선호도가 3.9로 가장 높았으며 향에 대한 선호도는 3.6으로 가장 낮았다. 적겨자의 맛, 향, 모양, 색에 대한 선호도가 3.7, 3.6, 3.7, 3.8으로 나타났다. 적무는 4가지 특성 중 모양과 색에 대한 선호도가 4.0로 높았으며 향과 맛에 대한 선호도는 3.5으로 낮았다. 알팔파는 색에 대한 선호도가 3.5이었으며 모양, 향, 맛에 대한 선호도는 3.4로 나타났다.
        40.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consumer attitudes about package colors of Korean traditional floods. The housewives preferred pale purple blue for soy sediment, red purple for soy soup, yellow for vinegar, red for power sediment. For the background color of each package, consumers tended to like similar color with color of the content, but did not show any bias for the lesser color of i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opulational difference and package colors were not foun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