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장기간의 집중호우 및 장마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구조가 불안정한 보도 하부에 공동이 발생하여, 상당수의 지반함몰이 발생되었다. 또한 내진·지질학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잦아진 지진이 지반연화에 영향을 미쳐 지반함몰 현상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하부에 존재하는 공동을 EM방법을 활용하여 미연에 탐지함으로써,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지반하부 공동 탐사에 이용되는 기존의 방법들은 탐사시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포장에 파손을 야기하고, 좁은 지역에서는 탐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EM방법의 경우 탐사시간이 비교적 짧고, 비접지식이기 때문에 포장에 파손도 야기하지 않으며, 좁은 지역에서의 탐사도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보도, 공원도로, 이면도로 등 좁은 지역에 대해서 EM방법을 활용하여 지반함몰 위험지역 예측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EM방법은 터널탐사 및 매립지 오염도 탐사에만 이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체코 GF Instrument사의 EM장비인 CMD Mini Explorer를 이용하여 기반하부 공동 탐사를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동탐사 이외의 외부조건을 통일하기 위해서 나대지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기존 지반상태, 공동 모사상태, 공동 및 금속 모사상태에서 각각 탐사를 진행하였다. 탐사 결과, 금속의 존재유무와 관계없이 공동 위치에서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나타났으며, 되메움 작업 시 다짐상태에 따라 일어난 지반의 교란이 층 형태의 전기비저항 분포로 나타났다. 따라서, EM방법은 공동 탐사에 있어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연약지반에 대한 탐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년 눈이 내리는 동안에 수많은 차량 충돌이 발생한다. 이는 우리에게 인적, 물질적인 피해를 야기하며 교통혼잡 및 사고감소를 위한 강설 시 교통사고 가능성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강설 시 교통사고 발생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를 파악하여 사고발생 가능성 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강설상황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에 기상관측지점(AWS)에서의 기온, 풍속, 강수량과 종관기상관측장비(ASOS)에서의 적설정보 등 기상정보와 교통류자료, 도로기하구조정보를 활용하여 총 703건을 분석하였다. 다만, 본선과 기하구조정보가 상이한 램프구간은 제외하였다. 예측모형 개발 시 사고지점 전·후의 도로링크 정보와 사고시간 전·후 시간대의 교통상태와 기상상태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은 기존의 사고예측 모형과 차별성이 있다고 본다. 강설 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고지점, 평면선형(직선, 커브), 종단경사(평탄, 오르막, 내리막), 조명시설, 방책시설 갓길, 차로수, 사고시간대, 속도, 교통량, 제한속도, 기온, 강수량, 풍속, 강설 지속시간 등 설명변수와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1, 그렇지 않으면 0으로 형성되는 이항 로짓모형(Binary Logit Model)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설 시 사고발생 가능성 예측모형에서 5분 평균속도, 기온, 강수량, 강설 지속시간, 방책시설 갓길 변수가 교통사고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강설 시 사고위험을 사전에 예측하여 도로 운영자 및 도로 이용자에게 교통사고 대응방안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재범예측결과에 따른 고위험 범죄자 사회복귀 모형을 적용하여 범죄자를 과학적으로 관리 및 처우하여 재범률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선별적 사회복귀 이론(Selective Incapacitation)의 기초가 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교정시설 출소자의 재범여부에 대한 추적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연구한 결과를 종합하면 소수의 가장 활동적인 누범자 집단이 다수의 강력범죄를 범하기 때문에 이들을 선별하여 집중적인 관리와 처우를 실시한다면 성공적인 사회복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재범예측결과에 따른 선별적 사회복귀모형에 대한 연구결과가 향후 고위험 범죄자의 과학적 처우를 통한 재범방지 대책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8,000원
        2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rket size of plant projects in overseas is so large that domestic EPC project contractors are actively seeking the overseas projects and then trying to meet completion plans since successful fulfillment of these projects can provide great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and into new foreign markets. International EPC projects involve all of the uncertainties common to domestic projects as well as uncertainties specific to foreign projects including marine transportation, customs, regulations, nationality, culture and so on. When overseas project gets off-schedule, the resulting uncertainty may trigger unexpected exceptions and then critical effects to the project performance. It usually require much more time and costs to encounter these exceptions in foreign sites compared to domestic project sites. Therefore, an exception handling approach is required to manage exceptions effectively for successful project progress in foreign project sites.In this research, we proposed a methodology for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exceptions caused by risks in international EPC projects based on sensitivity analysis and Bayesian Networks. First, we identified project schedule risks and related exceptions, which may meet during the fulfillment of foreign EPC projects that is performed in a sequence of engineering, procurement, preparatory manufacture, foreign shipping, construction, inspection and modification activities, and affect project performance, using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e impact of exceptions to the schedule delay were also identified. Second, we proposed a methodology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exceptions caused by project risks and evaluate them. Using sensitivity analysis, we can identify activities that critically affect schedule delay and need to focus by priority. Then, we use Bayesian Networks to predict and evaluate exceptions. Third,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ology to an international EPC project example to validate the proposed approach. Finally, we concluded the research with the further research topic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extended to apply in exception management in project management.
        4,000원
        2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재분석 자료(reanalysis data)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계절별 평균 기상장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주요 화산체 분화 시 화산재 확산에 따른 피해 위험 지역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FALL3D 모형으로 임의의 과거 6개월 간 가상의 백두산 분 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 결과를 모의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화산재 확산 패턴을 클러스터로 유형화하였다. 마찬가지로 FALL3D에 이용된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기상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상장 클러스터를 정의하였다. 화산재 클러스터와 기상장 클러스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화산 분화 당시의 기상장이 화산재 확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2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산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중심으로 수량화이론을 이용하여 산림환경인자가 붕괴토사 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예방적인 측면에서 토석류 발생 위험성에 대한 예측기준을 작성하였다. 산사태 재해로 인한 토석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각 인자의 기여도는 횡단사면(0.6647)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임상(0.3709), 토심(0.3527), 경사(0.2580), 사면위치(0.2392), 종단사면(0.1690) 순으로 나 타났다. 토석류 발생 위험 기여도가 높은 6개 인자의 category별 상대점수 범위는 0점에서 0.2055점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앙값은 1.0274점으로 나타났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토석류 발생 위험성을 4개 등급으로 구분한 예측 판정표를 작성하였다. Ⅰ등급의 점수는 1.5413 이상, Ⅱ등급은 1.0275 ~ 1.5412, Ⅲ등급은 0.5138 ~ 1.0274, IV등급은 0.5137 이하로 나타나 1등급 및 2등급에서 산사태 발생 비율이 96%로서 비교적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판정표는 고산지역에 있어서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 발생 위험도 판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measurements of flood risk and forecasting models. For river and dam region, PDF and FVI has been proposed for measurement of flood risk and regression models have been applied for forecasting model. For Bo region unlikely river or dam region, flood risk would unexpectedly increase due to outgoing water to keep water amount under the designated risk level even the drain system could hardly manage the water amount. GFI and general linear model was proposed for flood risk measurement and forecasting model. In this paper, FVI with the consideration of duration on GFI was proposed for flood risk measurement at Bo region. General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empirical data from Bo region of Nadong river to derive the forecasting model of FVI at three different values of Base High Level, 2m, 2.5m and 3m. Th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on the target variable, FVI were as follows: ground water level based on sea level with negative effect, difference between ground altitude of ground water and river level with negative effect, and difference between ground water level and river level after Bo water being filled with positive sign for quantitative variables. And for qualitative variable, effective soil depth and ground soil type were significant for FVI.
        4,000원
        2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formance based design(PBD) is the method to make a fire safety design against them after predicting the factors of fire risk in a building. Therefore, predicting fire risk in a building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PBD. For predicting fire risk of a building, an engineer of PBD must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ignition location, ignition point, ignition source, first ignited item, second ignited item, flash over, the state of door and fire suppression system. But, it is difficult to trust fire safety capacity of the design because the process in Korea' PBD is unprofessional and unreasonable. This paper had surveyed some cases of PBD that had been made in Korea to find the problems of the process to predict fire risk. And it have proposed the improvements of process to predict fire risk of a building.
        4,000원
        2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운전상황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지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경도인지장애”와 “정상”노인 운전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전평가와 인지평가를 실시한 무작위 대조군(Randomized Control Trial; RCT)연구 1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Jadad 평가를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위험요소와 인지평가도구에 대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민감도 및 출판편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들의 Jadad 평가는 “높은 질의 논문”으로 평가되었다. 인지평가도구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길 만들기 검사-A (Trail Making Test-A; TMT-A), 길 만들기 검사-B (Trail Making Test-B; TMT-B), The Useful Field of View (UFOV-subtest 2)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 TMT-A가 0.44, TMT-B가 0.54, UFOV-subtest 2가 0.52로 “큰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주행오차 항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 주행오차가 0.83, 주행속도가 -0.17, 반응속도가 0.70, 브레이크가 0.47 그리고 회전은 –0.81이다. 따라서 주행오차와 회전은 “큰 효과크기”, 반응속도는 “중간 효과크기”, 브레이크는 “작은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 TMT-A, TMT-B와 운전 시 필요한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UFOV–subtest 2는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에서 속도위반, 신호위반, 차량 정지선 위반을 의미하는 주행오차는 안전한 운전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5,200원
        3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a flood season, Bo region could be easily exposed to flood due to increase of ground water level and the water drain difficulty even the water amount of Bo can be managed. GFI for the flood risk is measured by mean depth to water during a dry season and minimum depth to water and tangent degree during a flood season. In this paper, a forecasting model of the target variable, GFI and predictors as differences of height between ground water and Bo water, distances from water resource, and soil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for the dry season of 2012 and the flood season of 2012 with empirical data of Gangjungbo and Hamanbo. Obtained forecasting model would be used for keep the value of GFI below the maximum allowance for no flooding during flooding seasons with controlling the values of significant predictors.
        4,000원
        3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arthquake risk prediction for dam structure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analysis. The dam has to interact with water in its lifetime, which maybe induces the chemo-mechanical phenomenon on the aging concrete and damage the capacity of the structure.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procedure to predict the operant condition of the dam based on Cumulative Absolute Velocity (CAV) values after some decades. CAV is a method ordinari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 (NPP) fields, but in case of a concrete gravity dam, it will be the new addition along with the aging effect of concrete material.
        3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k Geun-hye President emphasized "Eurasian Initiatives" and advocated cooperative exchange the South and North at groundbreaking ceremony of Gyeongwon-line railway restoration in August 2015.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whole facilities including the main SOC of the South and North and to Predict on the technology and risk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face to face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n.
        4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항구 주변에는 입․출항하는 선박으로 인하여 해상교통흐름이 복잡하다. 이러한 선박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 해 우리나라에서는 해상교통관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24시간 쉴 틈이 없는 해상교통 관제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제구역 내에서의 충돌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위험 상황이 약 20분에 1회씩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그 위험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선박운항 및 해상교통관제 정보 제공 시 충돌 위험에 대한 안전 기준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에 본 연구는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선박운항자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이용하여 그 위험을 선박의 속도, 침로 등을 조정하여 각 교통 상황별 충돌 위험도를 사전에 예측 할 수 있는 위험도 예측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을 이용하여 선박운항자 및 관제사는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 위험요소를 쉽게 식별 할 수 있어, 가까운 장래의 위험 정도의 변화를 선박침로 및 속력변경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등의 적절한 피항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모듈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항 해역을 대상으로 조우 상황별 위험도를 예측 후 구체적인 침로 및 속력 변경에 따른 위험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