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새버섯 봉지재배에 적합한 영양원을 구명하기 위하여 밀기울, 건비지 및 맥주박을 다양하게 혼합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확소요일수는 혼합배지 Mix II가 61.3일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에서는 혼합배지 Mix IV가 142.6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기울과 맥주박의 적정 혼합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 결과, 맥주박 첨가율 이 높아질수록 수확소요일수가 줄어들었으며, 수량은 맥주박 15%와 밀기울 5% 혼합율 처리에서 140.8 g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잎새버섯 병 재배시 적합한 배지조성비율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를 건물중량 비 율로 T1처리(67:11:22), T2처리(68:15:17), T3처리(74:14:12)의 3처리를 두고 시험한 결과, 발이율은 T1처리에서 72.6%, T2처리에서 72.1%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65.8%로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이병률은 T2처리에서 4.1%, T3처리에서 3.7%인데 비하 여 T1처리에서는 9.8%로 가장 높았다. 수확률은 T1처리 에서 64.1%, T3처리에서 63.6%인데 비하여 T2처리에서 는 70.5%로 가장 높았다. 병당 자실체 중량은 T1처리에 서 85.5 g, T2처리에서 83.3 g으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 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72.4 g으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입병 수 10,000병 기준으로 재배 시 수량은 T2처리에서 587 kg으로 T1처리 및 T3처리에 비하여 각각 7% 및 28%가 높았다. 따라서 잎새버섯 병재배 시 적합한 배지조 성비율은 건조중량비율로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 가 68:15:17인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23.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며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참 나무류나 밤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한다. 그리고 맛과 향이 우수 한 식용버섯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일본, 중국 등 에서는 참나무톱밥을 주재료로 하는 봉지재배 위주로 대량 생산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진주 등 남부지방에서 일부 병재배를 하고 있으나 저장 성과 품질이 떨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봉지재배 등을 통한 고품질 재배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시험에서는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품질과 수량이 우수한 영양원 선발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였고, 영양원으로 서 밀기울, 건비지, 맥주박 등을 이용하였다. 영양원 선발시험에서 부피비로서 참나무톱밥 80%, 맥주박 15%, 밀기울 5%를 혼합한 배지 처리가 수확소요일수 조사결과 ‘태미’ 품종 61.8일, GWM2016 58.4일, 수량은 1kg 배지당 ‘태미’ 품종 135.3g, GWM2016 155.3g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2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ti-oxidative, acetylcholinesteraseinhibitory, and immuno-enhancing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Grifola frondosa. Fibrinolyticactivity was analyzed using the fibrin plate method, and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assayed using the substrate H-D-Phe-pip-arg-pna. Anti-oxidative activity was estimated using the DPPH assay,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spectrophotometric method. Immuno-enhancing activity was examined using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macrophage cell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S assay. Fibrinolytic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1.55plasmin units/mL) followed by water fraction (0.85 plasmin units/mL). The thrombi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ylacetate fractions were determined to be 76.43% and 72.59%, respectively.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exhibited values of 95.14% and 94.74%, respectively.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anti-oxidative activity at 94.47%. Anti-proliferating activity against Raw 264.7 cells showed no cytotoxicity. The production of NOin Raw 264.7 cells increased up to 2-fold by adding the water fraction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that Grifola frondosa may serve as a useful functional food for the enhancement of immune function and the prevention andtherapy of cardiovascular diseases.
        4,000원
        2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physiological activites between Grifola frondosa of logcultivation(LC) and Grifola frondosa of bottle cultivation(BC).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ability(EDA), nitrite-scavenging ability(NSA),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Xanthine oxidase were examined. Thehighest value of total flavonoid content is 5.96±0.81 mg/g in water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log cultivation at 40oC (LC-W40) but, one of total phenolics compound is 44.53±0.89 mg/g in water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bottle cultivation at40°… (BC-W40). The EDA using DPPH of BC-W40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7.14±0.71%. Nitrite-scavenging abilitywas 62.55°æ0.36% in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BC-W40 at pH 1.2. The value was SOD-like activity showed the highestvalue of 18.95°æ1.39% in extract from LC-W40.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54.31±0.40% in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BC-W40, and dependent on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a the antioxidant effects ofGrifola frondosa is excellent. Howev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rifola frondosa were not depend on caltivation method regulary,and were different according to kind of solvents, concentraitions and physialogical factors examined such as EDA, SOD-likeactivity and NSA.
        4,000원
        2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새버섯 원목재배로서 비닐하우스 토양에 매립하여 재배한 결과 수확일은 다박 품종이 9월 13일에서9월 23일 사이로 잎새1호 품종에 비하여 15일 정도 빠르고 색택은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이었다. 수량에서는 다박품종이 평방미터당 2012년 매립 시 11kg,2013년 매립 시 13.6kg이었으며, 잎새1호품종은 2012년 매립 시 15.3kg, 2013년 매립 시 16.6kg으로 잎새1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컨테이너상자내 토양에매립하여 원목재배한 결과 수확일은 비닐하우스에서토양에 매립하여 재배한 결과와 같이 다박품종이 잎새1호 품종에 비하여 5일 정도 수확이 빨랐으며 자실체의 색택 또한 잎새1호 품종이 더 진한 갈색으로나타났다. 수량특성에서는 다박품종과 잎새1호 품종모두 상자당 수량이 1.2~1.4kg 사이로 큰 차이가 없었다.
        3,000원
        27.
        201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분류학적으로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해당하 고, 사물기생균으로 물참나무, 밤나무,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서 늦여름부터 가 을에 걸쳐 자연 발생하는 버섯이다.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인 체의 면역세포를 조절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암을 억제하며 AIDS 원인균의 HIV에 대한 억제작 용, 혈당강하작용,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억제작용, 항산화작용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일본에서는 네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참나무 단목을 이용한 원목재배나 참나 무 톱밥을 주재료로 봉지재배가 일반적인 재배방법으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는 봉지재배나 병재배애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고 있지만 원목재배에 대해서는 전혀 없는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잎새버섯 원목재배 기술로서 하우스 토양 매립재배 및 컨테이너 상자 (가로 50cm, 세로 35cm, 높이 30cm) 매립재배시 자실체의 발생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하우스 토양매립재배 결과 수확일자는 다박 품종이 9월 13일에서 9월 23일 사이로서 잎새1호 품종에 비해 15일 정도 빠르고 색택은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이었다. 수량에서는 다박의 경우 평방미터당 2012년 매립이 11kg, 2013년 매립은 13kg이었으며, 잎새1호는 2012년 매립 15kg, 2013년 매립 16kg 으로 잎새1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컨테이너상자 토양매립재배 결과 수확일자는 하우스 토양매 립 재배와 같이 다박이 잎새1호에 비해 5일 정도 수확이 빨랐으며 자실체의 색택 또한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으로 나타났다. 수량특성에서는 다박과 잎새1호 모두 상자당 수량이 1.2∼1.4kg 사이로 큰 차이가 없었다.
        28.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새버섯 적정 배지량 구명시험에서 배지량별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1kg 30일, 2kg 39일, 2.5kg 42일 및 3kg 45일로서 배지량이 많을수록 배양일수가 늘어났고, 수확 소요일수 또한 93일에서 104일로 늘어났다. 수량에서는 1kg 봉지에서는 103.3g, 2kg 봉지 227.2g, 2.5kg 봉지 245.5g, 그리고 3kg 봉지 312.0g으로 배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잎새버섯 발효톱밥 첨가효과 구명시험에서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발효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4~7일 정도 빨랐고, 수량은 발효 참나무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함박 1kg 봉지당 145.2g, 잎새1호 121.2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활엽수 톱밥 첨가율에 따른 시험관칼럼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속도조사에서는 발효활엽수 톱밥을 60%까지 증가시켰을 경우 생장속도가 점점 빨라졌으며, 80% 첨가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000원
        30.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며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으며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및 약용 겸용 기능성 버섯으로 원기형성 후 자실체의 갓이 성숙하기까지 4단계로 변화하는 과정이 있어 병재배보다 봉지재배를 선호하고 있다. 일본, 중국 등 에서는 참나무톱밥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봉지배지를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안정적인 재배기술 개발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시험에서는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적정 배지량을 구명하였다. 잎새버섯 봉지재배 배지는 참나무톱밥75+미강10+옥수수피 15%로 혼합, 수분을 조절하여 내열성 PP봉지에 1.0~3.0kg씩 입봉, 내열성 스크류캡으로 마개를 막은 후 살균(121℃, 130분) 후 톱밥종균을 무균적으로 접종하여 22±1℃, 암조건으로 환기를 충분히 하면서 배양하고 후숙은 배양완료 후 15일간 21±1℃, 암조건으로 처리한 후 입상, 생육시킨 결과, 봉지량이 증가할 수록 수량과 상품성은 증가하였으나 수확일이 다소 오래 걸리는 결과를 나타냈고, 처리별 수확소요일수 및 자실체 수량은 1kg 봉지 처리리의 경우 93일, 103.3g, 2kg 봉지는 95일, 227.2g, 2.5kg 봉지는 99일, 245.5g, 그리고 3kg의 경우는 104일, 312.0g으로 나타났다.
        3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존중인 잎새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보존 당시 동정한 결과와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학명이 다른 균주가 4균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잎새버섯속은 모두 G. frondosa로 동정되었고, 일본에서 수집한 3균주 중 1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2균주는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국에서 수집한 3균주중 2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고, 1균주만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같은 종내에서도 분포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밴드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G. frondosa 1개의 분류군으로 이루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ifola frondosa has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diabetes mellitu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is study, functional polysaccharide was obtained from Grifola frondosa using fou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hot water(HwFP), homogenize(HgFP), acid(AcFP), and alkali(AlFP) extraction methods. The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KB and HepG2 cell lines were then examined for any anti-cancer activity. Alkaline extraction produced a yield of 0.175% and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extract was 54.97%.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polysaccharide extracts from the mushroom produce an anti-cancer effect. The cytotoxicity of AlFP and AcFP against HepG2 cells were 22.86% and 28.88%, respectively, and the cytotoxicity of AlFP against the KB cell lines was 47.76% at a concentration of 1, 000 ㎍/㎖.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method for extracting functional polysaccharides from G. frondosa is the alkali extraction method.
        4,000원
        3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혈당강하 소재로서 가능성이 확인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었다.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중 kg 당 최고 5g의 각 시험물질을 마우스 위에 직접 투여하여 48시간 동안 관찰 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아 LD50 은 5g/kg B.W. 이상으로 계산되었으며, 임상 증상이나 체중에서도 유의할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마우스에 있어서 단기 급성 경구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식품소재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급성 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임상사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4,000원
        3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으로 지금까지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고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또는 약용인 기능성 버섯으로 형태가 원기형성 후 자실체의 갓이 성숙하기까지 4단계로 변하는 특성이 있으며 버섯발생이 까다로워 병재배보다 봉지재배를 선호하고 있다. 잎새버섯의 배지 주재료는 참나무톱밥인 데 구입가격이 높아 저가의 대체배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매년 대량으로 배출되어 화목 또는 발효 톱밥 퇴비용으로만 사용되는 표고버섯폐배지를 이와 같은 문제점해결을 위하여 활용한다면 폐배지의 활용도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리라고 판단되어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부피비율로 참나무톱밥52+표고버섯폐골목톱밥23+미강10+옥수수피15%을 혼합한 배지가 참나무톱밥75+미강 10+옥수수피15%(대조)배지에 비하여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배양소요일수 및 수확소요일수가 짧고 수 량은 1㎏봉지당 90.0g로 나타났다.
        3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며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으 며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및 약용 겸용 기 능성 버섯으로 원기형성 후 자실체의 갓이 성숙하기까지 4 단계로 변화하는 과정이 있어 병재배보다 봉지재배를 선호 하고 있다. 일본, 중국 등 에서는 참나무톱밥을 주재료로 사 용하는 봉지배지를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안정적인 재배기술 개발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시험 은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강원도 2개 지역에서 적정 배지량 을 구명한 결과이다. 잎새버섯 봉지재배 배지는 참나무톱밥 75+미강10+옥수수피 15%로 혼합, 수분을 조절하여 내열 성 PP봉지에 0.5~2.0kg씩 입봉, 내열성 스크류캡으로 마개 를 막은 후 살균(121℃, 90분) 후 액체종균을 무균적으로 접 종하여 22±1℃, 암조건으로 환기를 충분히 하면서 배양하 고 후숙은 배양완료 후 35일간 21±1℃, 암조건으로 처리한 후 입상, 생육시킨 결과, 1kg 배지량처리가 기타 배지량 처리 에 비해 생산수율은 9.3%로서 8% 증가하고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bottle culture method of Grifola frondosa . To find out the optimum medium composition of G. frondosa , physicochemical conditions of various media and those cultur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T4 formulation(80:10:10 mixing ratio of oak sawdust, dried bean-curd refuse and corn husk) showed a shorter time to complete the crop cycle and a higher yields than control. Its physicochemical conditions were 5.4 of pH, 2.4% of crude oil contents, 54.1% of total carbon, 1.61% of total nitrogen, 34 of C/ N ratio, 74.3% of porosity and 0.26g/cm3 of bulk density. Development of optimum medium for bottle cultivation of G. frondosa would benefit from increased production efficiency of G. frondosa mushrooms and be commercial potential.
        3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며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으 며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및 약용 겸용버 섯으로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는 대량 재배가 되어 소비되 는 품목이나 국내에서는 교잡에 의한 안정적인 품종육성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시험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잎 새버섯 3계통을 교잡모본으로하여 14 교잡계통을 육성한 후 육성계통중 균사배양 및 봉지재배시 자실체 특성이 우수한 Gf-m-237-2계통을 선발한 결과이다. Gf-m-237-2계 통은 미국수집균주인 GWM20638과 국내 농촌진흥청 분양 균주인 GWM20645를 단포자 분리 및 교잡한 계통이며 균사 배양온도 30℃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치 밀하며 1㎏ 봉지재배시 균사배양소요일수는 33일, 수확소요 일수는 44일, 수량은107.3g이었으며 교잡모본과 DNA밴드 를 분석, 비교한 결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3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 과에 속하는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 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식용 및 생리활성이 뛰어난 약용 겸용버섯이다. 본 실험은 새로 운 버섯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잎새버섯 계통을 수집, 균사생리 특성 조사를 하여 등록품종 잎새1호 및 MKACC52026계통을 교배모본으로 선발한 후 잎새1 호의 단포자를 분리, 발아된 1핵균사와 MKACC52026계 통의 2핵 균사간 교배를 하여 우량 교배계통으로서 새로 운 다수성 품종 "대황"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는 균 사생장 최적온도는 30℃, 자실체 발생 온도는 16∼18℃, 자실체 생육온도는 15∼-18℃, 갓의 색깔은 황갈색, 자 실체 발생형은 다발형이었으며 병재배가 가능하며 갓 표 면에는 윤문이 있고 자실체는 다발이 크며 수확은 밑면 갓 이 두꺼워지기 직전이며 수량은 850㎖ 병당 85g이었다. 적합한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75(입도 3∼5㎜ 25% + 입도 1∼2㎜ 75%)%+미강 10+옥수수피 15%이며 병재 배 균사배양 적온은 21∼23℃, 후숙기간은 10일, 후숙온 도는 21±1℃였으며 균긁기 및 버섯발생 초기의 충분한 배지표면 습도관리와 소량의 환기 및 1일 16시간의 조명 이 필요하고 자실체 생육시 충분한 환기가 있어야 할 것으 로 생각되었다.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은 담자균문, 주 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성숙한 갓의 모양은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침 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본 실험은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 성을 검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4계통간 교배를 하여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여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39와의 교배계통 으로서 Pp-m-151 계통을 우량 계통으로 선발하여 기 존에 보급되어있지 않은 산느타리버섯의 새로운 품종 "호 산"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형은 다 발형,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30℃, 자실체 발생온도는 16 ∼18℃, 생육온도는 15∼17℃, 850㎖ 병재배시 균사배 양기간은 28일, 초발이소요일수는 4일, 갓 단면의 형태는 얕은깔때기형, 갓의 색깔은 흑갈색, 대의 형태는 굵고 대 의 색깔은 백색, 갓에 대한 대의 부착형태는 편심형, 유효경 수는 병당 9.2개, 수량은 115.3g이었으며 적합한 배지조 성은 미송톱밥25+면실박20+콘코브25+비트펄프30% 이며 수확적기는 갓 모양이 폐모양에서 선풍기 펜모양으 로 변할 때이었다.
        4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 과에 속하며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고 사물기 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및 약용 겸용버섯으로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는 대량 재배 및 대량 소비품목이 나 국내에서는 안정적인 재배기술 개발 및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 잎새버섯의 종균종류로서 국외에서는 톱밥, 액 체, 종목, 곡립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주로 톱밥종균 이 쓰이며 최근 액체종균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액체 종균의 제조방법 및 효과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실험 은 잎새버섯의 봉지재배시 액체종균의 제조방법을 개발한 결과이다. 잎새버섯 액체종균 배지로서 설탕 540g+ 효모 추출물 20g+콩식용유 15㎖/18ℓ 수도수를 조제, MKACC52026 균주를 접종하여 18ℓ병에서 7일간 배양 할 경우 톱밥종균에 비해 종균생산 소요일수가 38일 단축 되며, 봉지배지에 접종하여 중온범위에서 재배한 결과 톱밥 종균에 비해 균사배양기간이 3일, 버섯발생은 11일, 수확 소요일수는 1일 단축되고 수량이 16% 증가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