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는 국민의 삶에 가장 필요한 SOC시설로, 이용자에게 친근하고 쾌적한 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 로경관 개선이 필요하다. 그 동안 도로의 건설에 있어서 단순한 양적 확장에 치중하여, 도로환경 측면에 서는 열악한 수준이다. 도로가 이동수단의 기능과 함께 다양한 생활공간으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휴식공간, 조망공간, 문화공간 등으로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로의 경관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선형, 구조물, 자연 및 인공물)가 주위 환경과 조화 되어 좋은 경관을 이루며, 특히 도로주변의 자연적 또는 인공적 요소를 보고 즐길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갖춘 경관도로(scenic road) 조성 사업을 일부 추진하고 있다. 한편 주 5일제 근무제도와 웰빙 및 힐링 열풍으로 여가 선용을 위한 도로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서 도로 주행 중에 또는 도로 주변에서 자연경관을 조망하는 경관쉼터를 확대하고, 이들을 관광요소화 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도로경관설계 흐름에 따라 도로설계 단계별 조망시설의 설계를 위한 절차 및 기법을 정립하였다. 여기에는 도로 및 지역 특성에 맞는 경관적 테마를 설정하여 경관테마에 적합한 조망시설의 경관계획 수립 및 설계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조망시설의 설계 기법으로 입지특성 및 주변여건을 분석하여 도로변 여유부지 또는 폐도를 활용하여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지점 선정, 지역특성 및 경관테마를 반영한 독창적인 조망시설 계획, 주변 경관요소를 훼손하지 않고, 과도한 규모와 디자인 지양해야 하는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2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in the marine ranchig ground of Taea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shrimp beam traw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 total of 99 species, 5,355,816ind./km2 and 84,697kg/km2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Among them, fish include 9 orders 33 families 54 species, crustaceans include 2 orders 15 families 30 species, cephalopods consist of 3 orders 4 families 5 species, gastropods include 2 orders 3 families 4 species, echinoidea sp. include 1 order 2 families 2 species, bivalves were composed of 2 orders 2 families 2 species, and holothuroids include 1 family 1 order. According to the dominants by month, Palaemon gravieri was dominant in January, Cynoglossus joyneri was dominant in February, March, and June, and Hexagrammos otakii was dominant, in July. And Oratosquilla oratoria was dominant echinoidea sp. was dominant in April, May, and August and in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38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the species were separated into 5 different groups. Group A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spring and summer, group B was composed of year-round residents, and group C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autumn.
        4,300원
        2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5,100원
        2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perties of sediment collected from seabed surface to 6cm depth on the four position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urbulence of marine sediments by shrimp beam trawl. Types of sediments in the investigation area were (g)mS (slightly gravely muddy sand) and gmS (gravely muddy sand) showing high sand content, and (g)sM (slightly gravely sandy mud), gsM (gravely sandy mud) as well. It is estimated that position is more crucial factor than seasonal difference for the granularity variation of sediment in each investigation area. Finding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granularity was difficult before removing shells and organic matter. However, the average granularity is getting larger by going out from inland sea to open sea once those were removed. The granularity of marine sediment got narrow after processing in the fishing area for shrimp beam trawl bu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for granularity size before and after processing in the non-fishing area. This might be attributed to crushed shell particles going up and down again on the surface in the fishing area. To demonstrate the hypothesis mentioned above, the sediments driven by shrimp beam trawl need to be collected and analyzed.
        4,000원
        2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cultural Heritageis located in the downtown, conservation areas was developed or is being developed In most cases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lative height of th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than the regulatory limit is reasonable, is emerging need to be objectified. This study was utilizes GIS analysis techniques for 'View Corridor' and building height standards were determined. First, 'View Corridor' set and building height restrictions for the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in. In particular, the topography and urban planning, and existing buildings, including the distribution of the physical urban environment, with detailed analysis on the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with a combination of a review of the impact factor for the formation of the urban landscape recognize the scope has been expanded. Second, the key selection criteria for View point largely focused on cultural Heritageand the surrounding communicative point of view and, consequently, connectivity, and symbolism, accessibility, analysis, factors such as Prospect, setting the standards by applying a detailed assessment of each item the main view point were derived. Third, the derived key View point on the terrai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simulation analysi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ogether the main axis, and this suggests a reasonable height for the proposed standards.
        4,900원
        2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해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하여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의 내용을 기본 방향으로 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유아들이 이전에 접하지 않은 영리더십센타에서 감수한 동화를 선정하여 NLP코칭스킬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본 프로그램은 17차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차시마다 동화를 적용하고 신체, 음악,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Y구 D어린이집 만 4세반 1개 학급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22명의 유아들 중 11명은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실험집단으로,나머지 유아 11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600원
        27.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considered that fishing areas for shrimp beam trawl have been in ruin because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permitted trawling into the areas limited by the fisheries local regulations from 1994. Physical and biological effects of the trawling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Physical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optical methods such as trawling tracking by side scan sonar and comparing the gear both before and after trawling. Biological aspects were investigated by grab sampling of benthic animals,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 sediment and a flux evaluation of NH4+, PO4-, and SiO2 by coring. The fishing activity had physical impacts on the seabed but these recovered naturally in less than fourty days naturally, which increased the benthic biodiversity, increases the trace metal concentration of and nutrient flux into the seawater, especially phosphate and silicate. This method and these results can help in further studies looking for disturbances by fishing.
        4,200원
        28.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fishing operation by the shrimp beam traw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ycatch in order to develop the selective fishing gear of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The experimental trawling was performed by the prototype fishing gear in coast sea of Boryeong, Buan, Kangjin, Tongyeong and Geoje from 30 April to 13 November 2005. Bycatches of the experimental trawling were analyzed species composition, total length com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arget fishes caught by the shrimp beam trawl were Palaemon gravieri, Crangon Hakodatei,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Parapenaeopsis tenellus, Rhynchocinetes uritai and Matapenaeus joyneri. And their fishing rate and total length range were 50.0%, 46.0%, 2.6%, 0.4%, 0.3%, 0.3% and 40-80mm, 40-80mm, 120-150mm, 60-80mm, 60-80mm, 60-120mm respectively. Bycatches caught by the shrimp beam trawl consisted of fishes of 30 kinds, 6 kinds of mollusk, 5 kinds of shellfishes and 3 kinds of crabs. The main fish was Engraulis japonicus, Platycephalus indicus, Paralichthys olivaceus, Leiognathus nuchalis and Conger myriaster, their occupied rate were 47.0%, 16.6%, 13.6%, 5.5%, 2.7% respectively, and their total length range were 60-150mm, 80-410mm, 80-600mm, 30-80mm and 150-460mm respectively. A number bycatch rates of shrimp beam trawl fishery were 99.7% in Buan, 60.0% in Kangjin, 14.6% in Boryeong, 10.6% in Tongyeong and 2.7% in Geoje, The weight bycatch rate were 99.9% in Buan, 75.1% in Kangjin, 57.1% in Tongyeong, 47.4% in Boryeong and 15.4% in Geoje.
        4,500원
        2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가지내에서의 산악경관에 대한 조망점 수직상향 이동의 타당성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고층화, 과밀화된 시가지내에서의 조망점 설정방안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첫째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산의 시각량 및 앙각의 유의차 분석을 위하여 t-검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둘째, 산정의 가시여부 및 산의 평균 녹시율을 기준으로 하여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시각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망점의 수직 상향이동 전후의 단위간 표고차는 평균 15.39m로써 건물 4층 정도의 수준차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 조망점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산의 시각량은 1%의 유의수준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때의 앙각의 차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조망점의 수직 상향이동 전후의 시각구조는 동일하지만 시점 이동후 산의 시각량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았다. 3) 산정의 가시와 산의 평균 녹시율을 상회하는 조망점은 건물옥상높이에서의 빈도수가 많았다. 시각량의 t-검정 분석결과 역시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가 5% 유의수준에서 산의 시각량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을 적절히 조망할 수 있는 앙각권역 내에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시가지가 포함될 때의 조망점 설정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시가지내 포함된 조망점들을 대상으로 하여 앙각의 조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수준까지 시점을 수직 상향 이동함으로써 불리한 시각량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직 이동된 상태는 이동전과는 달리 시점의 특수성이 인정되나, 앙각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서로 동일한 조망구조로 간주하여 산악 경관관리를 위한 보존적 지 침을 제시할 수 있다.
        4,000원
        3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조망 끝자루의 망목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여수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2002년 10월 중에 끝자루의 망목을 28, 38, 51 그리고 61mm로 구성하여 덮그물 방식으로 각각 5 회씩, 총 20회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실시하였다. 주 어획대상 어종인 수염대롱새우의 끝자루 망목별 어획률과 망목선택성 곡선 S=1/(1+exp-αCL+β))의 기울기 (a)와 절편 (b) 및 선택계수 그리고 표본망목선택성곡선 S=1/(1+exp(-α(CL/M)+β)))의 기울기(a)와 절편 (b) 및 적정망목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어획미수는 끝자루 11,504마리, 덮그물 12,879마리로 총 24,374마리, 313.1kg이 어획되었고 종별구성은 새우류, 어류, 게류, 연체동물 순이었으며, 부수 어획물은 어류의 자치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어획되는 대롱수염새우의 어획률은 각각 0.72, 0.63, 0.46, 0.29로 나타났다. 3.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대한 선택성곡선의 a와 b 값은 0.53 -12.65, 0.35 -9.40, 0.28 -8.97과 0.24 -8.27이었고, 선택계수는 0.85, 0.71, 0.62, 0.55이었다. 4. 표본망목선택성곡선의 기울기(α)와 절편(β) 값 은 8.44, -5.49이었고, 대롱수염새우의 최소성숙갑각장 20.6 mm에 대한 적정망목은 30.7 mm, 상품(上品) 최소갑각장 25 mm에 대한 적장망목은 38.5 mm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3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e the rural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unicipalities with the intention of rural landscape planning. However, rural scenery evaluation of landscape types and element categories, landscape scenes, such as the valuation of resources selected, form a coherent system and ecological point of view is not only a Visual perspective of evaluation, or evaluation is made. This study evaluates the rural landscape through the rural landscape for rurality is implemented can explain the image. Rural amenity 100 represented the rural landscape in rurality with photos of photos, and scenes, photos, location-based rural Vista rurality landscapes drawn components. Selected landscape photography scenic landscapes in the u.s. survey and image vocabularies through surveys is representative of the landscape in rurality of each Vista location-specific photos and images began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the Distant view is a town and village in the rolling hill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an image behind the Vista Skyline, Farmland Rural village forests, Behind the hills, Individual housing roof, Housing arrangement, The number of household includes landscape components. Factor analysis ‘openness’, ‘intimacy’, ‘activity’, ‘complexity’, ‘safety’ was down to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6.45 percent. Middle distance view is close to being out of town houses and village environment, an image in the skyline hills Vista, farmlands, village forests, rolling hills, behind the scenes of the housing component of the neck, the sperm will honor an individual factor analysis results are ‘intimacy’, ‘safety’, ‘openness’, ‘specificity’, ‘complexity’ five factors the whole description of the capacity factors compared to 67.24 percent. Close-range view is mainly in Vista village embraced the individual elements and an image of a harmonious location in the surroundings of the sperm, individual houses, fences, gates, courtyard, Garden, garage, agri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actors assay but an ‘intimacy’, ‘complexity’, ‘safety’, ‘activity’, ‘openness’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5.29%. This research seek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rurality of rural landscape Vista by location attributes and elements and representative officer in photo selection and rurality to extract the image. To date, followed by a comprehensive study, which was presented through the readjustment could not overlook the Visual elements. The future rural development officer for the evaluation of rural landscap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will have to come up with ways to do.
        35.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
        36.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ccordance with viewing and walking in the forest and urban area. In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actions in nervous system, viewing of the forest had a calming effect on the nervous system by reduc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he other hand, viewing and walking in the urban area compared to the forest area raised stress by increas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addition, viewing in forest area was effective in stress relief by noticeable reduction of the amylase concentration. In contrast, walking in the urban area was also confirmed an increase of stress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amylase. A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area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depressed on anxiety, anger, fatigue and confusion.
        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망’은 조숙, 다수성이며 바이오디젤 생산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로 2006년에 웅성불임인 목포-CGMS와 임성회복환분친인 8634-B-1-3-1-8을 교배하여 생산력검정시험(2007, 2008)과, 지역적응시험(2008)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조망’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조망’의 성숙일는 6월 3일로 ‘선망’보다 1일, ‘탐미유채’보다는 4일
        3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장교의 조망결정요소별 최적 조망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교량의 3D Simulation을 제작하고 실험조건에 따라 선호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교량의 조망결정요소에 따른 경관평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최적 조망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망조건별 변화인식범위선정을 통해 시점이동에 의해 사장교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범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평각은 5°, 시선입사각은 4°, 시점높이는 교량전체 높이의 10%로 변화시켰을 경우 사장교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장교와 가장 잘 어울리는 주변경관을 선정하기 위한 선호도 분석결과 도시경관유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망결정요소별 최적의 조망조건 선정결과 수평각에 경우 55°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시선입사각에 경우 20°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시점높이의 경우 8/10H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교량의 조망조건에 따른 경관미의 고려는 교량경관계획 시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교량의 조망에 따른 경관미보다 형태미에 치우친 교량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교량경관계획 시 조망의 중요성을 재평가하고, 조망조건에 따른 교량평가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교량경관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2명이었으며, 실험집단 유아에게 8주간 주 3회씩 전래동화를 듣고 개작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와 개작활동을 위한 전래동화 8편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은 인지 조망수용능력과 감정 조망수용능력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