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2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nalysis of changes in herbal te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rocessing conditions showed slightly reduced crude protein content and increased, moisture, crude fat and solid elution rate after treatment using the ash puffing process compared to roasting. Benzopyrene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0.18 ppb from 0.51 ppb.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α)P cont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ondition and raw materials. Generation of food B(α)P is mainly include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food cooking, when the processing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food carbohydrate, protein, fat reason despite severe heat treatment as a whole is to be detected even though the B(α)P in this way is considered to be. The taste, aroma and color did not show a large difference, but the strong bitters taste decreased.
        4,000원
        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를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에 배양하여 조제한 AC-HE 열수 추출물이 생체고분자의 산화적 손상과 세포사멸을 보호할 수 있는 지를 관찰하였다. AC-HE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ABTS radical, pe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0μg/mL 농도에서 61.73%,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50μg/mL 농도에서 97.39%,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100μg/mL 농도에서 44.18%로 나타났다. AC-HE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생체고분자물질인 사람의 혈청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세포에 H2O2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에 비하여 발효물을 100μ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11.47% 증가했으며, 발효물을 50μ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내 ROS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AC-HE은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4,300원
        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방차의 roasting 온도를 80∼140℃ 범위로 하여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온도의 상승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 회분 함량이 소폭 상승하였고, 조 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소폭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율은 0.15~0.32%(w/w)를 나타내었는데, roasting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온도가 80∼110℃구간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110∼140℃구간에서는 고형분 용출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가 상승할수록 용출율이 감소하는 것은 내부 조직이 치밀하여 상대적으로 용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벤조피렌 함량은 0.29~0.51ppb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B(α)P함량이 증가하였다. 처리온도와 원재료에 따라 B(α)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하며, 내부온도는 약 200℃정도지만 roaster 표면의 실제 온도는 약 2000℃에 이르는데 표면과 접촉한 부분에서 B(α)P가 생성된다. B(α)P는 주로 음식을 조리, 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의 화장품 소재로서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애약쑥의 물추출물, 60% 에탄올 추출물, 100% 에탄올 추출물은 Escherichia coli를 제외하고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nterobacter aerogenes 등 4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최소저해농도(MIC) 분석결과 60% 에탄올 추출물의 P. acnes에 대한 MIC가 1.25 mg/mL의 농도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섬애약쑥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에 비해서 60%와 100% 에탄올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B16/F10 melanoma 세포에 의한 멜라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60%와 10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특히 60% 에탄올 추출물은 125 μg/mL의 농도에서 51.9%의 elastase 저해능을 보여서 우수한 주름개선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쑥 추출물은 UV-B(290-320 nm) 영역에서 강한 UV 흡수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60%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흡수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섬애약쑥 추출물이 향장산업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2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 배지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와 이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의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배양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0.05 m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의 비율 5:5, 80˚C의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좋은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건에서 추출한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을 혼합(배양 추출물:흑마늘 추출물=9:1, 8:2, 7:3)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간세포 보호 효과는 흑마늘 추출물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산화력 측정 결과에서는 오히려 흑마늘 추출물 첨가 비율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흑마늘 추출물의 경우, 적은 농도에서는 간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양 추출물만으로(1.9 Brix, 15%) 액상과당 농도를 달리하여(10, 15, 20%) 제조한 음료의 관능검사 실시 결과, 액상과당 농도 차이가 단맛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쓴맛, 향, 농도 및 전반적 기호도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00원
        2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화 처리온도를 각각 140~220℃로 한 한방차 제품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온도의 상승에 따라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회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소폭의 변화가 있었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률은 0.18~0.27%(w/w)로 나타내었는데, 팽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고형분의 용출은 온도가 화학적 변화보다 물리적 변화에 의해 식품의 원재료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천연 상태에서 상호가교 결합이 물리적인 힘으로 어느 정도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벤조피렌 함량은 0.18~0.24ppb로 처리온도, 원재료에 따라 B(α)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똥쑥 분말을 첨가 급이한 육계(우리맛닭)의 생산성 및 계육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 항생제 첨가군 및 개똥쑥 5%(TA-1), 6%(TA-2), 7%(TA-3) 급이군으로 구분하였다. 증체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TA-1과 TA-2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사료 요구율은 TA-1, TA-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TA-3군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개똥쑥 5~6%가 급이된 계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H는 가슴육에서 TA-2군이 가장 높았고(p<0.05), 다리육은 TA-3군이 높았으나 이는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계육의 가열감량은 다리육에 비해 가슴육에서 적었으며, 대조군과 항생제 첨가군에 비해 TA-3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색차(ΔE)는 개똥쑥을 급이한 계육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계육의 경도는 가슴육이 다리육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가슴육의 경도는 개똥쑥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다리육은 TA-2와 TA-3군에서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p<0.05). 계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TA-2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가슴육은 개똥쑥급이군, 다리육은 TA-2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개똥쑥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따라서 육계의 사료에 개똥쑥 분말 6%의 첨가 급이는 육계의 생산성 향상, 계육의 보수성 증대 및 지질 산화 억제 등의 효과로 기능성 사료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30.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똥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그 유효물질의 함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 조건을 확립코져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5가지의 추출 조건(온도: 50∼90℃, 시간: 3∼15 hr, 에탄올 농도: 0∼100%)에서 실험하였다. 개똥쑥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J 조건(90℃, 9 hr, 50%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NO 라디칼 소거활성은 H 조건(80℃, 12 hr, 75%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J 조건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H 조건의 추출물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개똥쑥의 최적 추출조건은 평균 89.37℃, 8.55 hr 및 56.77% 의 에탄올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측값은 예상값의 89.88∼115.54%에 해당되었다.
        4,200원
        3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남해에서 재배되고 있는 섬애쑥의 식품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섬애쑥의 일반성분을 잎, 줄기 및 뿌리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조단백질은 각각 19.87, 6.14, 5.68%로 나타났고, 조지방은 4.56, 1.30, 1.20%이었으며, 조섬유는 16.80, 29.70, 29.45%로 나타났다. 섬애쑥의 주요 무기성분은 K, Ca, Mg으로 나타났으며, 잎에서 K과 Ca의 함량이 각각 4,270.24, 617.64 mg/100g으로 뿌리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잎과 뿌리에는 sucrose와 glucose 가, 줄기에서는 glucose와 fructose가 검출되었다. 총아미노산은 17종이 분리되었으며, 잎의 총아미노산함량이 4,864.11 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1,953.99mg/100g, 뿌리는 1,601.73mg/100g 순으 로 나타났다. 부위별 주요아미노산으로 잎과 줄기에서는 proline(963.91 및 407.52mg/100g)과 aspartic acid(577.38 및 299.17mg/100g)이었고,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206.34mg/100g)와 arginine(193.23 mg/100g)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linoleic acid(C18:2), behenic acid(C22:0) 및 palmitic acid(C16:0)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서의 부위별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잎에서 35.0과 107.63mg/100g으로 줄기와 뿌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4,000원
        3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mwood meal addition on constituent of blood, and liver fatty acid in broiler chickens. Two-day old 25 male commercial broiler chicks were distributed to 5 treatments (wormwood meal levels ; T1 (1%), T2 (3%), T3 (5%), T4 (10%), and control (C)) for 5 weeks. Free fatty acids of liver were a little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nd the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s were occupied 92.5% of total free fatty acids. Hemoglobin and hematocrite concentration of bl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s the levels of wormwood meal increased, and serum albumin concentration of broilers was little different between 0 week and 5 week experiments. Also serum cholesterol, phospho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of liver in broilers were little different during the 5 weeks experiment.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 levels of wormwood meal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wormwood meal addition has a little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unsaturated fatty acid and decreasing saturated fatty acid.
        4,000원
        33.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해 약쑥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시스템에서 조사하였다. 남해약쑥의 부위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23.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남해 약쑥의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 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잎에서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부위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자동 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DA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잎 200 μ g/mL 농도에서 71.38%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남해 약쑥 잎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 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3,000원
        3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emisia scoparia (A. scoparia), perennial herb is indigenous to Korea and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liver damag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ssential oil obtained from A. scoparia on apoptosis of KB cells. Cytotoxicity and cellular DNA content were analyz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Hoechst 33258 staining. The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proteins were estimated by Western blotting method. We found that the essential oil induced the apoptosis of the KB cells by concentrations of 0.4 to 0.2 mg/ml which was verified by DNA fragmentation, apoptotic bodies, and the sub-G0/G1 ratio. The essential oil also transient caspase-9 and caspase-3 activity and cleavage of PARP in KB cells for 24 h. The essential oil-induced apoptotic cell death was accompanied by up-regulation of Bax and down-regulation of Bcl-2.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ssential oil of A. scoparia induces apoptosis in KB cells
        4,000원
        3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Artemisia extraction was extracted from Artemisia component using diethyl ether as a solvent, and we tested various pharmace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is extract. Characteristic experiments to use natural Artemisia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in pharmacetical material, and tested dye experiment using fiber in chemical material.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some conclusions are obtained as follow. From the result of extraction experiment, it obtained about 10.4%-Artemisia extraction ratio as semi-solid state, and after dried in freezing from Artemisia extract of semi-solid state, it obtained about 10%-Artemisia extraction ratio as solid state of dark blue-green color. From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of Artemisia extract, number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01) and aspergillus niger (ATCC-02) in microbe decreased more and more according to time passage. This phenomenon showed that Artemisia extract influences to antimicrobial effect. From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of Artemisia extract, it appeared in direction of dark blue-green color after dyed to use cotton and silk with fiber to control in pH 7.5. Specially the result which confirmed dye of fiber with optical electron microscope (OEM), we could know that it appears darker silk than cotton.
        4,000원
        37.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acaricidal agents have been used to reduce the dust mite population. On the point of keeping people away from mite allergens, however, repelling mites from the living space of human is more effective than just killing them, because the dead bodies of mites still act as allergen. To examine the potential of Artemisia in controling house dust mites, Artemisia extract was evaluated for its repellency to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pellency tests were performed using filter-paper circles cut in halves. The Artemisia extract was applied on each half at concentrations of 0, 0.1, 0.2, 0.4 and 0.8㎕/㎠. Proper repellent effects of Artemisia extract on house dust mites were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s of >0.4㎕/㎠. As a positive control, lavender essential oil was used at concentrations of 0, 0.0125, 0.025, 0.05 and 0.1㎕/㎠. Lavender oil showed proper repellent effects at concentrations of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extract has potential to control the house dust mites, and might be useful as a dust mite repell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