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5

        21.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s an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operating room. A cross sectional survey of nurses (N = 142) was conducted in March 2020. The participants were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work experience in operating rooms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Collaboration among nurses was measured using the Nurse–Nurse Collaboration Scale, whil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was measured by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NPC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wit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collaboration among operating room nurses was scored with an average of 2.87 out of a total of 4. Collaboration between operating room nurses to physician scored 3.47 average out of 5 to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d 3.24 average out of 5 total.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operating rooms include collaboration among nurse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s well as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for decision-making regarding treatment and nursing care. The explanatory amount of general characteristic,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nd nurse-nurse collaboration variables was 33%, 15%, 13%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o enhance collaboration among operating room nurses,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on communication skills and decision-making competencies, continuous research, and organizational efforts.
        4,200원
        22.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분노조절을 위한 모래놀이치료이며 단일 사례연구이다. 가정폭력 아동의 분노를 깊이 다루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이다. 본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아동의 분노를 조절하는 기초자료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3년 2월1일부터 6월25일까지 연구하였다. 모래놀이기간은 3월 10일부 터 4월 25일까지 주 2회 총 20회기 회기당 50분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가정폭력 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 2(남아)학년이다. 자료분석은 동적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K-HTP), 동적가족화(KFD)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가정폭력쉼터 아동의 분노행동이 감소되었 다. K-HTP에서는 무기력감, 고립, 철회와 밀착이 사라지고 적극적이고 사회와 상 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으며, KFD에서는 가족의 상호작용과 개인별 역할이 회복되고 가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모래놀이치료 단계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분노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가정폭력쉼터 아동의 분노를 없애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5,500원
        23.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the worlds’ population ages, more frontline employees (FLEs) will be required in the aged care industry. Notably, workers at residential aged care services are susceptible to workplace stress (Biggins, 2019) due to the long hours, low wages, and physical and emotional demands of helping the elderly and incapacitated (Proust, 2019). This poses challenges for the industry to manage the welfare of its employees.
        24.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et Promotor Score (NPS)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metrics for measuring customer loyalty. Originally designed by Reichheld (2003), the measure asks participants to rate their likelihood to recommend the brand on a scale of 0-10, after which respondents are placed into a ‘detractors’ group, ‘passive’ group or ‘promotors’ group. While the measur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simplicity and ease of use, there has equally been much criticism of its reliability, nomological validity and how it is connected to business outcome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understand whether the NPS can be used to identify brand advocacy, and secondly, does the NPS work in a care-based, low switching service context. The study included three unique contexts: at home care, residential care and disability care. In total, there were 611 participants, all of which were based in Australia.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each group and includ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onsumer experience. The findings supported NPS as an effective metric in a care-based, low-switching context for identifying positive customer advocacy. The implication is that the NPS can be used to track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extended NPS allows organizations to understand and encourage (address) positive (negative) advocacy. In addition, suggestions for an ‘earned advocacy score’ were provided which may offer a more effective way of understanding consumer experience, while providing clearer, more detailed and more actionable data. The current study provides much needed insight for brand and care organizations to understand how the NPS might be used effectively to facilitate better brand outcomes.
        2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뷰티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진보에 따른 변화의 해결방안으로 뷰티 교수자들의 신 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하여 뷰티산업을 이끌어 갈 예비 뷰티전문가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전문적인 디지털 관련 기술 교과목을 적용하여 디지털 뷰티 전문가 배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자의 혁신의지,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 등의 독립변수가 유용성 및 용이성 등 매개변수가 어떤 경로로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뷰티분야에서 신기술 관련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 다. 뷰티전공 교수자의 디지털 신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신기술에 대한 혁신 의지와 주관적 규범, 자 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용이성과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 분야 에서 신기술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과목 개선이 필요하다고는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수자 스 스로의 신기술 응용에 대한 두려움을 크게 느끼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신규 교과목 적용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뷰티분야 교수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교육 관련 교재개발 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디지털 신기술 및 IT관련 학과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뷰티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육 프 로그램 개발을 위한 상호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뷰티분야 맞춤형 디지털 신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4,500원
        2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초기 노안에서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초기 노안을 겪는 40대 이상의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노화 인식에 대한 설문 6문항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 11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석으로 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의 연령대(40 대 초반, 중반, 후반)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나이는 43.92±2.42세로 남자는 95명(55.6%), 여자는 96명(44.4%)이었다. 연령대에 따라 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인식의 경우 한 가지 문항(문항 4번)에서 남자 (3.40±0.97)가 여자(3.87±0.93)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노화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 건강관리 인식은 세 가지 문항(문항 1, 6, 7번)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은 건강관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여: 4.05±0.67, 남: 3.52±0.81, 여: 3.83±0.77, 남: 3.51±0.99, 여: 4.01±0.70, 남: 3.77±0.83). 노화인식도 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r=0.161, p=0.035). 결론 : 성별에 따라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였고, 노화 인식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 정도가 높았다.
        4,200원
        2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형평성 보장의 주요 요인인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현황’ 분석을 통해 간호사 수급 불균형 의 유형을 구분하고, 불균형의 유형별 해결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로 의료기관 수 및 병상수, 의료기관 근무 간호사수(간호사 수요), 간호대학 졸업자, 가용간호사수(간호사 공급) 등을 분석하여 간호사 수급 불균형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결 방향을 모색한 결과, 지금까지 추진된 ‘간호사 공급 확대를 통한 지역간호사 확보 정책’은 경기, 인천, 울산, 세종 등지에서 실효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 지역들은 지난 10년간 간호사 입학정원 증원 비율이 가장 낮았던 지역들이었 다. 이를 통해 지역간호대학의 입학정원 증원 정책만으로는 지역간호사를 확보하는 데 실효성이 낮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간호사 확보를 위해 네 가지 유형으로 지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다. 첫째는 지역별 건강형평성 보장을 위해 간호대학 입학정원과 의료기관수 확대가 필요한 지역이고, 둘째 는 유휴간호사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한 지역이고, 셋째는 300병상 이상의 의료기관 확대가 필요한 지역이 고, 넷째는 의료기관의 근무여건 개선이 필요한 지역이다.
        6,100원
        28.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reliable and affordable individual health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national health examinations, which can be actively utilized in community health services based on examination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to incorporate the examination results into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at health centers.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that analyzed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data of 2018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AS program. The overall results of the health examina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rate was 72.6%, and 97% of the examinees had health needs such as improving health behavior and managing diseases. It was found that 52.2% of patients had high blood pressure, followed by diabetes and dyslipidemia. The health data generated from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evant to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Conclusion: By utilizing health data generated from national health examinations,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in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can be simplified. By focusing on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4,500원
        30.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ulnerable populations in healthcare facilities are more sensitive to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and therefore are more affected by such pollutant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is was the underlying reason why studies of indoor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facilities, such as daycare centers, medical facilities,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ostnatal care cen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daycare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ir research, and relatively speaking, studies conducted on the other venue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and perform a health risk assessment in regard to Formaldehyde exposure at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Here, the study focused on facilities that had undergone pollution level inspection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A total of 81 postnatal care centers and 48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n, the study utilized concentrations of five elements (CO2, HCHO, PM10, PM2.5, TBC) to determine the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of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or health risk assessment, HCHO concentration was used. The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yearly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five elements stood within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s, and the ratio of PM2.5 to PM10 in the two types of facilities was distributed as high as about 70%.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HCHO and TBC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five elements was examined. The health risk assessment showed that the cancer risk level of postnatal care center users stood below 10-6, below the level that is perceived as an acceptable risk. The cancer risk of workers from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y users exceeded the acceptable risk level of 10-6, but was shown to be below 10-4, the maximum acceptable risk.
        4,000원
        3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quating is a statistical procedure used to create a common measurement scale across two instruments. Item-level inform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scores can communicate interchangeably across the instruments. Objects: To investigate a common measurement scale across tw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HRQOL) applied to various cancer survivors who underwent palliative care in healthcare institutions. Methods: A total of 139 cancer survivors who underwent palliative care were recruited from two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Participants consisted of various cancer survivors who presented to the sites for palliative care. They were asked to fill out Korean version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BREF) and EuroQOL-5 dimension (EQ-5D) questionnaires following the palliative care. For the item level comparison, the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how participants regarded individual test items of two instruments in relation to item difficulty calibrations. Results: All items except the three items fit the Rasch model. One item (anxiety/depression) of the EQ-5D and two items (dependence on medical aids and negative feelings) of the WHOQOL- BREF are misfit. The WHOQOL-BREF targets the survivors well, while the EQ-5D is able to target the survivors with lower HRQOL levels with some ceiling effects. By inspecting the item difficulty calibrations of the two instruments, five items of the WHOQOL-BREF are selected as common items in relation to the EQ-5D. These five items are considered compatible with each othe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analysis reveals that the healthcare item of the WHOQOL-BREF vs the self-care item of the EQ-5D exhibits significant DIF.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one paired ite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quating the WHOQOL-BREF and the EQ-5D applied to cancer survivors who underwent palliative care.
        4,000원
        3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뷰티산업 현장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피부미용 이론 및 실기 수업을 통해 문 제중심학습(PBL) 수업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에게 피부미용 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문제 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 상호간에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에게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을 진행하고, 수강 후 그 효과에 대해 분석 한다. 본 연구 결과로 현장 실제의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실제 전문가들이 하는 일을 이해할 수 있었고, 주어진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는 부분을 알게 되었다고 하여 문제해결 능 력 신장을 기대 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제 탐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과정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200원
        3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시대가 지속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교회의 선교적 사명은 어떤 상황에서도 지속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사의 사역에 지장이 없도록 선교사 멤버케어에 더욱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이 도래하 여 국경이 폐쇄되자 한국교회와 파송 단체에서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선교사와 그 가족의 건강에 대해 어떤 특별한 대책이 거의 없었다. 실제적인 도움도 주지 못하고 건강하기만을 기도할 뿐이었다. 그동안 진행되었던 선교사 멤버케어의 의미가 무색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선교사 멤버케어의 당위성을 전제로 그 정의와 필요성을 먼저 짚어본 후 그 한계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한 대안으로 선교사 자신이 총체적 치유의 개념을 가지고 어떤 곳이든지 돌발적인 상황이 벌어져도 실천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에 새로운 전염병이 창궐 (猖獗)한다고 할지라도 자기(自己) 케어 즉 자신의 건강을 자기 스스로 돌보고 지키며 선교사역에 매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다시 선교사가 건강문제로 선교지를 포기하는 상황이 벌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6,600원
        3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데이터 기반 경제 활동의 비중이 급증하면서 데이터경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만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데이터경제로의 전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경제의 주요 특징을 플랫폼(platform) 구축, 예측력(predictive power) 강화, 새로운 분석모델(new analytical model)의 활용으로 정리하고, 이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금융, 부동산, 의료 부문 간 데이터 기반 활동의 정도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금융, 부동산, 의료 부문별로 데이터경제 특징이 실현되고 있는 속도와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데이터경제의 확산을 통해 경제 생산성 향상과 복지 증대를 위해서는 금융, 부동산, 의료 등 주요 산업 부문별로 차별화된 정책 접근이 필요 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8,900원
        35.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인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 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2년 8월 12일부터 16일까지 G시 소재 4개 요양병원 간호종 사자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종교, 결혼상태, 학력정도, 월 평균 급여, 직종, 근무형태 및 이직경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 (r=.51, p<.001) 및 소진(r=.62,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6, p<.001).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r=-.25, p=.002) 및 소진(r=.-.67, p<.001)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은 직무스트레스(r=.5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β=.32, p<.001), 조직몰입(β=-.30, p=.001), 학 력정도(β=.17, p=.022)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9.6%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4,200원
        36.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신요양시설은 정신보건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개 정의 과정에서 사회복지기능보다는 의료적 기능으로 인식되었다. 정부의 지역사회중심의 커뮤니티케어 정책 발표는 정신요양시설의 존재적 위기감을 가져왔고, 거주이용인의 요양과 사회복귀 목적의 서비스 를 제공하는 정신요양시설은 발전적 미래를 위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정신요양시설 미래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기존의 문헌과 자료를 탐색하여 정신요양시설의 일반 적 현황과 거주이용인의 특성 변화에 따라 제공된 현재의 정신요양시설 서비스가 거주이용인의 이용만 족, 거주이용인 회복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거주이용인의 회복지향을 위한 정신요양시설의 정체성 확립과 기능전환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이용인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거주환경으로 인식제고, 둘째 지원주택의 특성을 적용 한 거주지원시설로 변화 지향, 셋째 사회복지성격의 지원서비스의 명시로 차별성과 정체성 확립, 넷째 거주이용인 회복지향 서비스의 충분한 제공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난 정신요양시설의 물리적 환경, 중점 서비스 방향, 지역사회의 특성이 정신요 양시설 운영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정신요양시설과 정신재활시설이 차별성과 통합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 요하다.
        5,700원
        37.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In countries with a large elderly population, the integrat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n communities was effective in preventing frailty and reducing medical expenses. Customized preventive health service is essential in a super-ag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professionals who perform visiting health care for the elderly. Methods: The statistics for the elderly from Statistics Korea and the Visiting Healthcare Performance Report from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were employed in the analysis.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healthy, pre-frailty, frailty I, and frailty II, according to their health level.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ratio of nurses, physical activity experts, and nutritionists was set at 8:1:1. Results: Three scenarios were classified into minimum, medium, and maximum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s. In the case of Seoul, the number of essential professionals was calculated at least from 719 to a maximum of 1,837. Conclusion: Sinc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calculating visiting health care experts only by the ratio of nurses, physical activity experts, and nutritionist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experts 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oral health, and visiting treatment.
        4,300원
        3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dicines for treating osteoporosis currently in use have minor to severe side effects, and can be financially burdensome. Thus, there is a need for prevention and alternative supplement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can be easily consumed daily as an alternative dietary therapy. In this study, bone marrow density of the spine and femur of osteoporosis patients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consuming complex composed of calcium and magnesium,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bone mineral content. November 2017-November 2021, patients with T-score of less than -2.5 or -1.0 < T-score < -2.5 with history of fractures or recent fractures were enrolled. The data of 60 patients who orally administered Ionized Cal/MagTM Complex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it was significantly confirm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score was up-regulated by 0.5. Additionally, the cumulative dose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MD in the 2nd Lumbar and Femur neck. It is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will be achieved if use of the supplement is continued.
        4,000원
        39.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traints are us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s a way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whole body or part of the body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 such as maintaining medical equipment, preventing falls and patient self tube removal through regulating the patient's behavior. However, the physical restraints are used for the physical safety of the patient, but that is cause a variety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s. Thus,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who apply restraint on face an ethical dilemma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urse's duty to improve the patient's health and protect the patient's safety and the value of the patient's autonomy and dignity. We have two examples are proposed to identify the ethical dilemma situation faced by nurses, to induce an active attitude towards elimination by establishing exactly restraint - removal criteria.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seek a balance of individual valu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traint.
        4,000원
        40.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in February 2018, discussion on advanced care planning (ACP) has increased. However, as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are still made in the intensive care unit, deaths related to the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death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nurses encounter challenges in supporting the patient's dignified death; they experience an ethical dilemma in the ambiguity due to a lack of guidance on legal responsibilities regarding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order for the nurses to perform as a supporter providing care to the patients and as a advocate during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should be a systemic change to ensure the nurses' participation. In addition, an open and continuous discussion should be proposed to cultivate nurses’ ethical sensitivity and moral courage. This paper reports two ethical examples related to the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occurred in intensive care units of a tertiary hospital.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