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2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research on juvenile Oncorhynchus masou masou in oyster mushroom supplemented diet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ixing of feed ingredients for dried oyster mushrooms, 3.5, 7.0, 10.5, 14.0 (%) was added to the amount of oyster mushroom dietary beta-glucan content of the more abundant. After the weight of feed given to salmon survey oyster mushrooms diet for 3.5 to 7.0% was similar to the formula feed and the weight of the fish ate oyster mushroom feed over 10.5% were reduced. The oyster mushroom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3.5 to 7.0 percent hepatosomatic index and feed coefficient figure was similar to those of the formulated diets. Therefore we have juvenile cherry salmon fed diets containing 3.5 to 7.0% was considered good to eat and additional research on the immune response will be carried out was necessary.
        4,000원
        2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ve long been debated whether Jeju king cherry in Korea and Punus x yedoensis (Yoshino cherry) in Japan are the same or not and its originality. Recent genomic approach among P. yedoensis and closed related varieties from Korea, Japan and USA confirms that P. yedoensis is F1 hybri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are two types of Jeju king cherry in Mt. Halla, Jeju, Korea and one type is clearly different and the other type is the same grouping to Yoshino cherry in Japan and USA and the maternal texa of the two types in Jeju is the same of P. pendula. The search of paternal texa of the same type and further molecular gene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mong newly found hundreds of Jeju King Trees in natural habitats of Mt. Halla including a 265 year-old tree along with previous findings would reveal the hypothesis that two independent F1 hybrid of P. yedoensis are evolved in Mt. Halla where is the only natural birth place of P. yedoensis in the world. Furthermore, policy agenda of king cherry tree eco-exploration among six countries including two divided Korea proposed. In terms of bio-diplomacy, it was amazing fact that Jeju King Cherry trees were sent USA under Japanese colony in 1912. In 1943, USA Congressman John Rankin of Mississippi confirms that they were Korean Cherry Trees. The first four of these trees were presented to the American University in 1943 by the Korean Women’s Relief Society of Honolulu according to notice of AU’s School authority. As Jeju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teachers confirmed the fact in April 2018, they suggest Jeju King Cherry Trees Eco- Exploration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at university level, hoping to extend a warming program of planting Jeju King Cherry trees at the Dalma tourism complex in Wonsan city of North Korea in April of 2020.
        4,000원
        25.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버찌가 수입산인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버찌는 수분이 6.71%, 조단백질이 4.61% 및 조회분이 5.33%로 나타나 아로니아와 마키베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함량의 경우 버찌는 1.46%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100 g당 철의 함량은 버찌에서 0.96 mg으로 다른 베리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에 비해 버찌에 2.07 QE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버찌의 FRAP 환원력(156.50 TEAC μmol/g)은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아로니아(121.72 TEAC μmol/g)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버찌의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로니아에 비해 높았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EC50 value는 버찌의 에탄올 추출물과 탈 이온수 추출물이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ABTS 소거활성과 DPPH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버찌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항산화 활성과 철 함량이 아로니아나 마키베리에 뒤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내산 버찌를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는 다양한 제품생산의 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2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urban areas in Korea, cherry trees belonging to genus Prunus are one of abundant trees. In this study, damage rates and characteristics caused by Synanthedon bicingulata (Lepidoptera: Sesiidae) and Aromia bungii (Coleoptera: Cerambycidae) in cherry trees were investigated. Entrance holes of S. icingulata larvae were found from the most cherry trees planted along road-side verges irrespective of tree ages, while Entrance holes of A. bungii larvae were generally found from old trees above 30 cm in diameter at breast height, especially planted on dry environments, such as pavement roads, wood deck and so on.
        2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간조명 하에서 수목이 효율적으로 생장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LED 색온도에 따른 광합성 전자전달 효 율을 검증하였다. 가로수와 조경수로 도시환경에 많이 식생하는 겹벚나무를 대상으로 White 색온도를 비춘 수목과 Warmwhite 색온도를 비춘 수목, 그리고 무처리 수목을 대상으로 건전도를 비교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엽록소 형광 반응 (OJIP)을 활용해 LED광원 색온도 조건에 따른 광 스트레스 광생리지표 분석을 통해 광화학반응 해석과 건전성 평가를 하였다. 엽록소 형광반응 (OJIP)을 분석한 결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 후 115일인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White 광처 리구와 Warmwhite 광처리구에서 J-I구간의 전이 과정 중 생육후기의 형광량이 증가하여 광계I전자전달효율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자전달효율인 RE1O/CS 및 RE1o/ RC 모두 감소되었다. 이 중 White 광처리구는 Warmwhite 대비 형광량의 증가폭이 컸으며, PITOTALABS는 처리 전 무처리에 비해 가장 높은 수치였지만, 115 DAT에는 가장 낮은 수치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White 광을 비춘 수목은 전자전달효율 및 건전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상대적으로 Warmwhite 광처리구의 스트레스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우즈베키스탄과 농업협력강화를 위한 유망분야로 제시된 체리산업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과 연계되는 사업으로 고용창출 및 경제개발 지원 효과 등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지원이 가능한 분야임. 2. 최근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주스 원액 제조 등 가공 산업의 개발을 통해 제조업 육성 정책 마련하고, 수출 기업들에게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GAP의 인증 취득을 독려하고 있어 향후 수출 증대를 통한 농산업 발전이 기대됨. 3. 우즈베키스탄의 체리 산업은 현지 진출한 기업의 관심 분야이나, 체리 수출시 우리나라 검역관이 파견되어 상주하는 비용 등을 우즈베키스탄 생산자가 부담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4. 향후 대 우즈베키스탄과의 농산물 교역 확대를 위해서는 기술지원 뿐 아니라 생산, 유통, 검역, 수출 등 가치사슬 전반을 고려하여 양국 협력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해야함.
        4,200원
        29.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bioactive compound of domestic cherry tomato, the levels of lycopene, β-carotene, and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in three domestic cherry tomato cultivars (Summerking, Qutiquti, and Minchal) using HPLC and LC-MS/MS. The levels of lycopene were 69.40 mg/100 g (Qutiquti), 69.07 mg/100 g (Minichal), and 38.52 mg/100 g (Summerking). The contents of β-carotene were 3.35 mg/100 g (Qutiquti), 2.30 mg/100 g (Summerking), and 2.25 mg/100 g (Minichal).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exactly as 3-caffeoylquinic acid, 5-caffeoylquinic acid, quercetin-3-apiosylrutinoside, quercetin-3-rutinoside, and naringenin chalcone from three domestic cherry tomatoes.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partially as two isomers of caffeic acid-hexose, caffeoylquinic acid isomer, di-caffeoylquinic acid, and tri-caffeoylquinic acid from three domestic cherry tomatoes. Naringenin chalcone was the most abundant phenolic compound, ranging from 78.2 mg/100 g for Qutiquti to 222.9 mg/100 g for Summerking. High levels of quercetin-3-rutinoside and 5-caffeoylquinic acid were found, ranging 24.3-50.8 mg/100 g and 31.8-47.6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mestic cherry tomatoes can be used as bioactive food materials.
        4,000원
        30.
        2018.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적색과 청색광은 식물의 광합성에 효과적인 파장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합의 적색과 청색 LED 혼합광에서 자란 방울 토마토 묘의 생장과 정식 후의 생산량과 품질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였다. 파 종 후 2주된 방울 토마토 묘(Solanum lycopersicum L. cv. ‘Cuty’)를 적색(655nm)과 청색(456nm) LED의 다양 한 비율의 혼합광[red:blue = 41:59 (59B), 53:47 (47B), 65:35 (35B), 74:26 (26B), 87:13 (13B), or 100:0 (0B)]과 형광등(대조구)이 설치된 생장상에 옮겨준 후 25/20℃ (주/야), 광합성 광량자속 198.6 ± 5 μmol·m-2·s-1 (12시간)의 조건에서 27일간 육묘하였다. 그 후 방울 토마토를 벤로형 온실에 정식하여 75일동안 재배하였다. 정식 전 육묘 단계에서 27일간 LED 처리된 0B 와 59B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RB 혼합광 처리의 지상부 생 체중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지상부 건물중과 엽면적 또한 지상부 생체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줄기 신 장은 13B, 26B, 35B에서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26B는 59B처리에 비 해 약 3.2배 높은 줄기 신장을 보였다. 정식 후 37일 째에 마딧수는 26B와 47B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식물 초장은 26B에서 대조구와 59B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장 높은 총 과실 생산량을 보였던 26B는 대조구에 비해 1.6배, 59B에 비해 1.8배 높은 총 과실 생산량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색과 청색 LED 의 다양한 혼합 비율이 방울 토마토 묘의 생장 및 발달과 정식 후의 과실 생산량과 같은 생식생장에 영향에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한다.
        4,000원
        3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울토마토의 수경재배 중 붕소+칼슘+규소 및 칼슘+규소의 복합 엽면시비가 수확 후 품질과 MAP 저장 중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엽면시비한 방울 토마토(‘Unicorn’)는 반숙 과상태에서 수확하여 산소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한 5oC, 11oC, 그리고 24oC에서 25일, 15일, 10일간 저장하였다.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한 방울토마토가 3가지 저장온도 모두에서 호흡과 에틸렌 발생이 억제되어 MAP 저장중 가장 낮은 생체중 감소와 가장 높은 외관상 품질을 보였다. 수확 후 조사한 방울토마토의 경도, 산도, 비타민 C 함량은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3가지 온도 모두에서 MAP 저장 후에도 모두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과피색, 라이코펜 함량과 당도는 수확 후에는 엽면시비 처리로 차이가 없었으나, 3가지 온도 모두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는 방울토마토의 수확후 생리 작용을 억제하고 경도, 산도, 비타민 C 함량을 높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경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배액의 재활용은 생산비 절감 및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중요하다. 방울토마토를 반촉성 수경재배 하면서 생육 단계별 공급액, 배액 및 잎의 무기성분 분석을 통하여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공급액, 배액 및 식물체 잎을 채취한 후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육 초기에는 배액의 EC가 공급액과 비슷한 약 2.0dS·m-1였지만, 생육 후기로 갈수록 높아져 9화방 착과기에는 4.5dS·m-1였다. 영양생장이 왕성한 생육 초기의 pH는 6.4~6.7 범위였으나 생식생장이 강해진 생육 후기에는 5.9~6.1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생육 초기에는 공 급액과 배액의 NO3-N, P, K, Ca 및 Mg 농도가 비슷하였지만 생육 후기로 갈수록 공급액보다 배액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생육 초기에 잎의 T-N 함량이 높았지만 후기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K와 Ca 함량은 생육 초기에는 낮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높았으며, P와 Mg 함량은 생육초기부터 후기까지 유사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토마토 수경재배를 배액재 활용에 있어 무기원소 농도 변화를 교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rry tomato dried using the conventional hot air (HA) and superheated steam (SHS) combined with either HA or far-infrared (FIR)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bined drying process on the product quality. Conventional HA drying caused the greater extent of water removal than that of SHS combined with HA or FIR due to comparatively its longer drying time, resulting the lower water activity. Total acidity of cherry tomato produced by combined drying processe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HA drying. Application of SHS combined with FIR resulted in higher retention of vitamin C and lycopene content with faster rehydration capacity than those of both conventional HA and SHS with HA dry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HS combined with FIR would replace the conventional HA drying process successfully in production of dried cherry tomato with appropriate quality characteristics
        3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awthorn spider mite, Amphitetranychus viennensis (Zacher), is an important tetranychid causing damage on fruittrees and woody ornamental plan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mycoinsecticide BotaniGard® ES at different humiditylevels on the eggs and adults mortality of A. viennensis. In a laboratory condition, egg mortal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by the conidial concentration and RHs. Highest mortality of eggs was observed at 1×108 conidia/ml with 95% RH thanother conditions. In 1×108 conidia/ml, LT50 at 95 and 75% R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55% RH. In BotaniGard®spray in cherry plants, mites decreased on day 6 at all the concentrations, but the mite populations rebounded exceptin 1×109 conidia/ml where it maintained 0 until 9 days after spraying.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B. bassiana hasa potential to be used against A. viennensis
        3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erry leaf roll virus(CLRV)는 group IV positive sense ssRNA viruses, Nepovirus로 분류되는 식물병원성 바이러스이다. CLRV는 체리 등 목본 및 완두 등 콩과 작물을 자연 기주로 하며, 실험적으로 약 36개 과 이상의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지고 있어 국가적, 경제적 및 농가 개인적 피해를 야기 할 가능 성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CLRV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RT)-nesdted 중 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이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주로부터 CLRV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검출 감도, 특이성, 반응 시간, 단순성 등이 중요 요소였다. 그러나 RT-nested PCR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하지 않고, CLRV를 검출하는데 약 10시간 이상의 반응 시간이 소 요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등온증폭법을 이용하여 단순하고 신속하게 CLRV를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 였다. 등온증폭 반응은 RT-nested PCR과 동등한 검출 감도로 CLRV를 검출 하였다. 그러나 반응 시간 을 약 2시간 수준으로 단축하였으며, 6개 영역을 사용하는 등온증폭 프라이머의 사용으로 더욱 특이적 으로 증폭 할 수 있었다.
        4,000원
        3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possibilities of cultivating horticultural crops in the air-dome greenhouse in comparison to the common iron-frame greenhouse as the standard. The levels of carbon dioxide and atmospheric pressure measured inside the air-dome greenhouse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side the iron-frame greenhouse. Contrastingly, light intensity was relatively weaker inside the air-dome greenhouse due to the air-inflated double layers. Plants of melon and cherry tomato were cultivated from May 2 to August 12, 2016, respectively in the two greenhouses. For melon plants, growth in the air-dome greenhouse effectively increased fruit weight as well as trunk circumference compared to iron-frame greenhouse. Moreover, soluble sugar content of melon fruit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ultivated in the air-dome greenhouse. For cherry tomato plants, fruit yield of cherry tomat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side the air-dome greenhouse. Furtherm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ir-dome greenhouse was considerably effective in shortening the growing period of melon and cherry tomato plants in comparison to the iron-frame greenhouse.
        4,000원
        3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hot water pipe and a blowing fan were combined for developing zone heating technology for cherry tomato. The concept of this system was that hot air was firstly made by hot water pipe in one layer plastic duct and then a blowing fan made the hot air formed in a duct discharge through a duct hole to a shoot apex or a flower cluster which was temperature-sensitive part of cherry tomato. This system mainly consisted of hot water boiler, thermal tank, heat radiation plastic duct with the function of moving up and down electrically depending on the height of shoot apex.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the cherry tomato greenhouse located in Jangam Chungcheongnamdo from Dec. 28, 2015 to Feb. 16, 2016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entire space heating system of cherry tomato greenhouse and looked into cumulative yield for the estimate of growing state and energy saving rate from the conventional consumed energy. The result showed that cumulative yield was 3% higher and consumed energy was 32%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eenhouse. The average temperature of shoot apex zone was 0.4~1.1℃ higher and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of shoot apex zone was 2,2~2.3% lower than those of entire space during night time in a shoot apex zone heating greenhouse and the average temperature of shoot apex zone was 0.7~1.4℃ lower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shoot apex zone was 2.9~8.3% higher than those of entire space during night time in a entire space heating greenhouse.
        4,000원
        3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꽈리허리노린재는 가지과 및 메꽃과 기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꽈리허리노린재는 실내의 25℃ 조건에서 1세대는 평균 76일정도 소요 되며, 성충으로 월동하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일정한 주기 없이 알을 덩어리로 산란한다. 주로 잎 뒷면에 산란하며,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95개, 최대 468개까지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높아지며, 발육기간은 짧아졌지만, 25℃를 제외한 다른 온도에서는 탈피율이 30%이하를 나타냈다. 위 결과를 토대로 선형모델로 추정한 결과 발육영점온도는 13.9℃, 유효적산온도는 526.3DD를 나타냈다. 고추재배지에서월동 성충이 6월 말 평균기온 25.7℃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9월초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부화한 개체들은 성충이 될 때까지 이동성이 적었으며 밀집하여 분포하였다. 집단을 형성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Net cage와 Y-tube olfactometer를 이용한 행동실험 결과, 암컷은 수컷과 암컷이 모두 있는 곳을 선택하였지만, 수컷은 암컷과 수컷이 모두 없는 곳을 선택하였다. 수컷이 새로운 기주를 찾아 정착하면, 암컷은 기주를 독점한 동종이 많이 있는 기주를 찾아가는 교미와 관련된 행동을 나타냈으며, 통신화합물의 영향은 알 수 없었다. 집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꽈리허리노린재는 좁은 공간에서 집단으로 사육시 약충의 발육기간이 길고 우화율이 높아지는 반면, 개체 사육시 발육기간이 짧고, 우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넓은 공간에서는 집단으로 사육 시 약충의 발육기간은 짧고 우화율은 낮게 나타났다.
        4,000원
        4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ith various levels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omato powders as a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In study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s(p>0.05), except for Hunter L(lightness) and Hunter a(redness). Model sausages containing pressed cherry fruit extract(T1, 0.5% and T2, 1.0%) decreased lightness, whereas redness of REF(156 ppm sodium nitrite) was not different from T2(p>0.05). However, those with cherry fruit extract at 1% were proper to improve the hunter color values, especially redness values. In study 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 and tomato powders in selected nitrite contents, except for color and cooking loss(p>0.05). In color values, REF was the highest level, and T2, T4, and T5 was significantly low level in lightness (Hunter L). T2 was the highest value in cooking loss(%) among other treatments. The redness values(Hunter a) of T5(75ppm, nitrite, 1% pressed cherry fruit extract and 0.5% tomato powder) were not different from REF which had highest redness values(P<0.05).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pressed cherry fruit and tomato powder might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partially replace with sodium nitrite in pork model sausag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