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2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너지원으로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하니컴 구조를 갖는 모노리스에 10 wt% Ni/CeO2-ZrO2 촉매를 담지한 후 메탄의 수증기 개질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른 CeO2/ZrO2 몰비를 갖는 촉매들 중에서, Ni/CeO2-ZrO2(CeO2/ZrO2=4/1)촉매가 700-800℃에서 높은 메탄의 전환율을 보여 주었다. 10wt% Ni/CeO2-ZrO2 촉매가 담지된 금속 모노리스 촉매체는 높은 열전도도와 비표면적들로 인하여 좋은 촉매 특성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금속모노리스 촉매체는 반응물에서 과다의 수증기에 의한 수소 수율에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GHSV=30,000h-1, 반응물 비(H2O/CH4=3.0) 반응온도 800℃에서 금속모노리스 촉매체는 98%이상의 메탄의 전환율을 보여주었다. 생성물 가스에서 CO2/CO의 비는 수증기/메탄의 반응물비가 증가할수록 수성가스화 반응에 의하여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3.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Fe-Ni-B-Si-Cr based amorphous strips containing nitrogen were manufactured via melt spinning, and then devitrified by crystallization treatment at the various annealing temperatures of for up to 30 minutes in an inert gas atmosphere. The microstructures were examined by using XRD and TEM and the magnetic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sing VSM and B-H meter. Among the alloys, the amorphous ribbons of containing 121 ppm of nitrogen showed relatively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The alloy ribbons crystallized at showed that the grain size of alloy containing 121 ppm of nitrogen was about f nm, which exhibited paramagnetic behavior. The formation of nano-grain structure was attributed to the finely dispersed Fe4N particles and the solid-solutionized nitrogen atoms in the matrix.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ano-grain structure of 5nm in size could reduce the core loss within the normally applied magnetic field of 300A/m at 10kHz.
        4,000원
        2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use of as PCA(process control agent) to prevent the carbon contamination during mechanical alloying process and the precipitation behavior in Ni-20Cr-20Fe-5Nb bulk alloy after aging were investigated. NbC and were formed during mechanical alloying and consolidation processes in the Ni-20Cr-20Fe-5Nb alloy in which methanol() was added as PCA. Formation of NbC in this alloy decreased the amount of Nb dissolved in the Ni matrix. The use of as PCA in Ni-20Cr-20Fe-5Nb alloy prevented the formation of NbC and increased the hardness. The increase of hardness in this alloy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d amount of Nb dissolved in the Ni matrix. After aging treatment for 20 hours at of Ni-20Cr-20Fe-5Nb bulk alloy in which added as PCA, precipitates were formed, respectively.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s of and in this bulk alloy were lower than those in commercial IN 718 alloy. It seemed that the lower precipitation temperatures for and in this bulk alloy than in commercial IN 718 alloy were due to severe plastic deformation during mechanical alloying.
        4,000원
        25.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 of different cooling rate on the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e-3%Mn-(Cr)-(Mo)-0.3%C steels is described. Pre-alloyed Astaloy CrM and CrL, ferromanganese and graphite were used as the starting powders. Following pressing in a rigid die, compacts were sintered at and in atmospheres and cooled with cooling rates and . Convective cooled specimens were subsequently tempered at for 60 and 240 minutes.
        2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chanical alloying using high-energy ball mill and subsequent spark plasma sintering (SPS) process was applied to Al-Fe-Cr and Al-Fe-Mo powder mixture to investigate effects of Cr and Mo addition on thermal stability of Al-Fe, and thereby to enhance its thermal stability up to .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including micro-Vickers hardness test, SEM, TEM, X-ray diffractometry and corrosion test were carried out. It was found that addition of Cr and Mo to Al-Fe system played a role of grain growth inhibitor of matrix Al and some precipitates such as during SPS and subsequent heat treatment. The inhibition of grain growth resulted in increased Vickers hardness and thermal stability up to comparing to those of Al-Fe alloy system.
        4,000원
        36.
        2001.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28%Al(Fe3Al)과 Fe-28%Al-4%Cr(Fe3Al-4Cr) 금속간화합물을 대기중 1073, 1273, 1473k의 온도에서 최고 17일까지 장시간 산화시켰다. Fe3Al-4Cr의 산화저항은 근본적으로 Fe3Al과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우수하였다. Fe3Al 위에 형성된 산화물은 거의 순수한 α-AL2O3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며, Fe3Al-4Cr 위에 형성된 산화물은 약간의 Fe와 Cr 이온이 고용된 α-AL2O3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부산화막을 형성하기 위해 모재원소의 외부확산에 의해 산화물-모재 계면에는 Kirkendall 기공이 존재하였다. Fe3Al(-4Cr)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은 1273k가지는 비교적 얇고 치밀하였으나, 1473k에서 산화막의 박리와 함께 상대적으로 큰 무게증가가 발생하였다.
        4,000원
        37.
        2000.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Ni-Cr 합금의 용융염 부식거동을 650~850˚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용융염 LiCl에서 Cr을 포함하지 않는 KSA(Kaeri Superalloy)-1 합금은 Fe의 내부산화가 발생하고, Cr을 포함한 KSA-4, Incoloy 800H와 KSA-5는 LiCrO2의 치밀한 보호막이 형성되었다. 혼합용융염 LiCl-LiO2O에서 KSA-1은 Fe의 내부산화, KSA-4는 Cr의 내부산화가 발생하였고, Cr 농도가 높은 Incoloy 800H와 KSA-5는 LiCrO2의 다공성 피 이 형성되었다. 혼합용융염 LiCl-Li2O 에서는 Cr 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식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부식속도는 시간의존선을 8%Cr 이하의 합금에서는 포물선법칙, 8%Cr 이상의 합금에서는 직선법칙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Li2O에 의한 보호성 산화물 Cr2O3의 염기성 용해기구로 설명할 수 있다.
        4,000원
        38.
        2000.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열가공공정을 거쳐 제조된 Cu-Fe-Xi(Xi=Ag, Cr 또는 Co) 미세복합재료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냉각가공 중에 수지상정들은 인발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필라멘트 형태로 연산되었다. Ag를 첨가한 미세복합재료가 같은 가공율에서 Co나 Cr를 첨가하는 미세복합재료보다 미세조직이 더욱 미세하게 관찰되었다. 제3첨가원소로 Ag를 함유하고 있는 Cu-Fe-Ag 미세복합재료의 강도와 전도도는 Co나 Cr를 첨가하는 미세복합재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Cu-Fe-Ag 미세복합재료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전기적 특성은 Ag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필라멘트의 미세성과 균일성이 높게 관찰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Cu-Fe-Xi 미세복합재료의 강도는 Fe 필라멘트의 간격을 고려한 Hall-Petch 형태의 식과 일치한다. Cu-Fe-Xi 미세복합재료의 파괴는 연성파괴가 관찰되었다.
        4,000원
        39.
        199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계 합금의 적층결함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Mn이 Fe-20Cr-1C-Si 경면처리 합금의 변형유기 상변태거동과 상온 및 고온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5ksi의 접촉응력에 대하여 0~25wt.% Mn을 첨가한 시편은 모두 상온에서 마모손실량이 적은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Mn 첨가량이 5wt.% 이하인 시편의 경우 마모표면에서 γ→α'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반면 15wt.% 이상 Mn을 첨가한 시편에서는 γ→ε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C까지 고온 마모시험결과 γ→α'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5wt.% 이하 Mn 첨가시편은 Mn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모손실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Mn 첨가는 γ→α'변형유기 상변태에 있어서 고온 마모저항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Mn이 γ→α'변형유기 상변태의 M(sub)d 온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γ→ε변형유기 상변태가 일어난 15wt.% 이상 Mn 첨가 시편의 경우 Mn 첨가량 증가에 따른 고온 마모손실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γ→ε변형유기 상변태는 γ→α'변형유기 상변태에 비해 온도의 존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0.
        199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 계 합금의 적층결함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거승로 알려진 vanadium이 Fe-20Cr-1.7C-1Si합금의 미세조직과 고온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Fe-20Cr-1.7C-1Si-xV (x=0, 1, 3, 6, 10wt.%)조성에서 오스테나이트 기지상을 유지하면서 첨기될 수 있는 V의 최대 첨가량은 약 3wt.%이었으며 오스테나이트 기지상을 갖는 합금은 상온에서 낮은 적층결함에너지와 γ->α 변형유기 상변태에 의해 페라이트 합금보다 높은 마모저항성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225˚C에서 α 생성량도 많은 것으로 보다 V은 Fe-20Cr-1.7C-1Si 합금의 온도에 따른 적층결함에너지 증가율를 억제하고 Md온도도 증가시킴으로써 고온 마모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