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2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walking ability among patients with stroke after applying dual-task training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selecting intervention methods that enhance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at Rehabilitation Hospital B in Gyeonggi, South Korea from May 2014 to July 2014), 29 pati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ll of them understoo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VUDT) group(10 patients), a visual control dual-task(VDT) group(10 patients), and an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UDT) group(9 patients); all of the subjects received 30-minute trainings,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A Timed-Up-and-Go(TUG)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walking function among the subjects, and a 10m walking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walking spe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ll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dual-task training; the dual-task training group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showed the most prominent change. This study confirmed that dual-task training using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implementing dual-task training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can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rather than performing visual control dual-task training or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 training only.
        4,000원
        2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study on what kind of effect non-verbal communication in mobil electronic commerce has on purchase intention and visual at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produced arbitrarily was expos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that expressed non-verbal communication making use of cinemagraph images and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based on still images. For the study, survey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Data of survey research were analyzed by MANOVA and t-test, and by using eye-tracker experimental research recorded the duration of time that the subjects stared images.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 that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aw cinemagraph images recorded shorter average staring tim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saw ordinary images, and the cinemagrap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visual attention as well. And it was analyzed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had no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eople who saw cinemagraphs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had spent shorter time in seeing products than the people who saw ordinary images, but still the former came to have purchase intention on th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ful for marketers who try to sell agrifood in mobile environment.
        4,000원
        23.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examples of sub-optimal decisions in the marketplace have captivated the attention of media, business institutions, and public policy in recent years. For instance,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in the United States that led to the 2008 recession, the insufficient health care architecture that bolsters the debates among US houses on health care reform, and the problem of food epidemic resulting in obesity and various other health-related problems among the growing number of young people worldwide. Despite these examples, more work is needed to learn about the processes that contribute to better decision outcomes among the market participants. In all of these instances, decisions must have some objective quality (e.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e optimal choice) and not just subjective quality (e.g., feeling confident or satisfied). In light of the ever-increasing use of handheld devices (e.g., tablets and smart phones) and the expanding digital media sources to access marketplace information, there is a proliferation of global visual culture (e.g., Pinterest, Instagram, Facebook, etc. See for example: Walter, 2012).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major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 visual vs. textual – on consumer decision outcomes. This paper focuses its research question on examin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on consumer decision outcomes in complex choice environments (e.g., financial products). Using construal level theory (Trope & Liberman, 2003; Trope & Liberman, 2010),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visual vs. textual) on a set of credit card products. Preliminary analysis reveals that significantly more participants opted for the textual information format for choosing a credit card offer.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participants’ readiness and ability to make a choice based on the information format in the context of credit card offers. In addition, there is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who felt ready to make a choice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ir chosen format, and those who stated unable to make a choice. The seemingly apparent reason for this weak support for the visual effect in this study is the population of the sample. The participants were junior or sophomore students, 84 percent of whom aged between 20 and 22 years old. In a further examination of why participants felt unready/unable to make a choice, they stated the strong necessity to consult with parents, desire for more research and understanding, and the (lack of) usefulness of having a credit card for daily usage in their stage of life.
        2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지각 능력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대전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평균연령=89개월, SD=7.49)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쓰기 능력은 글쓰기 숙달도 선별 질문지(HPSQ), 시지각 능력은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 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 글쓰기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명료도는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속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시지각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1학년이 2학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글쓰기 능력과 비운동성 시지각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명료도는 전반적인 시지각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글쓰기 명료도는 시각운동통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수행시간과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년이었다. 하지만 안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 초등학교 저학년의 글쓰기 능력 훈련에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300원
        2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인 앨범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훈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10세 여아 1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2회기로 기초선 과정(A1) 3회기,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과정(B) 6회기, 재 기초선 과정(A2) 3회기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자신이 과제를 수행하는 사진으로 제작한 앨범을 이용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 없이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만 측정하였고, 중재 과정 6회기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후,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재 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과제 완수율만을 측정하였다. ◉ 결과 : 학용품 구매 활동에 대한 과제 완수율은 기초선 과정에 비해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기간 동안 50%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도움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재 기초선 과정을 통해 중재 종료 후에도 그 효과가 90%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결론 :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 활동 수준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중재는 지적장애 아동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향상시 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2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the postural control of stroke patients, by systematically varying conditions of visual feedback [eye-open condition (EO) vs. eye-closed condition (EC)], and base-support (both-side support, affected-side support, and unaffected-side support). In this study, we allocated 41 stroke patients with no damage in the cerebellum and visual cortex who can walk at least 10 meters independently, and 35 normal adults who have no experience of stroke to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asked to perform a "sit-to-stand" task three to five times, and their postural control abil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in terms of asymmetric dependence (AD) instead of the traditional symmetric index (SI)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both subject groups maintained better postural control in the EO condition than in the EC condition, the patient group appeared to be more stable in EC than in EO when they were required to perform the task of the support condition given on the affected side. These results implied that visual feedback can impair stroke patients' postural control when it is combined with a specific support condition.
        4,200원
        2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자세조절과 시지각 능력은 일상생활 및 학습을 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고 이러 한 요소는 뇌성마비 아동을 치 료하는데 주된 목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안구운동프로그램이 자세조절과 시 지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5월 1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P복지관에 내원하는 만4세~8세 경직형 뇌 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10명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명씩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안구운동프로그램과 함께 일반적 작업치료를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작업치료를 시 행하였다. 안구운동 프로그램은 단속성안구운동, 이접안구운동, 추적안구운동, 전정안구운동 4가지로 구성되어 있 다. 활동 중재는 1회 40분씩 주 3회로 8주 동안 제공되었다. 중재 전∙후에 대한 평가는 대동작기능평가(GMFM), 소아균형척도(PBS), 소아뻗기검사(PRT)와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K-DTVP)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안구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에서는 GMFM, PBS, PRT와 시각통합을 제외한 K-DTVP 모든 하위평 가항목에서 중재 전과 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에서는 PRT와 K-DTVP의 눈손협응과 공간위치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 의 평가 점수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평가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자세조절 과 시지각 기능 향상이 대조군보다 더 좋음을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안구운동프로그램 중재가 자세조절 및 시지각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4,300원
        2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isual biofeedback's influence on trunk muscles' (EMG) activity and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whole-body tilt exercise. For the study, we recruited 14 volunteers who showed no symptom of lumbar disease during medical tests. We measured the EMG activity of their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 and erector spinae muscles, and their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anterior and posterior whole-body tilt under two conditions: whole-body tilt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Resistance with gravitational force on the trunk during whole-body tilt was applied by using a device that had a monitor on which the subjects could check their alignment and that sounded an alarm if a subject's alignment collapsed. The study showed an increase in the EMG activity of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rectus abdominis ratio and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both anterior and posterior whole-body tilt with visual biofeedback compared with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We suggest that the whole-body tilt exercise with visual biofeedback could be a beneficial strategy for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in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minimizing the rectus abdominis muscle's activity while maintaining correct alignment during whole-body tilt exercise.
        4,000원
        2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지각 능력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대전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평균연령= 89개월, SD= 7.49)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쓰기 능력은 글쓰기 숙달도 선별 질문지(HPSQ), 시지각 능력은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 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과: 연구 결과 글쓰기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명료도는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속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시지각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1학년이 2학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글쓰기 능력과 비운동성 시지각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명료도는 전반적인 시지각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에서는 글쓰기 명료도는 시각운동통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수행시간과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년이었다. 하지만 안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초등학교 저학년의 글쓰기 능력 훈련에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300원
        3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되먹임 제공 및 차단으로 시행된 자세수직훈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뇌졸중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교차중재 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하였으며, 밀기증후군 환자 3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치료중재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 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밀기증상의 기능회복 평가는 밀기 증후 척도,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델지 수 및 실험 전∙후 대칭적인 서기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근전도기로 양측 중둔근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밀기 증후 척도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 하여 52.4%(5.3점에서 2.8점), 36.4%(4.4점에서 1.6점) 및 23.6%(3.6점에서 0.9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42.9%(5.3점에서 2.3점), 26.1%(4.4점에서 1.2점) 및 13.2%(3.6점에서 0.5점) 향상되었다. 대상자 1, 2, 3의 바델지수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하여 22.4%(44.3점에서 54.1점), 15.5%(44.7점에서 51.6 점) 및 15.8%(51.5점에서 59.6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17.0%(44.3점에서 51.8점), 11.4%(44.7점에서 49.8점) 및 14.8%(51.5점에서 59.1점)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후 환측의 중둔근 근활성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 교대로 적용된 치료중재 결과를 통하여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보다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에서 시각적 요소인 영상과 자막이 정부의 4대 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이슈관여도에 따라 그러한 시각적 요소가 ‘주변단서(peripheral cues)’로써 수용자의 태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점화효과 이론과 정교화가능성 모델 이론을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2009년 MBC 뉴스데스크를 통해 방송된 뉴스 중에서 정치, 경제, 환경 분야의 뉴스, 총 40개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4개의 클립을 구성하고, 오디오 클립, 무자막 비디오 클립, 자막 비디오 클립 등 3가지 형태로 모두 12개의 클립을 제작하여, 335명의 대학생들을 노출빈도와 노출형태에 따라 6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클립들을 시청하게 하였다. 사전 설문조사, 4주간의 실험, 사후 설문조사의 순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성별, 미디어 소비량, 관여도 등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영상과 자막이 4대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점화효과(visual priming)’가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관여도와 시각적 요소의 상호작용효과 관련 가설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지는 못했지만, 영상은 이슈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 집단에게 주변단서로, 그리고 자막은 이슈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 집단에게 중심단서로 사고의 정교화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6,700원
        3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미적 속성을 가진 시각과 청각자극 간의 SOA(stimulus onset asynchrony)가 시청각 통합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청각 통합 현상 중 표적을 의미하는 자극의 양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표적에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중복 표적 효과(redundant target effect)와 청각 자극에 비해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시각 우세성 효과(visual dominance effect)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시각과 청각 단일 양상 표적 조건과 다중 양상 표적 조건을 구성하여 조건들의 반응시간과 정확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 청각자극의 SOA가 변하더라도 중복 표적 효과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자극 간의 SOA가 100ms 이상인 조건에서는 청각자극의 우세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복 표적 효과의 경우 두 양상자극 간의 SOA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속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청각자극의 경우 시각자극에 비해 약 100ms 이상의 시간적 이득조건이 마련되었을 때에 비로소 우세한 정보처리의 행동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3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3 types in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VR). whlch are desk-top type, projection type and HMD type. and its development has been motivated by HMD and connected tracking devices with it. As Virtual Reality is that observers perceive a virtual environment structured by computer as a reality through man's all senses, it is known that 80% or more information is received by visualization. Virtual stereoscopic display is divided into glasses and non-glasses types depending on whether observers need to require the glasses additionally and Lhere are HMD, shutter, polarized, color difference methods in the glasses' type. Adverse side- effects while immersed in VR or after VR are divided into visual ones resulting from vestibular-visual conflicts and non-visual ones resulting from instrument myopia, disagreement between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etc. As stereopsis is well adapted by time going, non-visual side-effects are tend to reduce while visual ones a re not, it is necessary to have an effort to follow- up their causes and eliminate them.
        4,000원
        3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입체 영상이 가지는 특성과 시청환경의 특성에 따라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각적 피로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깊이방향의 운동속도와 응시거리 각각을 입체 영상과 시청환경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삼고 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시각적 피로도는 눈통증 요인, 시각적 스트레스, 어지러움 요인, 신체 통증 요인, 상흐림 요인으로 구성된 피로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깊이 방향의 운동속도를 변화시킨 자극을 40분간 제시하면서 10분, 20분, 40분에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전체 피로도 점수는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운동 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 개의 하위척도들 중 어지러움 하위척도 점수에 서만 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동일한 입체 영상을 응시거리만 변화시켜가면서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피로도 점수는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응시거리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 개의 하위 척도들 중 상흐림 하위척도 점수에서만 응시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입체 영상의 특성이나 시청환경에 따라 시각피로도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시각피로도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시각피로도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300원
        3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균형에 이상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적용하고,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으로 기립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반복 측정하여 시지각 훈련이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로 설계되었다. 연구기간은 기초선 1은 1주간의 3회기, 중재 적용기간은 4주간의 12회기, 기초선 2는 1주간의 3회기로 총 6주간 이루어졌다. 기초선 1과 2기간 동안 시지각,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한 후 매 회기마다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에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균형능력은 안정성 지수에 대한 기술통계, 회기별 변화정도는 시각적 분석으로 하였다.결과 : Dynavision 2000 중재기간 동안, 성인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이 중재 전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균형능력이 유지되었다.결론 : Dynavision 2000을 이용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연구에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 대조군을 이용한 집단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4,500원
        3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ed and actual corporate image in the market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green-oriented corporate identity (CI) visual design as a useful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how green-oriented CI visual design can effectively convey corporate image to consumers. The methods of research used to achieve this aim were case studies and questionnaire surveys. In regard to the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consumers'perceived favourable corporate image and companies' expectation about corporate image was found.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green-oriented visual identity (VI) design can improve corporate image. In turn, the gap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perception of corporate image can be decreased through green-oriented design. Based on these results, a method of effective development for green-oriented VI design is recommended.
        5,200원
        3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각과 청각으로 표현된 디지털 콘텐츠가 감각표현을 확장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최근에는 촉각 표현이 가능한 다양한 촉각 표현 시스템이 개발하여 촉감을 표현하는 디지털 콘텐츠 개발하고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촉감각 표현시 다른 감각과의 동기화가 중요한 표현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햅틱(haptic)표현이 다른 감각에 비해 표현 지연 발생할 경우 실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시각 및 햅틱 지연 시간을 0.5, 1.0, 2.0, 4.0(초)로 설정하여 각 지연에 대한 실감도 평가를 실시하여 선형 회귀 분석하였다. 촉각 지연 보다 시각 지연에서 실감도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지연 시간이 길어질수록 실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촉감 표현에 대한 지연이 시각 지연 보다 관대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시각적 주의력에 대한 Dynavision의 훈련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편측무시 증상을 나타내는 좌측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 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에서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를 하지 않고 시각적 주의력을 대변하는 Dynavision 불빛에 대한 반응 시간과 반응횟수를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치료 기간에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 후 반응시간과 반응횟수를 측정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은 visual tracking, self-paced, digital flash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3주 동안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 편측무시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선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횟수가 증가되었고 반응시간은 감소되었다. 또한 Dynavision 치료 후에 선나누기 검사의 오류 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 Dynavision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증상과 이와 관련된 시각적 주의력을 향상 시키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이다.
        4,000원
        39.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udio-visual modeling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ve program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observing these various models on the capacity of stroke patients to perform upper limb activities. Twenty-on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sk modeling, sport modeling, or control group. During 2 weeks of intervention, subjects in all groups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practice of experimental tasks. These tasks comprised of a Nine Hole Peg Test,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s, and locomotion. These tasks were performed 5 days a week, 30 min per day. In addition to the physical practice, the task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experimental tasks and locomotive activities for 20 min, while the sport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various sport activities for 20 min.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experimental tasks was measured 3 time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week after the intervention. Analyses of the capacity to perform upper extremity activitie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pre-test to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in all groups. However, the amount of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task modeling group. The task model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all experimental tasks, whereas the sport modeling group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o-visual mode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gnitive intervention for facilitating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and its rehabilitativ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 program is comprised of performance scenes directly related to the target task.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