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38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on biological activity of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and to screen effective starter culture strain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gallinarum and antioxidant activity a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DPPH were tested. Total six starter culture strains, two of Lactobacillus brevis, one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thre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used. Plant extract was prepared after fermentation by using ethanol. All strains showed normal growth in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cultures and L. plantarum showed the highest cell growth significantly (p
        38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383.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raw and black Doraji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order to prepare the black Doraji, it was steamed for 15 days at a temperature of 60℃ and then it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30℃ for 3 hr.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black Doraji (BM)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mong the extract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 from a black Doraj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tract from a raw Doraji.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hot-water extract from a black Doraji (BW) was the highest (7.94 mgQE/g) among the sample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Doraji extracts. The BM has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extracts. Each extract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tested strains. The Black Doraji showe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the raw Doraji. The hot-water extracts demonstrated higher activities than the methanol extracts, and the BW revealed the strongest activity. In this study, the black Doraji showed more effect of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raw Doraji.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sitological value and the black Doraji can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 foods.
        38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levant main constituents of rosemary are compound of a vast number of polyphenolics, including carnosic acid, carnosol, rosmarinic acid, and ursolic acid. Recently, phenolic compounds of plant origin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their beneficial functional and nutritional effect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effect of carnosic acid on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2,2-diphenyl-1-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bacteria counts in white sausage during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ddition of carnosic acid was decreased of pH, TBARS, VBN, and enhanced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white sausage. These activ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arnosic acid. Furthermore, the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rnosic acid against pathogenic bacteria (Escherichia coli KCCM 11234 and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were measured. Carnosic acid showed noticeable inhibitory effects on E. coli and S. enteritidis. In conclusion, carnosic acid might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white sausage.
        38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비누에 흔히 사용되는 항균성분인 PCMX와 IPMP에 대하여 ASTM E2752-10 (Standard Guide for Evaluation of Residual Effectiveness of Anti- bacterial Personal Cleansing Products)에 기술된 cup scrub method에 따라 항균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건강한 남녀 총 8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5%PCMX와 0.1% IPMP를 함유한 액체비누는 대조군에 비해서 E. coli와 S. aureus의 수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27시간 동안 항균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성분의 지속력에 대한 인체적용 시험은 국내에서는 처음 시행된 것으로 결과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388.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d to assess its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s of the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ere 5.58, 37.16, 13.69, 3.52, and 40.05%,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in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as 391.99 mg%. The major free sugar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ere fructose(3.29%) and sucrose(1.74%). Linoleic acid(79.46%) was a major fatty acids in the crude fat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The K and Ca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arthamus tinctorius L. seed.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the ethanolic extract were 55.52 ± 0.99 mg GAE/g and 78.69 ± 0.91 mg QE/g, respectively. The extract from Carthamus tinctorius L. seed showed growth inhibitory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Clustridium perfring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can inhibit food pathogen associated with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38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bacterial activity is an important feature for the development of antibiotics alternatives. Plant extract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organic farming. In this study, a total of 11 plants were extracted using ethanol to determine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o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s, Mannheimia haemolytica and Salmonella gallinarum. The synergistic interaction among plant extracts was also investigated. Plants used in this study were Carthamus nctoricus L. (pA), Poncirus trifollata Raf. (pB), Scutellaria balcalensis Georgi (pC) Prunus sargentii (pD), Cucurbita moschata DUCH Leaf (pE), Allium cepa L. peel (pF) Portulaca oleracea L. (pG), Xanthium strumarium L. (pH), Duchesnea chrysantha (pI), Cudrania tricuspidata (pJ) and Juniperus chinensis L. (pK). The pB and pA had the most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an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to Staph. aureus among plant extract, respectively. In the synergistic interaction, the mixtures of pA and pC as well as pA and pF had batt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Staph. Aureus compared with other mixtures.
        390.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ealthy foods or natural preservatives with garlic (Allium sativum L.), ginger (Zingiber officinale R.) and onion (Allium cepa L.). The polyphenol contents of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analyzed, and they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lity (NSA).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tested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The yield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28.2, 24.3 and 38.3 percent,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254, 1,523 and 412 mg/100 mL, respectively. The EDAs of the garlic and ginger juice ranged from 95 to 98 percent and over 90 percent in the 40 percent diluted solution. Their SOD-like activities were 64 and 67 percent, repectively. Onion juice had lower activities in EDAs and SOD-like activity than those of garlic and ginger juice. The NSA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56.5, 52.4 and 50.2 percent, respectively. The garlic juic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and the highest such activity against Sal. typhimurium. From 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garlic, ginger, onion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s and can help develope healthy foods because of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bundunt polyphenols.
        391.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ssis crispa was cultivated using soybean curd whey,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those of eight microorganisms that were foodborne pathogens or food-poisoning bacteria. The culture broth of soybean curd whey was superior in mycelium content (17.76 g/L) to that of the defined culture broth, and the β-glucan content was about 10.64 percent (w/w).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ulture broth were confirmed against those of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using the paper disk metho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lso maintained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alcalase treatment. The filtrate with less than 3 kDa M.W. also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ur strains: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bout 1.26 mg/mL in the B. cereus and 12.6 mg/mL in the St.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S. typhimurium showed a MIC of 62.8 mg/mL. Thus, the culture of Sparassis crispa using soybean curd whey provides a thermally stable antimicrobial agent that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the biofood industry.
        39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 were isolated electively by bioconversion technology from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to evaluate the anti-wrinkles effects and anti-microbial effects. In order to evaluate anti-wrinkles activity, reduction of expression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protein and proliferation/ pro-collagen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Kaempferol and α-rhamnoisorobin showed inhibition activity of MMP-1 generated to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In HaCaT cell proliferation assay, kaempferol and α-rhamnoisorobin significantly promoted cell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procollagen synthesis assays (by HDF-N cell) showd that TGF-β induced procollagen production and also, all four kinds of experimental significantly promoted procollagen synthe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Kaempferol and α-rhamnoisorobin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on five of microb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39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75%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by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5 mg/disc. Howev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1 mg/disc. On the other hand,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 In the cell viability of Raw 264.7 by MTT assay, the extract and all fractions were exhibited normal viabilities as nontoxic result. Consequently, the extract from the leaves of P. sargentii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ntibacterial activity related fields. Moreover,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candidate materials as anti-inflammatory agent.
        39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청의 이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 확보 측면에서 식물체 부위 및 추출 용매별에 따른 항산화 효소 활성 및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APX(Ascorbate Peroxidase) 활성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 잎의 메탄올 추출물, 잎의 증류수의 추출물 순으로 높아 각각 1601.7, 1133.7 및 524.3(Unit/mg protein)을 나타냈다. CAT(Catalase) 활성은 꽃의 에탄올 추출물, 잎의 메탄올 추출물, 꽃의 증류수 추출물 순으로 높았는데, 각각 177.1, 120.8 및 55.4(Unit/mg protein)를 나타냈다. POD(Ascorbate Peroxidase) 활성은 꽃의 에탄올 추출물, 꽃의 메탄올 추출물, 줄기의 증류수 추출물 순으로 높았으며, 각각 27.1, 14.6 및 10.4(Unit/mg protein)를 나타냈다.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뿌리의 증류수 추출물, 꽃의 메탄올 추출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높았으며, 각각 90.8, 80.1, 75.5%를 나타냈다. 대청의 꽃 추출물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만, 뿌리는 Staphy lococcus aureus에 대해서만, 줄기 추출물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taphy lococcus aureus에 대해서만 용매에 관계없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대청 잎의 증류수 추출물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저해환 직경이 각각 30.0 및 24.0 mm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약용식물로서 대청의 가치가 높음을 시사해 주었다.
        395.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 농도 500 μg/ml에서의 87.53%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VLC로 분획한 XS-3-2의 처리농도 500 μg/ml에서 78.72%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PCL법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XS-1에서 13.32 nmol과 open column XS-3-2에서 14.34 nmol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XS-2의 처리농도가 500 μg/disc에서는 1 mm의 clean zone이 형성되었다. XS-3에서 DPPH와 PCL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높았지만 항균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창이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은 상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39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항균 활성을 지니는 식물추출물을 찾고 화장품에서 방부제로서 적용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통해 3가지 식물 추출물, 함박꽃나무(천녀목란, Magnolia sieboldii), 오배자(Rhus chinensis), 메타세콰이어(Metasequioa glyptostroboides)가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물질의 최소저해농도 (MIC)를 측정한 결과 메타세콰이어는 0.3 ∼ 0.35 %, 함박꽃나무는 0.35 ∼ 0.4 % 농도에서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고 오배자는 0.45 ∼ 0.5 % 농도에서 세균의 생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물 내의 항균 활성을 지니는 성분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메타세콰이어에서 분리한 caryophyllene oxide와 caryophyllene, 함박꽃나무에서 분리한 costunolide와 dehydrocostus lactone, 오배자에서 분리한 ethyl gallate, ethyl-3-gallate 등이 항균활성을 지닌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O/W 에멀션 제형에서 식물 추출물을 넣고 방부력을 확인한 결과 혼합사용 시 세균과 곰팡이 모두에 대한 방부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함박꽃나무, 오배자,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의 혼합물은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97.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수수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미국 수수 수집종은 200 cm 이상의 큰 초장을 보였으며, 간경 또한 2cm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수수 수집종 중에서는 Sweet-N-Sterile(#4)이 가장 우량한 수수의 생장 특성을 보였다. 수수의 DPPH를 이용한 활성 검정 결과, Premium stock(#1), Early Sumac(#7), SS Silage(#9), WGF Grain Sorghum(#11) 4개의 수집종에서 기존의 항산화제인 α-tocopherol과 BHA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BHT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미생물 실험결과 BMR Gold I(#3)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Escherichia coli에서 125 μg/ml으로 높은 활성수치를 나타냈다.
        398.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5종의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6종의 균주 중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spergillus flavus에 대해 대부분의 색소혼합조성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roteus vulgaris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 항균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색소종류별로는 자색고구마, 여주, 파프리카, 뽕잎, 지치 등의 색소 조성물에서 다른 색소 조성물에서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양파껍질, 파프리카, 적양배추, 뽕잎, 포도과피, 오디, 레드비트 색소 함유 조성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는 특히 pH 1.2에서 적양배추, 포도과피, 오디, 백년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색소에서 7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수행한 본 실험을 통해 천연색소의 높은 항균효과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기능성을 활용한 안전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39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식물은 피부와 모발을 보호하는 잠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약용식물의 유용 성분들은 대부분 비수용성 약용성분들이므로 수용성 분자 담지체인 β-cyclodextrin을 이용하여 초분자 복합체를 형성시켜 기능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약용식물의 유용 성분이 함유된 크림, 샴푸, 바디워시, 그리고 헤어토닉은 계면활성제, 방향제, 약용식물 추출물과 β-cyclodextrin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복합체를 함유한 샴푸 및 바디워시에서 그람 양성균들과 비듬균으로 알려져 있는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과 균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HDF (human dermal fibroblast)에 대한 초분자체의 독성실험결과, 초분자체의 함량이 1 mg/mL 이하의 경우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약용식물 추출물과 약용성분 초분자 복합체에 대한 세포무독성을 확인하고 항균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기능성 화장품 제조 시 안정성과 기능성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였다고 사료된다.
        40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몬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은 노화방지, 살균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효과는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과 paper disc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 오일들과 혼합오일의 항산화와 항균 활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레몬 오일은 높은 DPPH 소거능을 보였으나 유칼립투스 오일은 아주 약한 소거능을 보였다. 두 오일을 혼합한 경우에는 효과가 증대되지 않았다. Paper disc 기법을 이용한 항균 효과 시험에서는 두 오일 모두 Candida albicans (C. albicans)와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에서 항균력이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인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오일을 혼합 하였을 때 P. acn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레몬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의 혼합 오일은 천연성분으로서 균으로 야기된 문제성 피부나 여드름 피부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