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2

        421.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intravenous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rt-PA) therapy is recently not recommended in elderly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although old age is not a proven contraindication to intravenous rt-P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prognosis of intravenous thrombolysis in elderly patients.
        422.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mplicit, explicit, and similar task learning strategies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badminton overhead stroke skill. Methods: Participants were 40 right handed 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se age ranged from 18 to 27, with a mean age of 21.5 yea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1) explicit group, (2) implicit group, (3) similar task learning, and (4)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badminton overhead stroke (receive returning) task for 40 times in the acquisition phase, 20 times in the retention phase and 20 times in the delayed retention phase a week later. A 4(groups)ⅹ4(types of learning phrase), 4(group) ⅹ2(types of learning phrase), and 4(group)ⅹ2(types of learning phrase)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were used for the acquisition, retention and long term retention phases, respectively. Dependent variables were absolute error(AE) and variable error(V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learning group presented less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Specially,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had less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group. In regard to variable error,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and the implicit group showed less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retention phas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task group had lower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long term retention phase,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had lower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Specially in absolute error, the similar task group showed lower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implicit, and the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implicit and similar task learning groups showed statistically less error tha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milar learning group and the implicit condition, the similar task group has a tendency to decrease variable in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s. Conclusion: The similar task learning strategy may have more potential to improve motor skill learning than those of explicit strategy.
        423.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on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not image training with visual stimulation for specific task. Methods: Thirty inpatients(15males, 15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stroke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also they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was performed in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control group took a rest, respectively.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program was modified using body scan part of Mindfulness Based on Stress Reduction(MBSR) for present study, then it was spplied individually for 4weeks, 5days a week for 10 mi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s training program, data of muscle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biceps brachii, upper trapezius and deltoid muscles through electromyogram(EMG). Results: By comparison of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muscle activities from all theree of muscles after therapeutic intervention(p<.001). In particular, increment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higher tha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combined with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result in increase of muscle activity of upper limb, suggesting it is beneficial for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427.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bulatory arterial stiffness index (AASI) and abnormal dipping patterns have been suggested as a risk factor for strok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AASI might be confounded by dipping patterns as a prognostic marker.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data of 869 hypertensive patients for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of stroke with AASI and dipping patterns. AASI was higher in patients with stroke than in patients without stroke (0.47±0.16 vs. 0.41±0.17; p=0.083) and inversely related with nocturnal systolic BP reduction (r=–0.21; p<0.001).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predictors of AASI were 24-hour pulse pressure (β= 0.447, p<0.001) and nocturnal dipping (β=–0.178, p<0.001). The odds ratio (OR) for stroke associated with AASI was 0.86 (95% confidence interval (CI), 0.29–2.5; p=0.777) after multivariate adjustment. Higher OR was observed for non-dippers, extreme-dippers, and reverse-dippers than for dippers (OR 1.57; 95% CI 1.02–2.4, p=0.04, OR 2.71; 95% CI 1.06–6.88, p=0.037, OR 2.56; 95% CI 1.56–4.2, p<0.00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pping pattern has a stronger association with stroke than AASI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428.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robot-assisted hand rehabilitation(AmadeoⓇ) on han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s across individuals. Three chronic stroke survivors with mild to sever motor impairment took part in study. Each participants had 2 weeks interval of starting intervention. Participants received robot-assisted therapy(45min/session. 3session/wk for 6wks). Finger active range of motion(AROM) was assessed by Range of Assessment program in AmadeoⓇ,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effect of AmadeoⓇ, finger AROM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each sessions and Fugl-Meyer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Motor Activity Log, Nine hole peg board test and Jebsen-Taylor hand motor function test were assessed at pre-post intervention. Results were analyzed by visu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pre-post tes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Range of Assessment was good(r=.99). After robot-assisted therapy, finger AROM of participant 1, 2, and 3 was respectively improved by 18%, 3.6%, and 6% each. Hand motor function of participant 1, 3 was improved on all four tests, but not effect in participant 2. Robot-assisted hand rehabilitation could improve finger AROM and effect on han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42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뇌졸중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구리시에 위치한 S요양원을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3회 실시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12명과 원예치료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생활만족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생활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원예치료를 받은 실험군에서 전체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미래 생활만족도의 경우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미래생활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 노인들이 과거와 뇌졸중을 앓고 있는 현재의 현실적 상황에 대한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미래를 생각하고 긍정적 자세를 갖고자 하는 열망이 생겼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식물재배, 식물을 이용한 작품 만들기, 다양한 꽃꽂이의 형태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시설 노인들에게 전문적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널리 적용한다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430.
        2013.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rebral infarction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worldwide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from a singledisease in South Korea. Each year, 795,000 people in the U.S. experience a new or recurrent stroke. Approximately 15-30% of cerebral infarctions are of embolic origin related to cardiac abnormalities. Because determination of the etiology of cerebral infarction is crucial to acute management and future prevention,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finding the cardiac source of embolism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We report on a case of cerebral infarction by a small papillary fibroelastoma on the mitral valv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open heart surgery and closure of the patent foramen ovale to prevent further embolic events.
        431.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상지 움직임의 시간적 협응성에 따른 양측성 협응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칭적 움직임(동일 위상)을 포함한 양측성 협응 운동이 비대칭적 양측성 협응 운동 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회복에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다기초선 단일피험자 연구설계로 총 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각각 2명씩 대칭과 비대칭적 양측성 훈련에 참여하였으며, 운동학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훈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피험자들은 4회와 8회의 단측성 훈련을 수행하고 대칭과 비대칭 양측성 훈련으로 전환하여 8회와 4회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칭적 훈련 집단은 기능적 뻗기 평가에서 비대칭적 훈련 집단보다 최대속도가 증가하고 운동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JTT 세부과제에 대한평가에서는 훈련집단에 따른 일관성있는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근위관절과 관련된 JTT 전체시간에서는 대칭적 훈련 집단이 비대칭적 훈련 집단보다 수행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칭적 양측성 운동이 양측성 협응 운동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433.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상지기능의 향상 정도를 운동기능 평가와 운동학적 측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19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과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으로 무선할당하여 12주간의 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재활운동 프로토콜은 T-바 밀고 당기기, 손목 들어올리기, 암-컬(arm-curl), 전완 비틀기, 손가락 사다리의 5가지 세부 운동방법으로 구성되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각각의 운동과제를 수행할 때 환측 상지와 정상측 상지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운동과제를 환측 상지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훈련그룹에 따른 재활운동참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Fugl-Meyer Assessment, Box and Block Test, 그리고 3차원 영상 분석을 사용하였다. FMA와 BBT는 환측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QUALISYS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은 뻗기 동작 수행시 환측 상지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재활운동참여를 통해 FMA 점수와 BBT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운동시간과 저크코스트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의 경우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에 비해 저크코스트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활운동참여의 긍정적 효과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토콜의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34.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하장애는 뇌졸중 후 환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하지만 동시에 매우 심각한 증상이다. 기도 흡인을 동반한 뇌졸 중 환자는 탈수, 영양실조, 폐렴, 폐혈증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최근까지도 구개반사와 숨막힘 경험 등이 기도흡 인을 결정하는 임상적 지표로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통해 기도흡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식이 형태를 선택하는데 있다. 58명의 뇌졸중 환자와 10명의 정상 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액체, 푸딩, 요플레, 밥 등을 바륨과 혼합하여 투시를 실시하며 먹게하였다. 두명의 재활의학과 의사와 한 명의 방사선사가 위상(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을 분석하였고, 식도 통과시간을 체크하였다. 인두기는 38명의 환자에서 비정상으로 나타났고, 13명의 환자가 구강기와 인두기에서, 3명의 환자는 구강기에서 2 명의 환자는 인두기와 식도기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전체 환자중 43명(65.2%)에서 기도흡인을 보였고, 그 중 23명은 턱을 치켜 올리는 자세를 취하여 개선이 관찰되었다. 흡인이 일어난 환자중 34명은 액체타입에서, 2명은 죽 타입에서 흡인이 일어났고, 밥에서는 흡인이 없었다. 비디오투시 검사 결과를 통해 비위관을 통해 음식을 섭취하던 23 명중 13명이 구강으로 섭취방법을 변경하였으며, 구강 섭취를 하던 43명중 2명은 비위관으로 섭취방법을 변경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디오투시 연하조영검사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환자의 기도흡인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 다.
        436.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상지 운동기능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손상측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10명의 만성 뇌졸중 노인들이 양측성 훈련과 단측성 훈련에 각각 5명씩 참여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동작분석 시스템, 경두개자기자극기, 근전도 기기, 재활훈련도구가 사용되었다. 훈련과제는 나무 말뚝 옮기기, 나무 팩 맞추기, 그리고 물 마시기 모방 과제로 구성하여 주 2회 총 16회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측성 훈련 집단은 기능적 뻗기 검사에서 최대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운동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검사에서도 씨앗 옮기기, 무거운 물건 옯기기 과제에서 수행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두개자기자극기를 활용한 신경생리적 검사에서도 130%, 140%, 그리고 150% 자극 강도에서 운동유발전위의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손상측 상지의 운동기능회복과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437.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술수준과 공 속도에 따른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타이밍 제어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전국대회에서 상위 5위 이내에 입상한 경력이 있는 숙련자 5명, 대학탁구 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 중인 중간숙련자 5명, 그리고 탁구 수업경험이 있는 초보자 5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였다. 실험과제는 다양한 속도조건에서 투사되는 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반대편 코트의 목표지점으로 포핸드 스트로크를 하는 과제로 하였다.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동작 분석을 위해 2대의 카메라로 비디오 촬영을 실시하였고, KWON3D를 사용하여 백스윙 시점의 공과 눈까지의 3차원 좌표를 구하여 타우(tau: τ)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타우값을 기술수준과 공 속도조건별로 이원변량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 속도별 기술수준에 따른 타우값으로 본 백스윙 시점은 느린 속도조건에서는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백스윙 시점이 늦었고, 중간 속도조건과 빠른 속도조건에서는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백스윙 시점이 빠른 특성을 보였다. 둘째, 기술수준별 공 속도에 따른 타우값으로 본 백스윙 시점은, 초보자와 중간숙련자는 속도조건별로 공 접촉순간까지의 시간에 차이가 많았지만, 숙련자의 경우에는 모든 속도조건에서 접촉시간때까지의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교적 일정한 값으로 동작 시작의 타이밍 제어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기술 숙련성이 높을수록 공 속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접촉시간정보인 타우값에 의해서 동작 시작의 타이밍이 제어되는 반면, 초보자와 중간숙련자는 공의 속도에 따라서 백스윙 시점의 접촉시간정보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39.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 기능회복을 위해 신경근 전기자극기법과 양수협응운동기법을 병행한 양측성 복합훈련 프로토콜의 효과를 검증하고 또한 원위운동기능 훈련이 근위운동기능향상으로 전이될수 있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집단을 양측성훈련집단(11명)과 단측성훈련집단(10명), 그리고 통제집단(5명)으로 분류하고, 조준운동과제를 이용 사전검사실시한 후 양측성훈련 프로토콜과 단측성훈련 프로토콜, 그리고 무훈련프로토콜을 각 각의 집단에 적용한 후 다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측성복합훈련집단은 운동시간이 감소하였고, 최대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최대속도의 가변오차가 감소하였으며, 감속구간경과시간이 감소하여, 손상측 상지의 운동기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측성복합훈련 프로토콜을 적용을 통한 상지 운동기능향상의 전이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용성을 뒷받침하고 확장하는 결과를 얻었다.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