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45

        44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es of the middle slab in a double-deck tunnel owing to the slab lift to replace the underlying elastic pads during maintenance workMETHODS: The middle slab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ections: typical section, expansion joint section, and emergency passageway section.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s of these three sections of middle slab were developed, and the stress distribution and maximum stresses were obtained using the models when the middle slab was lifted to replace the underlying elastic pads. Various slab lifting method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uch as one-, two-, and multiple-point lifts, distributed lifts, and one or both slab side edge lifts.RESULTS: When the slab side edge is lifted, the longitudinal stresses of the slab are almost the same as the principal stresses. This implies that the governing stresses are the longitudinal stresses. The maximum stresses with both-edge lifts a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with one-edge lifts at all three sections of middle slab.CONCLUSIONS: If the middle slab in a double-deck tunnel is lifted for maintenance, the slab should be lifted at multiple poi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duce the tensile stresses.
        4,000원
        442.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high value ecological conservation Unjangsan (Mt.), Jeollabuk-do,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04 taxa including 107 families, 343 genera, 530 species, 5 subspecies, 58 varieties and 11 forms. The rare plants were 12 taxa including Paeonia japonica (VU),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LC), Cynanchum inamoenum (VU), Schpolia japonica (LC), Scrophularia koraiensis (DD) and so on.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6 taxa including Pseudostellaria coreana, Clematis trichotoma, Stewartia pseudocamellia, Ajuga spectabilis, Cirsium setidens and so on.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0 taxa, a degree I were 29 taxa (Sisymbrium leteum, Ilex macropoda,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Cirsium pendulum, Veratrum versicolor and so on), 21 taxa of a degree II (Morus cathayana, Phellodendron amurense, Euonymus pauciflorus, Angelica tenuissima, Heloniopsis koreana and so on), 8 taxa of a degree III (Rhynchosia acuminatifolia, Stewartia pseudocamellia, Cynanchum inamoenum, Schpolia japonica, Scrophularia koraiensis and so on), Wisteria floribunda (Planted) of a degree IV and Prunus yedoensis (Planted) of a degre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2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Poa pratensis and so on. Naturalization rate (NR) was 6.9% of all 604 taxa of vascular plants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plant distribution and protecting valuable plant populations Unjangsan areas in Jeollabuk-do is located in the inland performing will want to take as the basis for designating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4,900원
        44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6~24세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자에서 세대에 따른 근시의 분포변화와 진행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7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청주와 천안소재의 안경원에 굴절이상 교정을 위해 방문한 사람 64,292명(남성 15,567명, 여성 48,725명)의 굴절검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근시 진행률 비교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안경원 방문횟수를 고려하여 단위 기간 당 근시 진행 정도를 파워벡터 방법에 의한 MOD(magnitude of difference)와 VDD(vector difference in diopter)값을 이용하였다. 결과: 6~24세 이르는 연구대상자를 학제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누고 5년 간격으로 구분하여 평균 굴절 이상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6~7세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방향으로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방문연 도에 따른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의 분포에서는 경도근시의 감소와 중등도 및 고도근시의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추세의 차이는 6~7세 그룹을 제외한 모든 연령그룹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안경원 에 연속 방문한 경우를 이용해 파워벡터로 환산한 근시 진행 정도는 8~13세 그룹과 14~16세 그룹에서 방문 연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p=0.006). 방문 연도에 따른 근시 진행 정도는 전체 대상자에 서 –0.344 D로 나타났고(p=0.000), 특히 6~15세의 경우는 –0.524 D로 더욱 높게 나타났다(p=0.000). 결론: 동일 연령그룹에서 방문 연도가 최근에 가까워짐에 따라 평균 굴절이상 정도가 (-)방향으로 변화 되며, 고도근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거에 비해 최근에 가까울수록 근시 진행 정도가 더 크게 나 타났다.
        4,000원
        44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concentration of and evaluate the pollution level of indoor air pollutants among the public-us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at are mainly used by medically sensitive us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pervision data provid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re were 399 nursery schools, 188 medical facilities, 42 elderly care facilities and 96 postnatal care centers. The indoor air pollutants to be investigated were analyzed for PM10, CO2, HCHO, TAB and CO.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rveyed pollutants, TAB levels exceeded the criteria most often, in 54 facilities. Among the surveyed facilities, nursery schools exceeded the criteria most often, in 49 facil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llutants in each facility (p<05).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dditional factors should be investigated for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each indoor air pollutant for a more rational evaluation.
        4,200원
        44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4 directions of wind, wind speed, year of construction of slate roofs, installation area and other factors on the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airborne fiber particles in farmhouses with a slate roof containing asbestos. Airborne fiber particl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ir in six houses with a slate roof containing asbestos using a high flow rate pump (10 L/min) for 2 hours, three times a day with a different condition, 72 times in total. The airborne fiber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the size of fiber particles of 72 samples in total was estimated using the mean value of those in each sample measured at 100 with a field of view.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fiber particles collected from in the air in four directions of the targeted farmhouses was 2.83 fiber/L, and its maximum concentration was 5.75 fiber/L, which means that among all samples there was no place that exceeded 10 fiber/L, a recommended indoor air quality standard. The average size of the fiber particles was 11.55 μm, and the maximum size was 40 μ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and size of fiber particles in the air collected from the farmhouses with a slate roof containing asbestos found that the closer to the main wind direction (p<0.001) and the faster the average wind speed (p<0.05), the fiber particles concentration became significantly higher. In this cas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52.8%. It was also found that the wider the total area of the slate roof (p<0.001) and the slower the average wind speed (p<0.05), the longer the fiber particle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is finding was 19.6%. The concentration of fiber particles in the air of farmhouses with a slate roof appeared to be the highest under the main wind direction, and became significantly higher as the wind speed became faster. This proved that fiber particles were leaked from the slate roof. The size of the fiber particles became significantly longer as the area of the slate roof became wider and the wind speed became slower.
        4,000원
        447.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the seabed litter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f the West Sea of South Korea including 18 sea-blocks were investigated using a bottom trawl gear of the R/V Tamgtu 20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from 24th April 2011 to 4th May 2012. Each trawl shot was conducted for an hour in each sea-block and the total trawl shots was 18. As a result, 325.6 kg of seabed litter in total has been collected. The quantity of the seabed litter was highest at No. 202 of the sea-block, close to the Heuksan-Do. The highest occupied sea material was plastic (83.1% of entire seabed litters), the second highest material was metal combined with plastic (10.6%), and glass (2.9%), metals (2.3%), vinyl (0.6%), cloth (0.4%) and wood (0.2%) in order. The origin of seabed litters was from fishing gear (89.0% of all seabed litters).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most seabed litters were derived from the fishing activity for example fishing nets and ropes.
        4,000원
        448.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e possible effects of a habitable place for fish around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which measured underwater radiated noise, irradiance distribution of rig's light and conducted experimental fishing in Malaysia territory and observed for distribution of fishes around the rig by ROV during drilling operation in the East Sea of Korea. As a result underwater radiated noise was 130 dB/μPa from 156.25 to 187.50 Hz, irradiance distribution of light was between 21.5 and 43.1 lx. Despite this result, underwater radiated noise was not a threat to fish around rig and low irradiance distribution of light also played a role in the luring influence of the fishes at night. Fish showed up in the beginning of drilling operation and at the end of drilling operation. However, there are few fish in the midst of drilling operation. The main reason for this result was the destruction of the habitable place due to blow out mud and broken pieces of ground formation in drilling hol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sonable fishery management around rig.
        4,000원
        45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uxiliary axle system in a compact special vehicle. Structural and running stability of compact special vehicle is largely affected by auxiliary axle system install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ress and deformation distributions with safe factor in the auxiliary axle system are analyzed. It can be seen that maximum stress happens near the local axle position, and deformation is also predicted. Simulation results are also compared with experimental test data.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for optimal design of diverse axle systems in the compact special vehicle.
        4,000원
        45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ational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pavement roughness index considering vehicle wandering. METHODS: The location analysis of the passing vehicle in the lane was performed by approximately 1.2 million vehicles for verification of the wandering distribution. According to verification result, the distribution follows the normal distribution pattern.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as estimated using each lane's wandering distribution model. Then the procedure for applying a weighted value into the lane profile was conducted using this function. RESULTS : The modified index, MRIw, with consideration towards applying the wandering weighted value application was computed then compared with MRI. It was found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distribution of lateral roughness index in the lane was high in the case of a large difference between each index (i.e., MRIw and MRI) observed. CONCLUSIONS :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new procedure with consideration of the weight factor can successfully improve the lan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oughness index.
        4,000원
        454.
        201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저서동물은 갯벌에서 우점을 차지하고 있으며, 저서환경을 유지하고 환경을 정화하는데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퇴적환경에서 유기물 함량은 저서동물의 서식, 먹이행동, 생존 등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초입의 목포연안 인근갯벌(목포지역과 압해지 역)에서 유기물 함량과 저서동물 분포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목포지역은 압해지역에 비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무안만 초입 인근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는 퇴적층 유기물 함량과 유의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두 지역으로 나누어졌다.
        4,000원
        45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춘·하계 어류 자치어 군집의 조성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남해 의 세 해역(여수, 남해, 통영)에서 RN80 네트를 이용해 매월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0개 분류군의 자치어가 채집되었고, 이 중 멸치가 전체 출현 개체수의 56.8 %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청보리멸, 청베도라치, 망둑어과 타입A, 청베도라치과, 앞동갈베도라치 등이 각각 2% 이상의 개체수비를 보여 우점하였으며, 이상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 자치어의 87.5%를 차지하였다. ANOSIM 결과 해역 간에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기적 변동은 주로 수온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56.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해안의 대표적인 패류양식해역 중에 하나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 중 유기물과 중금속의 분포 및 오염현황을 이해하기 위해 입도와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중금속 9종(As, Cd, Cr, Cu, Fe, Hg, Mn, Pb, Zn)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성만 주변 퇴적 물은 세립질의 점토(clay)와 니(mud)로 이루어져 있었다. 유기물과 중금속은 만의 입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 였다. 특히, 퇴적물중 유기물 및 중금속의 분포와 C/N 비(5-10)를 고려하였을 때, 고성만 퇴적물 중 유기물은 해역 자체 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된 해양기원성 유기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중금속은 만 주변 혹은 만내 산재해 있는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4 가지 퇴적물 오염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고성만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성만 퇴적물은 전 해역에 걸쳐 중 금속에 대하여 약간 오염된 상태였으며, 만의 북쪽과 북동쪽의 일부 해역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가 높아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과 함께 지속적 인 양식활동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오염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한다.
        4,200원
        45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벼(Oryza sativa) 해충 발생양상이 다양해지고, 특히 비래해충의 월동가능성 증가와 토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최근 벼멸구(Nilaparvata lugens),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등 비래해충류의 발생이 증가하고, 이들에 의해 식물병에 의한 2차적 피해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비래해충과 같은 외래 침입곤충의 새로운 서식처점유 속도는 1년에 약 2Km가 넘는다고 보고되었으며, 따라서 월동가능성과 토착화 가능성이 있는 비래해충의예측 및 그 방제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의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군과 전라남도강진군, 보성군에서 과거 비래해충 출현이 보고된 각 군별 6개의 벼 재배지역을 선정하여 비래해충 조사 자료확보 연구를 위한 2017년 비래해충 분포조사를 진행하였다.
        45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지역인 설악산 국립공원은 해발 1,708m로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본조사는 1,473m, 1,368m, 949m, 524m 고도에서 지점을 선정하여 함정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한후 군집구성을 분석하였다.조사결과 17속 24종 7,487개체가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가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 세부 지점별로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윤줄납작먼지벌레(Colpodes xestus), 청진민줄딱정벌레(Aulonocarabus seishinensisseishinensis), Synuchus sp.1, Synuchus sp.2, Poecilus sp., 강원우리딱정벌레(Eucarabus cartereti cartereti)가 우점종 및아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조사를 통해 딱정벌레 분포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한다.
        45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고추에서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는 정식 후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까지 최대 발생량을 보였고,Taylor Power Law(TPL) 분석 결과 집중분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추에 발생하는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는 주로 잎을 가해하며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두 해충의 조사를위해 황색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3개 지역 모두 6월 중순 경부터 급격히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에 최대 발생량을 보였다. 이 두 총채벌레의 포장 내조사지점별 밀도를 비교한 결과 주로 하우스 측면과 입구 쪽에서 밀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나 통계적 차이는없었다. TPL 분석의 직선회귀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모두 기울기 b값은 “1” 이상으로 집중분포양상을 보였고 R2는 각각 0.9279와 0.9384로 신뢰성이 높았다. 추후 TPL 상수를 이용한 고정정확도 수준에서 조사주에따른 표본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총채벌레 누적마리수를 추정하여 적정 표본조사 중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46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 재배는 적당히 높은 온습도가 유리하기 때문에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해 온도, 습도, 일조량, CO₂등을 원격으로 조절하여 힘과 시간을 덜 소모하고도작물의 생육환경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기존재배방식인 비닐하우스와 그와 다른 새로운 방식인 스마트팜에서의 위치 및 높이별 온습도와 토마토의 주요 해충인담배가루이와 작은뿌리파리의 발생량 및 시설 내에서의 발생분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비닐하우스는 논산,평택, 세종에서 각각 한 동씩이었으며, 스마트팜은 논산의 한 동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비닐하우스와 달리 스마트팜은 온습도가 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해충의 유입으로부터 조금 더 폐쇄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요 해충의발생량이 적었다. 또한 작은뿌리파리는 시설의 가장자리에서, 담배가루이는 중앙부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나는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