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4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an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functional foods from Salvia plebeia R. Br. extract. Methods and Results: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hispidulin as a marker compound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YMC hydrosphere C18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This method was validated using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ests.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95. The method was fully validated, and was sensitive, with the limit of detection (LOD) at 0.09 ㎍• ㎖−1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t 0.27 ㎍• ㎖−1.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the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05 - 0.22% and 0.32 - 0.42%, respectively, and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y of hispidulin were 99.5 - 102.3% and 98.8 - 101.5%,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 of hispidulin in Salvia plebeia R. Br. extract was 3.945 ㎎• g−1 (0.39%).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HPLC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quality control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s.
        4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In this study, microwave extraction was used,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o extract useful bioactive substances as it requires low quantities of solvent and short time peri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grimonia pilosa Ledeb. Methods and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ethanol concentration, microwave power, and extraction time, each of which had five level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bioactive compounds,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Contour maps were generated from polynomial equation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then assumed by superimposing these contour maps. Based on the resulting graph, the optimal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Agrimonia pilosa Ledeb were determined as 42 - 48% ethanol concentration, 240 - 280W microwave power, and 13 - 20 min of extraction time. Conclusions: Ethanol concent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icrowave extraction,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s well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icrowave power and extraction time influenc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no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ycium ruthenicum Murr. was known as black wolfberry. It belongs to Solanaceae. In order to elucidate b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al substances of Lycium ruthenicum Murr.,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harvested from Qaidam Besin. area was prepared and was studied. Methods and Results : Antioxidant,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were examined using diverse in vitro bioassays and functional substances were analyzed by HPLC and LC-MS/MS.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stro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lso showed strong SOD-like activ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for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RT-PCR was performed. SOD expression was strongly increased by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CAT expression was also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manner.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nd also inhibited NO production. Anticancer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assay were examined with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The potent anticancer activity exhibited in HepG2 hepatoma cells. As a result of main component analysis by HPLC, chlorogenic acid and rutin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flavonoids of Lycium ruthenicum Murr.. In addition, by LC-MS/MS, petunidine-3-O-rutinoside (trans-p-coumaroyl)-5-O-glucoside was determined as a major anthocyanin of Lycium ruthenicum Murr.. Conclusion :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d could be used as a food and a functional material to enhance human health. Further study to identify an unknown flavonoids of Lycium ruthenicum Murr. would be needed.
        4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의 다양화와 기능성 특수용도의 쌀 품종 육성의 일환으로 개발한 슈퍼홍미의 작물학적 특성과 성분특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슈퍼홍미는 흑진주벼와 수원 425호 교잡 후대 계통에서 선발된 C3GHi 계통과 종실이 큰 대립벼1호를 인공교배하여 초형이 양호하고 현미색이 붉은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하였다. 출수기는 9월 5일로 슈퍼자미보다 10일 늦은 만생종이며, 간장은 94.7 cm 로 슈퍼자미보다 13 cm 큰 장간이다. 포기당 이삭수는 5.4개로 적지만 이삭당 벼알수는 154.0 개로 슈퍼자미 보다 28% 많다. 현미의 천립중은 26.8g 으로 슈퍼자미와 비슷하다. 슈퍼자미의 길이는 9.05 cm이고 폭은 3.79 cm로 슈퍼자미보다 큰 대립이며 정현비율은 81.7% 이다. MCF-7 세포주를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내에 에스트로겐 활성과 관련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에스트로겐에 의해 PR 합성이 유도되고 ER-α는 억제되는 결과가 나왔고, 슈퍼홍미 70% 에탄올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이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슈퍼홍미 추출물 농도에 따른 MCF-7 증식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50ppm, 100ppm 농도에서 48시간 배양이후 증식효과가 나타났으며 72시간 이후에는 모든 농도에서 14% 이상의 증식효과가 나타났다. 슈퍼홍미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새로운 기능성 품종으로의 가능성이 높다.
        4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ingredient analysis of harvested garlic bulb and soil analysis of four garliccultivated regions in Jeju, being one of the major areas of Namdo garlic production. Soil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7.02 and 1.03 dS/m, respectively. Soil organic matter was 4.31%. The mineral elements (potassium, calcium, magnesium, sodium, iron, manganese, copper and zinc) of Namdo garlic cultivated soil were analyzed by ICP, and calcium was the most highly contained mineral with 14.67 cmol+/kg a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magnesium (2.25 cmol+/㎏), potassium (1.51 cmol+/㎏). Soluble solid and total acidity were 7.60 oBrix and 0.49%,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garlic bulb were in order of potassium (12,728 ppm) > sulfur (7,778 ppm) > phosphorus (4,916 ppm) > magnesium (691 ppm) > calcium (359 ppm).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reducing sugar were 71.14 ㎎ GAE/100 g, 17.64 ㎎ QE/100 g and 26.53 ㎎ GE/g, respectively. Alliin and allicin were 8.78 ㎎/g and 2.10 ㎎/g, respectivel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ineral contents of soil and garlic bulb are analyzed. Macronutrients of soil is correlated with macronutrients of garlic (positive) and micronutrients of garlic (negative) contents.
        4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며, 인체에서의 in vivo 피부 흡수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8종 성분의 인체 표피 투과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in vitro 결과와 비교하여 주요 성분의 피부 흡수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성분의 피부 투과도 측정한 결과를 보면, in vitro 평가에서 ascorbyl-2-glucos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그리고 kojic acid가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보였으며, in vivo 평가에서는 retinol, vitamin C, 그리고 arbutin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n vitro 평가와 in vivo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율을 보인 성분은 각각 ascorbyl-2-glucoside와 retinol이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in vitro평가의 경우 무모생쥐 모델의 피부를 모두 관통하는 물질을 평가하였고,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의 경우는 표피의 각질층을 평가하였으므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표피 및 진피층의 영향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 물질의 투과 장벽은 각질층이므로 각질층에서 물질 이동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흡수에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자료는 추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5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ght spectrum using red (660 nm), blue (460 nm), red and blue mixed (Red : Blue = 6 : 4) LED (light-emitting diode), and fluorescent lamp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andelion irradiated with the red and blue mixed or the red LED were 121.77 mg/100 g or 115.36 mg/100 g, respectively, which were greater than those in dandelion treated with blue LED and fluorescent lamp. Asparagine showed the highest content among amino acids in leaves and roots regardless of treatments. Total amino acid was the highest when illuminated with the red LE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OD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ere increased under all of the LED treatments compared with fluorescent lamp,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he red and the mixed LED illumin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the red and the mixed LED illumination promote antioxidant activity and increase functional components during cultivation of dandelion.
        5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the byproducts (flower, immature and mature berry, leaf and stem) of ginseng. Yield of byproducts were 32.7±9.8g in flower, 68.2±2.2g in immature berry, 48.5±4.3g in mature berry, 316.2±20.5g in leaf, and 296.6±15.4g in stem per 3.3m2 (180×90cm, ginseng root 675.5±35.7g/drybasis. The total saponin contents of ginseng byproducts and root are 52.36±1.24, 68.71±1.98, 168.89±0.57, 68.26±1.32, 7.85±0.61 and 35.08±0.96 mg/g, respectively. The main ginsenoside of all byproducts was Re and the highest content was 132.23±1.56 mg/g in mature berry. But flower and berry was not detected Rf and Rh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2.242±0.140%, after, immature berry 〉 leaf 〉 flower 〉 root 〉 stem ord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0.115±0.004 mg/mL(IC50), and the others were the same order of polyphenolic compound and ginsenoside content on byproducts.
        5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의 소비자들은 예전에 비해 외모, 건강 및 안락한 삶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유효성분을 함유한 기능성화장품의 요구 또한 증대시키고 있다. 차별화된 제형을 이용한 감각적인 사용감이 구현된 처방은 실질적인 소비자 인지 수준의 화장품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화장품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효성분의 경피 전달을 통한 소비자 인지 수준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화장품 과학자는 첨단 의약품의 다양한 기술을 접목해야 한다. 다양한 경피 흡수 수단의 기술이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차세대 경피 전달 시스템으로서 큰 잠재력을 가진 경피 전달 시스템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55.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판되고 있는 일반 과메기(CK), 키토산을 첨가한 과메기(KAC) 및 금박을 입힌 과메기(KOGL)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지방산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CK, KAC 및 KOGL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26.4~30.8%), 조단백질(29.1~32.7%), 조회분(1.6~1.9%)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KOGL의 조지방 함량은 32.2%로 CK 24.5% 및 KAC 22.9%보다 상당량 높게
        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력한 항알러지 효능이 있는 EGCG3‘’Me가 고함유된 차나무 잎을 이용한 녹차제품의 성분변화와 관능특성 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주도 설록차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재배 중인 5종의 차나무 품종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녹차 가공특성 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녹차제품인 증제차와 덖음차로 구분하여 2가지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제품의 관능평가는 훈련된 전문 품질심사요원을 대상으로 외관 및 내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 였다. 총 질소, 총 유리아미노산, Theanine, Vitamin C 함량은 NIR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카페인 및 카테친 함량은 HPLC를 이용하여 동시분석 하였고, 색도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공방법을 달리한 녹차제품에 대한 일반적 품질 특성은 대체적으로 가공방법에 따른 큰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품종에 따라 성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차 표면 색도는 가공방법 및 품종에 따라 다르게 조사되었으 며, 모든 품종에서 덖음차보다 증제차의 명도(L) 값이 높았다. 증제차의 관능평가에서 Saemidori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았는데, 수색은 선명한 녹색을 나타냈으며, 감칠맛이 강해 내질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EGCG3‘’Me의 함량이 높은 Benifuki 품종은 카테친 특유의 떫은맛이 강하였으나, 전반적인 제품의 외관과 내질의 평가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덖음차의 관능평가에서는 증제차와는 달리 Fushun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Benifuki 품종이 Saemidori 품종과 함께 내질에서 우수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지역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7000417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임.
        5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은 인체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기능성 물질을 탐색하고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특수미 품종 36종을 이용하여 4개 종류의 단백질 함량, 철분, 아연, 피틴산과 아밀로스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맵쌀과 찹쌀의 경우, albumin (2.43 mg/g과 2.32 mg/g)과 globulin 함량 (4.68 mg/g과 4.94 mg/g)이 높게 나타났고 유색미의 경우 1.37 mg/g과 2.77 mg/g의 함량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유색미의 glutelin 함량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맵쌀이 가장 낮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경우, 찹쌀에서 낮게 나타났고 맵쌀과 유색미에서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아연 함량은 유색미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피틴산의 함량은 특수미의 특성에 따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9.88-13.54%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성분 중 albumin과 prolamin의 경우 부의 상관관계 (p<0.05)를 나타내었으며 globulin 함량은 아밀로스 함량과 상관관계 (p<0.05)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틴산 함량 등 기능성 성분에 대한 8가지의 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한 결과4개의 품종군으로 구분되었다.
        5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육성 중인 차나무계통의 기능성 및 항산화 특성조사를 제주도 소재 아모레퍼시픽그룹 (주)장원 설록차 연구소 시험포장에서 품종육성을 위해 선발된 2계통(JW07190, JW07192)과 우량 도입품종 3품종(Meiryoku, Ryohu, Yamanoibuki)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첫물차 기간 중 1심 5엽기 출개도 70%인 시기를 기준으로 신초상위 제 1엽-3엽 까지 100 g을 채취하여 증열기(TERADA, JAPAN)에서 40초간 통과시켜 찌고, 80℃ 건조기에 건조시킨 후 분말로 가공하여 성분분석 및 항산화 효과검정에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은25μg과 50μg을 반응시켰을 때 JW07192계통이 각각 431.57±28.45, 380.57±11.70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EGCG의 함량도 JW07-192계통이 81.1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Yamanoibuki(43.3 mg/g)에 비해 약 2배가량 함량이 높았다. ESR을 이용하여 DPPH, alky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DPPH 소거능은 12.5μg/mL와 25μg/mL으로 반응시켰을 때, JW07192계통이 각각 49.27±1.25, 84.03±1.28%로 측정되었고, hydorxyl radical 소거능도 25μg/mL와 50μg/mL에서 각각 31.99±6.47, 52.45±2.34%로 다른 추출물과 비교히였을 때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alkyl radical은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도 JW07192계통이 25μg/mL로 반응시켰을 때는 66.96±3.08%, 50μg/mL 일때는 95.65±0.99%로 100%에 가까운 활성을 보였다. 위의 결과 JW07192계통이 도입품종에 비해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높은 라디칼 소거능으로 항산화능이 우수하여 고기능성 차나무 품종 및 중간모본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