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41.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Fourteen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ction-observation training. Initially, they were asked to watch video that illustrated arm actions used in daily activities; this was followed by repetitive practice of the observed actions for 3 times a week for 3 weeks. Each training session lasted 30 min. All subject participated 12 training session on 9 consecutive training days. For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status of standard functional scales, Wolf motor function test was carried out a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at 2 weeks after the training. Friedman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upper arm functions after the 3-week action-observation training, as compared to that before training.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even at two weeks after the training. This result suggest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additional impact on recovery of stroke-induced motor dysfunctions through the action observation-action execution matching system, which includ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4,000원
        4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4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4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 치료는 3주 동안 매일 가장 활동적인 5시간 동안 건측 상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갑을 착용하였고 제한시간 동 안 환측의 움직임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은 건측을 제한하지 않고 일상생활활동과 밀접한 과제들을 1주 동안 수행하였다. 상지기능 변화는 뇌졸중상지기능평가(MFT)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의 변화는 운동처리기술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3번의 반복 측정된 자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방법인 프리드맨 검정을 사용하였고 사후 검정은 윌콕슨 쌍대비교 분석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 후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한 후에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 행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손움직임을 위한 과제 지향적 치료 이후에도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해 과제 지향적 방법이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환측 을 기능적으로 활용하도록 양손 활동 과제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본 연구의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900원
        45.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를 적용하여 환측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만 7세 2개월인 편마비형 뇌성마비 남자 아동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적용하여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실험 연구 방법인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4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Grooved Pegboard 검사와 장악력 검사를 사용하여 아동의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시기에는 총 10주 동안 하루 5시간씩 건측 손을 제한하고 주 3회 1시간씩 집중적인 상지 치료를 실시하고, 훈련 후 주 1회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이후 다시 기초선을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손 기능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손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의 빈도와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 숙련도는 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치료가 종료된 이후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각각 1회 측정하였다. 결과 : Grooved Pegboard 검사 결과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에 수행 시간이 감소되었으며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하지만 악력 검사에서는 기초선 기간과 치료 기간,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손사용의 빈도를 보는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검사에서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손사용의 횟수가 증가되었으나 손사용의 숙련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저하된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치료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별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시행되어져야 하며, 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4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event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effective keyboard select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ransverse plane angle changes during vertical keyboard typing.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had a similar typing ability (rate of more than 300 keystrokes per minute) and biacromion and forearm-fingertip lengths. Four different types of keyboard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90˚, or 120˚, and a standard keyboard) were used with a wrist support. The test order was selected randomly for each subject.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a keyboard typing task. The collected EMG data were normalized using the reference contraction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MG data, a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mplitude of all seven muscles (upper trapezius,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extensor carpi 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flexor carpi radialis, and flexor carpi ulnaris) assessed during the keyboard typing task. The mean activity of each muscle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transverse plane angle increased. The mean activity recorded during all vertical keyboard typing was lower than that recorded during standard keyboard ty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error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verse plane angles of 60˚ and 120˚ with regard to comfort. In conclusion, a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muscle activity compared with vertical keyboards with other transverse plane angles.
        4,000원
        4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3인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강제유도운동치료는 12일 동안 팔걸이와 보조기로 건측을 깨어있는 시간의 84.9% 동안 억제하고, 6시간 동안 환측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5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그리고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전․후에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대상자 3인 중 2인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강제유도운동치료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우세손이 환측인 대상자들의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세측과 비우세측에 따른 환측 부위를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강제유도운동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600원
        4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4,200원
        49.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의 간단한 침상 검사(Simple bedside tests)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예측에 있어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4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후 7, 14, 40, 80일 정기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상지회복을 위한 4개의 잠재적인 예측을 평가하는 측정 도구(Active Finger Extension: AFE, Shoulder Abduction: SA, Shoulder Shrug: SS, Hand Movement Scale: HMS)와 3개의 상지 기능 결과를 평가하는 도구 (Box and Block Test: BBT, Nine Hole Peg Test: NHPT, Fugl-Meyer upper extremity: FugM)들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Simple bedside test(AFE, SS, SA, HMS; 입원 7일 후에 평가)가 상지의 기능적 예측 인자로서 종속변수(BBT, NHPT, FugM; 14일, 40일, 80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진적 다중 선형 회귀 분석(Forwar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Hand Movement Scale은 뇌졸중 후 상지 기능 회복에서 단, 중, 장기간에 강력한 초기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 Hand Movement Scale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예측 할 수 있는 변수로서 신뢰 할만하다.
        4,000원
        50.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video display terminal (VD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work has improved. However, VDT syndrome is threatening the health of workers as a side effect of prolonged use of a VDT. Among various VDT syndromes,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especially, the cumulative trauma disorder (CTD) is the common research topic related with upper extremities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rist-hand orthosis (WHO) on fatigue in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during one-hour computer keyboard typing.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ssess the localized muscle fatigue (LMF), and the LMF was calculated at 10 minutes, 20 minutes, 40 minutes, and 60 minutes in each muscle, with and without the WHO.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of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 10 minutes, the LMF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pplied WHO in the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and upper trapezius (p=.001, p=.026, p=.019, respectively). 2) As the computer keyboard typing period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LMF differences, except for the upper trapeziu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HO can be applied to decrease the LMF for the initial 10 minute period in the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and upper trapezius' but that the long term effect of WHO in reducing the LMF was proven only in upper trapezius during continued computer keyboard typing.
        4,000원
        5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손상측 손의 주먹 쥐기 동작을 실시하여 동측 경상 운동 발현 유무를 확인하고, 동측 경상 운동과 손상측 상지 기능의 관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개의 전자 악력계를 이용하여 손상측 손으로 대상자가 할 수 있는 최대의 힘으로 주먹 쥐기를 1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시행한 후 동측 경상 운동을 측정하고, 동측 경상 운동의 유무에 따라서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 15명과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 15명으로 구분하였다. 경상 운동의 유무에 따른 손상측상지의 기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퍼글-마이어 평가, 퍼듀 페그보드 검사, 악력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과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의 집단 간의 손상측 상지 기능의 비교에서 퍼글-마이어 평가, 퍼듀 페그보드 검사, 악력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군이 경상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군보다 상지의 전반적인 기능에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이후에 나타나는 동측 경상 운동은 상지 기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운동 결함이 있는 동측 경상 운동이 나타나는 환자에서 뇌졸중 이후 회복 과정의 임상적 양상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평가와 치료에 있어서 동측 경상 운동을 고려해야 하며, 앞으로 뇌졸중 환자에서 경상 운동의 지속적인 평가와 치료적 중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5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아동에게 수중에서 시행하는 대칭운동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자는 뇌병변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은 8세 아동이었다.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 중 반전연구(ABA)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8회기의 기초선 과정, 치료기간, 그리고 치료 후 관찰기간 동안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상지기능의 평가는 Bruininks-Oseretsky 운동기능 발달검사 소항목인 동전 옮기기와 Grooved 페그보드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은 치료기간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치료선 과정과 치료 후 관찰기간에는 일반적인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를 받았으며, 치료기간에는 이에 더하여 40분간의 수중 대칭운동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 동전 옮기기와 페그보드 검사로 평가된 상지기능은 기초선과정보다 치료기간 동안에 향상되었으며, 이는 치료 후 관찰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 결과 치료기간 후에 과제 완료시 체간의 굴곡 보상이 감소되었으며 견관절의 굴곡과 주관절의 신전이 움직임이 증가되었다. 또한 견관절과 주관절의 움직임 형태가 안정적으로 변하였다. 결론 : 수중 대칭운동은 편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및 움직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하고 장기간 시행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53.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환측 상지의 운동 형상학적 변화를 유발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8명의 편마비 환자들이 주 5회의 강제유도운동치료에 2주 동안 참여하였다. 훈련에 의한 상지의 운동 수행동안의 운동 형상학적 변수들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이 컵 옮기기와 연필 옮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동작분석 시스템 (CMS-HS Zebris uMedizintechnik GmbH, Isny, Germany)을 이용하여 어깨, 팔굽, 손목 관절에서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운동 형상학적 변수들인 동작의 순발력과 부드러움, 그리고 이동거리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순발력은 컵(또는 연필)을 잡는 동작과 내려놓는 동작 두 구간에서 최대 속도 도달시간으로 측정하였고, 움직임의 부드러움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관절 움직임의 속도반전의 횟수로 움직임의 변동(fluctuation)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동거리의 효율성은 실제 관절별 움직임 궤도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관절별 최대 속도 도달시간은 컵 옮기기 과제 중 컵을 잡는 동작과 내려놓는 동작 두 구간에서 어깨 관절, 팔굽 관절, 손목 관절 모두 치료 전․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반면에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는 내려놓는 동작에서 어깨 관절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2) 속도반전 횟수는 컵 옮기기 과제에서 모든 측정 관절의 전후 방향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어깨 관절에서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역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05). 또한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 손목 관절의 전후, 수평 요인을 제외한 전 관절의 축 방향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3) 관절별 움직임 궤도의 변화량은 컵 옮기기 과제에서 어깨 관절과 팔굽 관절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는 전 관절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삼차원 동작분석 평가를 통하여 환측 상지의 다양한 관절에서 순발력과 부드러움, 효율성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마비 측 상지의 운동역학적 변수들의 향상을 객관적으로 보임으로서 상지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치료적 활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4,600원
        54.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udio-visual modeling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ve program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observing these various models on the capacity of stroke patients to perform upper limb activities. Twenty-on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sk modeling, sport modeling, or control group. During 2 weeks of intervention, subjects in all groups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practice of experimental tasks. These tasks comprised of a Nine Hole Peg Test,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s, and locomotion. These tasks were performed 5 days a week, 30 min per day. In addition to the physical practice, the task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experimental tasks and locomotive activities for 20 min, while the sport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various sport activities for 20 min.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experimental tasks was measured 3 time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week after the intervention. Analyses of the capacity to perform upper extremity activitie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pre-test to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in all groups. However, the amount of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task modeling group. The task model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all experimental tasks, whereas the sport modeling group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o-visual mode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gnitive intervention for facilitating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and its rehabilitativ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 program is comprised of performance scenes directly related to the target task.
        4,000원
        55.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5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에 의해 상지의 장애를 가지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의 브라우저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 할 수 있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로서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무선 자이로 마우스시스템를 개발하고, 임상평가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주안점은, 첫째, 장애인의 경우 휠체어나 침대에 누워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무선화하는 것, 둘째, 착탈의 용이성과 미관을 위하여 센서를 헤드 밴드에 삽입하는 것, 셋째, 컴퓨터 운영체제에게 클릭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C5~C6 환자들의 경우에는 클릭 스위치를 사용하고, C4환자의 경우에는 고개의 끄덕임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발된 시스템을 척수손상으로 인한 상지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행횟수가 증가할수록 상하/좌우 이동시의 목표위치에 대한 실제위치의 오차가 감소하고, 1분당 클릭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개발된 무선 자이로마우스 시스템은 환자의 반복사용을 통해 그 유용성이 증가할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57.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cle weakness in the hemiplegia following strok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Therefor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is essential for functional recovery in hemiplegic patients. Even though the popular conception is tha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causes spasticity and associated reaction that hemiplegia patients don't want, and that it disturbs functional recovery,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new reports against that opinion. Therefore,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s on functional recovery in hemiplegic patients are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s for the knee joint using isokinetic exercise on the associated rea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Comparing the muscle activities of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i during,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2 and 5 minute intervals of isokinetic exercise, we examined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associated reaction. Twenty stroke in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get muscle activity data from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lexor and extensor peak torqu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sound side than the affected side (p<.05). 2. Before and after strengthening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ies (surface electromyographic root mean square values) between the sound and affected side. 3. Muscle activities were examined during,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2 and 5 minute intervals of isokinetic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ies between, before and during the exercises, during exercise and 5 minutes after exercise in the biceps brachii (p<.05), and during exercise and 5 minutes after exercise in the triceps brachii (p<.05). In conclusion,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strengthening exercise and associated reaction in the upper extremities. Rather, muscle activities after exercise had a tendency to decrease relative to before the exercise. Thus, it is considered that intensive strengthening exercise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functional recovery without increase in associated reaction in hemiparetic patients.
        4,000원
        58.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movement patterns of shoulder joints between the right and left symmetry in strok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his study proposes use of the voluntary response index (VRI) calculated from quantitative analysis of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d motion data recorded during voluntary movement as a feeding task. The VRI is comprised of two numeric values, one derived from the total muscle activity recorded for the voluntary motor task (magnitude), and the other from the sEMG distribution across the recorded muscles with the similarity index (SI). Five stroke patients and five age-matched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Feeding mo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ovided spoon five times with rests taken on a chair in between tasks. EMG data were digitiz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oot mean square (RMS) envelope of activity. The average amplitude of responses was calculated. Responsiveness and clinically meaningful levels of discrimination between stroke patients and control for EMG magnitude and SI were determined. The similarity index of the results from two successive examinations of both sides apart for strok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were .86 and .95 in motion analysis and .84 and .99 in electromyographic analysis. The SI of sEMG data and motion dat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in stroke patients. The data suggest that SI is a sensitive program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mmetry of muscle activity and motion in both sides. This analysis method has a clinical value in grading muscular activity and movement impairment after brain injury.
        4,000원
        59.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fatigue characteristic of upper limbs, this study analyzed RMS(root mean square) and MPF(mean power frequency) value between initial and terminal stages of each experiment condition. And the effect of intermittent endurance time was eva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