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4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직파재배의 장점은 노력시간을 절약하여 생산비를 이앙재배대비 8%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재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직파재배는 ‘95년 118천ha(벼재배면적의 11%)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직파적응성 품종, 잡초, 앵미, 미질 등 재배여건 등이 크게 관여 했는데 품종적 측면에서는 저온발아성, 토줄출아성 등 초기입모관련 특성과 내도복성, 군집의 균일성 등 재배안전성이 가장 큰 요인이다. 본연구에서는 초기 입모와 관련한 저온발아성(13℃, 15일, 유아장 1mm이상), 담수토중출아성(5월 중순, 토중 1㎝, 수심 10㎝, 15 일후 입모조사), 도복검정(담수직파)을 실시하여 실제 담수직파재배 생육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저온발아성 은 답수직파 포장에서의 입모율과는 직접 연관이 적으며 담수토중출아성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초기신장성은 입 모와 관련 중요한 특성이며 이후 제초제처리 등 포장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초기 신장성 이 우수한 계통은 후기생육까지 영향을 주어 도복에 취약한데 HR27035-23-2-4, HR27035-39-3-1은 초기신장이 우 수하고 성숙기 간장이 73㎝로 양호하였다.
        4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직파재배의 장점은 노력시간을 절약하여 생산비를 이앙재배대비 8%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재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직파재배는 ‘95년 118천 ha (벼재배면적의 11%)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직파적응성 품종, 잡초, 앵미, 미질 등 재배여건 등이 크게 관여 했는데 품종적 측면에서는 저온발아성, 담수토중출아성 등 초기입모관련 특성과 내도복성, 군집의 균일성 등 재배안전성이 가장 큰 요인이다. 본 연구에 서는 초기 입모와 관련한 저온발아성 (13 ℃, 15일, 유아장 1 mm이상), 담수토중출아성 (5월 중순, 토중 1 ㎝, 수심 10 ㎝, 15일후 입모조사), 도복검정(담수직파)을 실시하여 실제 담수직파재배 생육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저 온발아성은 담수직파 포장에서의 입모율과는 직접 연관이 적으며 담수토중출아성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초기신 장성은 입모와 관련 중요한 특성이며 이후 제초제 처리 등 포장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초 기 신장성이 우수한 계통은 후기생육까지 영향을 주어 도복에 취약한데 HR27035-23-2-4, HR27035-39-3-1은 초기 신장성이 우수하고 성숙기 간장이 73 ㎝로 양호하였다.
        4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안’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10년에 육성한 고품질 직파적응 내도복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수안’의 출수 기는 담수직파에서 8월 15일로 ‘주안벼’보다 1일 늦으며, 보통기 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남평 벼’보다 6일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간장은 담수직파에서 74 cm로 ‘주안벼’보다 4 cm 크고 이앙재배에서는 ‘남평벼’와 비 슷하며 담수직파시 m 2당 수수와 수당립수는 ‘주안벼’보다 적 고 등숙비율이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5.4 g으로 ‘주안벼’보 다 무겁다. 내냉성 검정에서 유묘적고는 ‘남평벼’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고, 출수지연일수가 ‘남평벼’에 비해 2일 정도 길 으나 임실률은 47%로 ‘남평벼’에 비해 높은 편이다. 등숙기 수발아율은 22%로 ‘남평벼’보다 높고 포장도복은 강한 편이 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 성이나 기타 바이러스병 및 벼멸구류 등의 해충에는 저항성 이 없다. 단원형이며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고 ‘남평벼’ 수준 으로 맑고 투명하다. 단백질 함량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6.5% 및 19.5%이며 밥맛은 ‘남평벼’ 수준이다. 제현율, 도정 율은 ‘남평벼’보다 다소 높으나 백미완전립률은 낮은 편이었 다. 쌀 수량성은 담수직파 6개소 및 건답직파 4개소에서 각각 5.47 MT/ha, 5.56 MT/ha로 ‘주안벼’보다 9% 증수 되었으며, 보통기 보비재배에서는 5.80 MT/ha으로 ‘남평벼’ 대비 4% 증수하였다.
        4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dging in the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on flooded paddy is being severe problem due to the lower production and grain quality at ripening st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probenfos-metconazole (IPM) treated 50, 40 and 30 days before heading respectively as a plant regulator to reduce the lodging at ripening stage of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The culm length treated with IPM, especially the 4th culm internode, was shortened more than with untreated plot, and the most effective time was at 30 days before heading. At 20 days after heading the flag leaves colour showed more greening than in the untreated leaves and the plot with IPM treatment was to be maintained longer compared to the control plot. The Nitrogen concentration of leaves with IPM was lower than in the control plot, and SiO2 contents were higher than in the untreated plot and SiO2/N ratio was increased more in the IPM plot than in the control plot. The breaking strength of 3rd and 4th culm internode with IPM treatment was higher than in the untreated plot, and the lodging index was reduced in the IPM plot significantly and the field lodging also was reduced. As the results the rice production in the IPM plot was increased more due to be higher ripening ratio and seed grain weight compared to the untreated plot to be occurred the field lodging.
        5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담'은 중부지방 적응 중생 직파적성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SR19200-HB826-34와 '주안벼'를 인공교배하여 2003년에 SR22320-3-4-1-2-1을 '수원498호'로 계통명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담'으로 명명하였는바,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담'의 평균출수기는
        5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in 5-year-old ginseng root grown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Root weight per plant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was lower than that of transplanting cultivation. Fresh and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was high in main root and low in lateral because direct seeding cultivation root elongated the length of main root, while it suppressed the growth of lateral root. Total amount of ginsenoside contents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were 362.8 and 320.3 mg in main root, 188.6 and 548.8 mg in lateral root, 170.7 and 273.8 mg in fine root. Its contents of whole root per plant were 722.1 and 1142.9 mg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respectively.
        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친환경적인 저투입 기술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어 콩과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화학 비료 절감과 토양유실을 경감시키고자 녹비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옥수수를 무경운 직파하여 연구 를 수행하였다. 옥수수는 일미찰 품종을 ‘09. 4. 24일 인력 점파기로 파종하였으며, 콩과녹비작물은 헤어리베 치와 크림손클로버를 이용하였고, 질소는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헤어 리베치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9, 11, 13일 지연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옥수수 출사기의 지연과 엽색도 값의 감소 정도가 컸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9, 17, 19%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 록 수량의 감소정도가 컸다. 크림손클로버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16, 18, 21일 지연되었으며, 질소비료의 절감량이 많을수 록 지연되었고 엽색도 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50, 55, 57%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수량의 감소가 컸다. 녹비작물의 종류, 시비량,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헤어리베치가 크림손클로버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헤어리베치 이용 시 질소를 무시용할 경우 옥수수 수량은 관행 대비 81%로 무비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7.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3-year-old ginseng (for Samgyetang product) cultured by various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Ginsengs were cultured by the seeding density, 275, 300, 330 352 and 396 seeds per Kan, 180×90cm area. Survived rate (82.1%)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length and leaf width were high in plot of 300 and 352 seeds. Root yield grai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except 352 seeds sowed. Average root weight and diameter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31.6 g and 18.4 mm, respectively. Crude saponin and each ginsenosides content were the highest in plot of 275 seeds sowed. Rg1 content was decreased, Rc and Rb2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plot of 330 seeds sowed and the lowest in plot of 396 seeds sowed, and oligo- and disaccaride content were high in plot of 330 and 352 seeds sowed. R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s cultivated according to various seeding density, hardness and springness were high and maximum fracture force was low with decrease of the seeding quantity.
        5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질소시비량에 따른 건답직파재배에서의 수량 및 품질변이를 알아보고자. 건답직파 질소시비량을 15, 12, 9kg/10a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량은 일미벼와 화남벼 모두 9kg/10a 처리에서 이앙재배인 9kg/10a보다 적었으나 12kg/10a처리에서는 이앙재배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백미품위의 경우 일미벼는 시비량에 따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화남벼는 시비량이 감소할수록 품위는 향상되었다. 질소이용효율은 건답직파재배보다는 이앙재배에서 높았으며,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시비량이 감소할수록 질소이용효율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고품질 쌀생산을 위한 건답직파의 질소시비량은 수량과 품위를 고려해 볼 때 현행 15kg/10a에서 12kg/10a로 감비할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5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험목적 한국에서 개발되어 한국, 북한, 중국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복토직파기술은 2006년 중국에 최초로 4개성(강소, 안후이, 상하이, 녕하회족자치구)에 도입하여 농가현장실증시험을 한 결과 그 효과가 입증이 되어 2년차인 2007년도에는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및 9개성(사천, 안후이, 호북, 절강, 상하이, 강소, 요녕, 녕하, 흑룡강)에 각각 도입하여 농가 현장실증시험을 통한 안정적인 벼 직파재배기술확립으로 획기적인 쌀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구명하고자 함. 재료 및 방법 ○ 시험 장소 -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중국 항조우) ○ 시험방법 - 포장시험 o 품종 : 浙粳22(일반벼), 甬亻尤 1호(교잡벼-Hybrid) o 파종량 : 2.25kg/10a, 3.0kg/10a, 3.75kg/10a 실험결과 ○ 규산질비료 복토에 따른 성묘율은 무처리 60%에 비하여 山東규산질비료처리구에서는 80%내외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수장, 영화수가 각각 증대되었다. ○ 수량성은 손 산파, 조파, 복토직파를 비교한 결과 10a당 각각 549kg/10a, 523kg/10a, 577kg/10a로써 복토직파재배에서 577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량(교잡벼)은 10a당 3.0kg/10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기술은 중국의 교잡벼(Hybrid)에도 그 활용성이 입증이 되었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직파법에 비하여 줄기 및 흰 뿌리가 많았으며 하위 절간이 3cm 내외 깊게 묻히어 도복에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6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wangeumnodeul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HR15151-B-21-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7.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s and about 139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areas. Culm length of this cultivar is 78 cm and the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the check cultivar,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the check variety. This cultivar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Milled kernel of Hwanggeumnodeul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This cultivar has about 5.7% and 18.6%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respectively.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f Hwanggeumnodeul is similar to Nampyeongbyeo. Its milling recovery and head rice were 75.6% and 90.0%, respectively. Hwanggeumnodeul yielded 5.69 and 5.61 MT/ha in milled rice at the under wet-direct and dry-direct seeding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are 17% and 12% higher than the check variety, Juanbyeo. It yielded 5.86 MT/ha, 8% higher than Nampyeongbyeo at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geumnodeul”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s well as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