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8

        4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hesperidin과 hesperidin의 aglycone 형태인 hesperetin의 2,2'-azobis (2-am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에 의해 신장 독성이 유도된 쥐에서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은 200 mg/kg/day의 농도로 7일간 위내투여하였으며, AAPH를 복강주사하여 급성 신장 손상을 유도하였다. 이 후 쥐의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nitric oxide (NO) 생성량, catalase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 며, nuclear factor-kappa B (NF-κB)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AAPH로 신장 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의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은 신장 독성을 유도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산화적 손상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hesperidin과 hesperetin를 투여했을 때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신장 내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는 AAPH로 신장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 100% 대비 NF-κB 단백질을 각각 66% 및 71%로, iNOS 단백질 발현을 각각 46% 및 33%로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가 항산화 활성 조절을 통해 AAPH로 유도된 신장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천연 생리활성물질인 에코사펜타엔산을 다량 함유한 흑해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우수성을 제시하였다. 세포내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에 대 해 해삼 추출물의 활성산소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해삼의 생리활성물질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평가 결과 우수한 NO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생리활성 물질은 낮 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 효능을 보여 항산화 효과, 면역 및 염증 반응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해삼의 항산화 제거능은 해삼 추출물의 EPA(eicosapent aenoic acid)를 함유하는 페놀 성분의 항산화 효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삼의 항산화 성분이 작용한다는 보고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해삼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성분이 염증 활성 억제 효과에 관여 하는 것으로 입증돼 상처 치유에도 탁월하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삼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 성분의 효과 가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4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and barley according to the milling process 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γ-oryzanol was observed in unmilled rice and barley. However, γ-oryzanol was not detected in the rice and barley after the milling process. The highest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as observed in the unmilled Keunalbori-1-ho barley. The contents of biotin in all samples also decreased in the milled grains compared to the unmilled grain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as observed in the Heuksujeongchal barley, an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found in this grain. The milling process led to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including γ-oryzanol, GABA, biot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both rice and barle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cereal grains.
        4,000원
        4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fter adding black ginseng powder at ratios of 0%, 1%, 3%, 5%, and 7%, and the potential of black ginseng as a functional foo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pH decreased. The L value d ec 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Notab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showed the highest increases in cookies containing 7% black ginseng powder.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ack ginseng powder ad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ginseng powder can be applied to cookies to achieve high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4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tagatose yogurt with different contents (6, 8, 10%) of cold brew liquid coffee. Tagatose is a low-calorie food ingredient with putative health-promoting benefits. The tagatose yogurt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t 37±1oC for 20 h. The changes in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viscosity,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determined every 5 h during fermentation. Color value was determin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performed after fermentation in triplicate. The yogurts containing cold brew liquid coffee had lower pH, higher acidity, and viscosity than the control, regardless of the liquid coffee contents. All samples had increasing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over the fermentation period, but lactic acid bacteria of yogurts with the addition of cold brew liquid coffee increased further than the control. The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 DPPH/ ABTS/H2O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increased when the liquid coffee content of the yogurt rose. Consequently, the optimal quality of tagatose yogurt was found when 6-8% of cold brew liquid coffee was added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s of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4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teokbokkidduk alone or supplemented with 3%, 6%, 9%, and 12% wheat bran powder were assessed, to increase use of the wheat bran by-product of wheat milling.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tarch elution of Tteokb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while the water absorption rate did not. The L color value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teokbokkidduk prepared with 0% and 3% wheat bran powder revealed uniform pore size distribution. In terms of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wheat bran powder. Acceptance was highest for samples with 6% wheat bran powder.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revealed increased brownness, roughness, nutty, bitterness, astringency, savory character, and hardness, and decreased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ith increased wheat bran powd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highest overall acceptance of samples prepared with 6% wheat bran powder, reflecting the relatively low values of detrimental sensor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of Tteokbokkidduk increased as wheat bran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addition of 6% wheat bran powder resulted in excellent Tteokbokki in terms of acceptanc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5,200원
        4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서 관리 재배된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의 70% 에탄올 추출 물(LFE)을 활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측정 후, NO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련 유전자인 NOS2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LFE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3.97±0.37 ㎎ GAE/g과 29.22±2.06 ㎎ QE/g으로 확인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FE 25 ㎍/㎖ 11.26±0.95%, 50 ㎍/㎖ 17.12±0.63%, 100 ㎍/㎖ 29.54±0.36%, 250 ㎍/㎖ 68.31±0.28%, 500 ㎍/㎖ 75.12±0.05% 및 1000 ㎍/㎖ 75.75±1.57%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FE 25 ㎍/㎖ 13.75±0.21%, 50 ㎍/㎖ 26.71±0.20%, 100 ㎍/㎖ 56.92±0.22%, 250 ㎍/㎖ 91.30±0.12%, 500 ㎍/㎖ 93.40±0.02 및, 1000 ㎍/㎖ 93.19±0.04%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LFE의 유의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량은 LFE 50 ㎍/㎖ 79.40±2.64%, 100 ㎍/㎖ 55.01±5.36%, 200 ㎍/㎖ 30.93±3.11%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으며, NOS2 유전자 발현량은 LFE 50 ㎍/㎖ 0.94±0.11, 100 ㎍/㎖ 0.59±0.05, 200 ㎍/㎖ 0.32±0.04로 유의 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본 결과는 곰취의 항산화 효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향 후 지속적인 심화 연 구를 통해 본 곰취를 활용하여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48.
        2021.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gurt is mostly consumed dairy food and considered as a nutritious food because of its probiotic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LAB). LABs are known to possess antioxidant, anticarcino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s. Corni fructus has healthy and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the inhibition of apidogenesis and angiopoie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orni fructus. Yogurt was manufactured with addition of 0.1%-0.2% (w/v) water or ethanol corni fructus extracts, respectively. For quality characteristics, pH, chromaticity, viscosity and syneresis were determined during refrigeration storage (1, 7, 14, and 21 day). For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The p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showed decreasing pattern for all groups during storage period. In chromaticity, redness increased, and lightness decreased as the amount of corni furctus extracts increases. Yogurt with corni furctus ethanol extracts showed more color changes than yogurt with corni furctus water extracts. Viscosity increased in corni furctus extract add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Syneresis was approximately 2-fold higher in corni fructus extract added group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control and extract added groups. Bo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corni fructus extract add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In conclusion, addition of corni fructus extracts in yogurt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antioxidant properties.
        4,000원
        4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watermelon radish flesh (WRF) powder, in ratios of 0 (control), 2.5, 5, 7.5, and 10% of the cooked white bean paste.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sugar content,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anggaeng were examined. Increasing the amount of WRF in the Yanggaeng tended to increase the crude ash, carbohydrate, sugar,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s, and anthocyanin contents, a valu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decreasing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L and b values, and pH. Texture measurement scores in terms of springiness, chewiness for Yanggaeng showed that 2.5% or 5.0%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Yanggaeng with up to 7.0% added WRF powder can be developed as produc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health functional snack products using WRF powder.
        4,000원
        5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oat and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Yogurt was fermented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bulgaricus (LB),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ST) and quality properties, β-glucan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estimated. The quality of control and oat added yogurt (O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 and combination. The addition of oa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decreased the pH, and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and count of the viable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Acid production was highest in ST, with the complex strains containing ST and LALBST showing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iscosity of oat yogur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LALBS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β-glucan content of OY was 0.14-0.2%, and the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oats.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addition of oats and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4,000원
        5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wheat sprouts grown in wild fields and cultivated fields and harvested at various time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eat sprouts as a function of their cultivation and harvest time,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heat extract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heat extract increased from 16.97 mg TEAC/g sample on cultivation day three in cultivated field wheat sprouts to 25.99 mg TEAC/g sample after seven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from 17.08 mg GA eq/100 g in cultivated field wheat sprouts grown for three days to 28.70 mg GA eq/100 g after seven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In addition, the flavonoid content increased from 7.02 mg catechin eq/100 g (7 days) to 8.47 mg/g after 12 days of wild field cultivation. Notably, the activity subsequently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heat sprouts with higher biological activity were those produced from the wild field after 20 days.
        4,000원
        5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갈색 느티만 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부위별, 추출 용매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15±0.19 mg GAE/g과 7.37±0.16 mg GAE/g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 량은 각각 10.23±0.14 mg GAE/g과 3.76.±0.19 mg GAE/g 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DPPH, ABTS, ORAC 지수, 환원력도 10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흰색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ORAC 지수, 환원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 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 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느티만가닥버섯은 품종에 따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고,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은 다른 버섯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54.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미수미원(백하수오 10 g,; 당귀 6 g; 구기자 8 g; 화피 6 g; 선태 3 g; 홍화 2 g)에 방기(Sinomenium acutum R.) 4 g의 첨가 여부에 따라 각각 열수추출물은 GS±SC(DW), 80% 에탄올 추출물은 GS±SC(EtOH)로 표기 하였다. 각 추출물은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 다. HPLC를 통한 방기 지표물질 함량측정, 중금속 검사 기준 측정, ABTS/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SOD 유사 활성능 측정, ROS 및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방기 지표물질 중 sinomenine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decursin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게 확인되었다. 중금속 측정 결과 기준치 적합으로 확인되었다. ABTS/DPP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GS+SC(EtOH)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상대적으로 열수보다 에탄올 추출이 라디칼 소거율이 높게 확인되었다. 그러나 SOD의 경우 열수 추출에서 상대 적으로 유사 활성능이 높게 확인되었다. ROS 생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O의 생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GS+SC(EtOH)이 라디컬 소거능 및 NO 감소를 높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산화적스트레스 후, 생성된 활성산소의 제거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효능 심화 연구를 통해 조성물을 활용한 화장품 및 기능성 원료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5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lution of agricultural soil by alkaline salts, such as Na2CO3, is a critical and long-lasting problem in cultivable la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utative role of citric acid (CA) in alleviating Na2CO3-stress in alfalfa. In this study, Na2CO3 significantly induced leaf chlorosis, inhibited plant growth and photosynthesis related parameters, increased hydrogen peroxide (H2O2) and reduced major antioxidant enzymes (SOD ,CAD, APX) in alfalfa. However, the presence of CA these negative effects of Na2CO3-stress largely recovered. Interestingly, expression of antioxidant and ion transporter genes (Fe-SOD, CAT, APX, DHAR and NHX1) involved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meostasis and oxidative stress tolerance in alfalf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mediated Na2CO3 stress alleviation is an ecofriendly approach that would be useful to local farmer for alfalfa and other forage crop cultivation in alkaline soils.
        4,000원
        5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 다당류는 면역 조절 기능,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비롯하여 항바이러스 활성과 방사선 스트레스의 경감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분홍느타리버섯 (Pleurotus djamor var. roseus Corner)으 로부터 뜨거운 물과 에탄올 침전을 이용하여 5.6%의 수율로 갈색을 띠는 경화된 다당류(CPs)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CP는 Diethylaminoethyl cellulose (DEAE) 및 sepharose-6B 컬럼 분리를 통해 4개의 분획을 얻었고 각 분획의 총 글루칸 함량은 각각 76.85%, 2.95%, 75.08%, 1.46%로 밝혀졌다. 이중 가장 높은 수율의 분획 (PP)으로부터 300 mg의 백색 분말이 얻어 졌으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와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의 결과로부터 자일로펜토스 유형의 화합물과 함께 다당류 부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PP의 항산화 활성은 1,1- diphenyl-2-picryl-hydrazyl(DPPH) 자유라디칼 소거 분석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분석을 통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P분획에는 페놀, 단백질 및 단순 탄수화물이 없는 정제된 베타글루칸이 주 구성성분으로, 정 제된 다당류가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표고의 식품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표고 5종을 경남 진주, 전남 광양 및 순천 지역의 농산물 시장 또는 대형 마트에서 구입하여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79.17~82.90 g/100 g으로 시료 간의 차이가 적었으나, 조단백질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무기질 총량은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칼륨(K)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총 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표고 “A”에서 월등히 높았으나, 총 아미노산에서 필수아미노산 및 aspartic acid 와 glutamic acid의 함량 비율은 시료 간에 비슷한 수준이었다. β-Glucan 함량은 10.28~15.68 g/100 g으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판 표고의 색도와 전반적인 조직감에서는 시료 간의 두드러진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 함량은 19.92~30.77 mg/100 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95~10.39 mg/100 g이었으며, 총 페놀 함량에 대한 플라 보노이드 함량의 비율은 31.53~38.21%였다. DPPH 라디 칼소거활성은 74.92~79.04%,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80.47~84.97%로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원력은 195.23~317.85 μM로 시료 간의 유의차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공시한 표고 5종의 식품성분이나 항산화 활성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