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4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성시 서부지역 청소년의 가족ㆍ문화ㆍ여가ㆍ비행ㆍ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내 청소년 문제를 확인하고, 청소년 관련 복지 자원의 개발과 청소년들에 대한 질 높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화성시 서부지역 중ㆍ고등학교 학생 1,158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방과 후 희망 하는 문화활동은 영화 및 연극 등 관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봉사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교육활동은 국ㆍ영ㆍ수 학습프로그램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에서 37.7% 학생들이 음주 경험이 있고, 스스로 원해서 시작한 경우가 많았으며, 음주경험은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고 있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에서 17.0% 학생들이 흡연을 하고 있고, 흡연은 스스로 원해서 시작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은 전체에서 5.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가해 자는 학교친구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폭력 유형은 언어적 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폭력을 당하는 주기는 주 1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 관련 활동은 ‘있다’가 전체의 31.3%로 나타났고, 참여하고 싶은 활동 분야는 문화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구체적인 진로에 대한 생각 또는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음주경험은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흡연경험 및 청소년관련 활동 참여 비율에 대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 났다. 화성시 지역에서 참여하고 싶은 활동분야는 남학생은 여가활동, 여학생은 문화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00원
        4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에 따른 한국 아동작업치료의 연구실태 및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아동작업치료 분야 연구 115편을 선별하여 연구형태분류 및 근거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상 논문의 연구 대상자 수와 그에 대한 연령, 진단명과 평가도구 사용률을 분석하였고 연구 분야는 ICF-C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ren & Youth Version)에 따른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아동작업치료 관련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형태는 그룹 비교 및 상관 관계연구가 24.3%로 가장 높았고 근거 수준은 4단계가 4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41.5%로 가장 높았고 대상자 수에서는 101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진단명에서는 뇌성마비가 26.0%로 가장 높은 비율 을 차지하였으며 평가도구에서는 Sensory Profile이 11.6%로 아동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ICF-CY를 기준으로 분류한 연구 분야에서는 신체 구조와 기능적 요소가 51.2%로 가장 높 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실린 아동작업치료 관련논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살피고 ICF-CY분 류체계를 사용하여 주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 참여와 개인적 요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을 확인하였고 연구 주제 선정에 있어 다양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43.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있는 ‘K’ 중학교에서 자아존중감이 낮은 여학생 4명을 학교측에서 의뢰를 받아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9회기에 걸쳐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첫 회기를 시작하는 날, 프로그램 활동 전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검사지를 통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일에 같은 검사지를 통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의 활동에 관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학생들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가 통계적으로 점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프로그램 활동을 하면서 4명의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마음과 함께 서로 배려하는 모습과 자신을 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자신의 비전을 세우는데 있어서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욕구와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보급해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7,800원
        4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다라 도형심리는 현재에 대한 마음속 이미지화이다. 즉 도형을 통한 기질적 특성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하지만 청소년이 현재 상황을 수용하면서 긍정적인 정서함양을 위한 노력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화해와 피난처를 제공하는 대인관계기술에서 조화롭게 대처하 려는 인식으로써 정서를 도식화한다는 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상담활 동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만다라 도형은 자기 개성의 표현이다. 현재 의 무궁무진한 생각, 느낌과 직관의 발동, 미래에 펼쳐질 환상의 무 지개 빛깔들이다. 그들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성과 기질의 발동에 서 엿볼 수 있는 상징적 의미로 나만의 이야기이며 미래에 대한 에너 지원인 것이다. 만다라 도형심리를 통한 상담은 불안정기의 청소년들이 겪는 미래 의 불확실한 현실 속에서 가족, 또래, 학업적인 기술 수행능력 등의 여러 갈등해소와 상호소통을 위한 필요한 활동이다. 만다라 도형은 개인특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그들의 내면세계를 이야기하게 함 으로써 치료적 효과를 도모한다. 이것은 청소년 스스로 자신을 계발 하는 과정이며 건강한 정서표현으로 도식화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청소년들의 상담과정에서 만다라도형의 상징을 통해 자기실현에 대한 정서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받아들이게 하며, 불안과 우울의 부정적 정서와 미래 목표의 달성이라는 행복한 정서에 대한 양가감 정을 인정하게 한다. 청소년은 현재의 문제와 갈등상황에 대해 받아 들임으로써 마음 다스리기를 훈련하고, 사회적 대인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을 발휘하게 한다. 만다라 도형심리를 통한 상담활동은 청소 년들의 정서적이고 안정적 반응으로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 상징 이 야기로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만다라 도형상징과 색채심리로 표현된 자신의 부정적 정 서와 긍정적 정서를 통해 사회적 대인관계와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다루었다. 청소년이 선택한 만다라 도형상징 표현을 통 해 현재의‘나’를 그대로 드러내고 효과적인 자기실현의 조절과 상황 에 대해 수용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진로목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자정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면 상담의 결과가 성 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
        9,300원
        4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교현장에서는‘학교폭력’, ‘집단따돌림’, ‘학교부적응’등의 문 제가 이슈화되어 청소년들과 교사, 학부모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 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청소년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또래들로 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것이다. 특히 자신이‘왕따’라는 평을 듣거나 친구들에게 그렇게 인식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집단따돌림은 넓은 의미에서 학교폭력의 한 유형으로, 서구에서 정의하는 스쿨불 링(School bullying)과 일본의 이지메(Ijime)와 비슷한 개념이다. 따 돌림을 당하는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고 다른 사람의 태도와 말투의 이면에 숨은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며, 그 상황과 분위 기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친구들로부터 배척당하면서 집단따돌림 의 피해자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따돌림의 해결을 위해서 선(禪) 수행의 심우도(尋牛圖) 는 존재의 근원을 통찰하여 본 성품을 자각하게 하는 길잡이가 된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자신을 알아차리고 나아가 탈자동화를 거쳐서 자 기의 정체성을 찾아가게 하는 것은 청소년의 비행과 집단따돌림 현상 에서의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심우도는 누구나 알기 쉽게 문자나 언어의 설 명 없는 불립문자(不立文字)로 마음속으로 스며들게 하며, 참나를 찾 아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10단계의 그림으로 나누어 깨달음을 찾아가게 하는 심우도는 청소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자기치 유력(self-healing)을 높일 것이다.
        8,700원
        46.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직무, 감독, 임금, 승진, 동료요인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밝히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가출청소년에 대한 서비스 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독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임금은 낮을수록 서비스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임금과 서비스 질은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승진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를 잘 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되어져야 하며 능력에 맞는 근무량과 근무시간이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감독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지지나 소통, 개인적인 관심사, 공정한 평가 등 감독과 종사자와의 관계개선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데도 서비스 질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쉼터종사자는 임금은 낮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 질은 높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이들의 임금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쉼터종사자들은 동료와의 관계를 신뢰하고 존중할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나 동료애를 제고할 수 있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5,400원
        47.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이용정도와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둘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참여 프로그램유형과 주요 관심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셋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만족도와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생활권 수련시설의 활용도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생활권 청소년수련관 이용자인 중․고․ 청소년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련시설 이용도, 희망하는 수련시설 프로그램,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1200명의 응답 중 응답이 부실한 29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9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50%가 수련시설을 이용하고, 학교CA연계프로그램이나 수련활동프로그램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학교를 통한 이용이 많고, 이용의 용이성이나 시설의 편리성 등을 중요한 이용 이유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많이 하는 신체활동이나 희망하는 수련활동으로는 수영을 가장 많이 꼽았고, 절반 이상이 수련시설의 동아리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이 갖는 일상적인 필요성과 교육수준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반면,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이나 시설 및 이용도구의 부족, 지도자의 전문성 부족에 대해 가장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상의 결과들은 항목에 따라 응답자의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 청소년단체 가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들이 있었다.
        6,600원
        4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는 사회 전반적 현상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는 물론 스스로 주도하고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 청소년을 대상 으로 학교적응력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최근 청소년들을 위한 역량 관련 프로그램들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회성 또는 교육과정과는 별개로 부분적이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의 학교 교육 현장의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학교현장의 교사와 청소년들의 요구 탐색을 통해 어떠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생활하고 있는 교사와 청소년들의 요구를 반영한 탐색을 통해 학교현장 코칭 프로그램개발하고 적용하고자한다.본 연구는 학교교육현장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정부 또는 상위 기관이나 해당기관 주도의 정책에 의한 것이 아닌 대상 학교별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하는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에 의미를 두고자한다.또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역량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하여 현장 요구를 반영한 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전 후 변화에 대한 정리를 토대로 효과를 제시하고 학교현장 코칭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5,700원
        49.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부담과 짐스러움을 강요하는 가정질서, 의미 없는 성취 억압과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학교제도, 청소년들의 창의력을 무디게 만들고 억압하는 단조로운 직업세계로 둘려 싸여있다. 그래서 청소년들은 그들의 삶의 세계로부터 벗어나서, 그들의 고유한 시간, 고유한 공간, 고유한 언어, 고유한 의식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들만의 문화 속으로 도피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대중매체에 의하여 확대 조장될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의 활용이라는 문화작용 속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건강한 열린 존재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건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시간과 공간과 언어 등 세 가지 인간학적 측면에 근거하여 청소년 이해의 실마리를 제시하고 그들의 열린 가능성을 제고해보았다.
        4,300원
        5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athletic particip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hool and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12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
        4,900원
        5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들의 학습, 일, 수면, 기타 필수적인 것에 소요된 시간을 제외한 교제 및 여가활동을 위한 기준시간은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1일 평균 4시간 45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급격한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은 TV시청 이나 컴퓨터게임 등에 편중되고 있어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게임셧 다운 제도까지 도입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취미ㆍ특기를 일반청소년과 범죄청소년간의 차이, 취미ㆍ특기별 성격유형이 범 죄에 미치는 영향, 범죄청소년과 취미ㆍ특기별 성격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범 죄청소년은 노래부르기, 구기운동, 정적형, 당구 등 순으로 선호하고, 일반청소년은 구기운동, 노래부르기, 예술형, TV시청 등 순으로 취미ㆍ특기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자게임ㆍ격투기ㆍ영화감상ㆍ음악감상ㆍ스포츠 등은 일반ㆍ범죄청소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취미ㆍ특기종류별 성격유형 이 청소년범죄여부에 대해 스포츠형(67.9%), 독서(54.6%), 그림그리기(46.2%), 격투기(41.8%), 정적형(39.7%), 예술형(39.5%), TV시청(36.8%), 영화감상 (35.7%) 음악감상(22.6%), 구기운동(17.3%), 전자게임(13.3%), 노래부르기 (9.8%) 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청소년과 취미 ㆍ특기종류별 성격유형에서는 노래부르기ㆍ격투기ㆍ당구ㆍ영화감상ㆍ정적형 등은 준법성이 낮게 나타나는 등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구기운동 ㆍ예술형ㆍ독서ㆍ스포츠형ㆍ요리 등은 준법성이 높게 나타나며 범죄청소년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전자게임과 TV시청은 범죄청소년 보다 준법성은 높으나 자아정체성, 창의성, 사교성이나 친화력, 인자함과 탐구성 등에서 범죄청소년들보다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청소년의 인성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7,800원
        5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increasing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s in informal science programs to promote the youths' positive development. However,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informal science programs target specific student populations such as youth in poverty with little research done about the important program factors. This case study presents an exemplary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arth Science Education or more specifically, water in urban environments) for youth in poverty in a midwest city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at could lead to positive development for the youth. Through a number of observations of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s induc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rogram managers' beliefs about the youths'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and their cooperative work are very important. A concrete mission for the program and structured institutional support to hire the youth as paid museum staff are also important in assuming their responsibility and building identity as an active social member.
        4,000원
        53.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what changes students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goal orientations and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ies after they are instructed at youth soccer academies. This information would be useful
        4,900원
        5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에니어그램의 9가지 성격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총 474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유형의 문항과 문항간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청소년 상담 및 코칭을 위한 에니어그램 척도의 문항은 총 80문항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유형별 문항과 문항 전체 상관관계의 결과는 .44에서 .79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주었으며 신뢰도는 .89이며, 재검사 신뢰도는 .90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문항은 청소년이 자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코칭․진로지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4,600원
        55.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stablish high school male students’ criterionreferenced standards for the Youth Physical Fitness Awards Program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physical strength levels to be achieved by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the events
        6,300원
        5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a mere economic problem in Korea.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It has been long since youth unemployment rate was more than double in total unemployment rate, which stood at 3.5 percent in 2005
        4,000원
        57.
        200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a mere economic problem. It could be develop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at the jobless rate for younger koreans aged between 15 and 29 reached 8 percent in 2005, which was more than double in total unemployment rate. Unemployment among young people has been getting worse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and causes of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and studies the possibility to apply the Demand-Supply Chain Management to the problem.
        4,000원
        5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ting-out behavior patterns of youths, especiall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1600 questionnaire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1487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regional differences as well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youths' eating-out behaviors, the subjects were evenly sampled from north Seoul, south Seoul, big cities, middle/small cities and small towns.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out, 62.7% of respondents answered once to twice per week. For the can of more than 5 times of eating-out per week, the respondents from south Seou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the case of no eating-out, the highest frequency was shown from the small towns. As for the most frequently visited place for eating-out, 33.6% of respondents answered Korean style restaurants, and 17.6% Boon-sik(Sanck-bar). Regarding the preference of Korean style restaurants, the highest rate was shown from the residents of big cities. For the question of when they eat out, 89.6% answered dinner and 6.3% lunch. For the question about reason of choosing particular restaurants, 61.5% of respondents referred to tastes and 16.6% price. For the question of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eating out, 52.6% point out 'meal solution' and 25.6% 'for meeting.' As for the people accompanied when eating out, 67.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family. For the cost of eating out per person, 45.7% of the respondents spent 2000-4000 won for lunch; 31.1% spent 5000-10,000 won for dinner; 33.7% of the respondents spent more than 20,000 won for the special events. Regarding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ating-out cost, respondents from south Seoul tended to spend the biggest amount of money for lunch, dinner and special day.
        4,300원
        60.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스포츠 환경에서 학생선수 를 위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국내와 해외에서 수행된 ‘청소 년의 긍정적 발달’ 관련 서적 및 논문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의 개념, 연구 동향, 주요 타자의 역할, 스포츠와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이 함의하는 4가지 특 성은 (a) 청소년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b) 상대적 가소성, (c) 다차원적인 개념구조, 그리고 (d) 순환성이 다. 둘째, 청소년 긍정적 발달 관점에서의 연구 동향은 이론적 모델, 철학적 관점, 긍정적 청소년 발달을 위한 스 포츠 분위기(예: 코치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의 관여 등),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의 효과 관련 주제로 정리 할 수 있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긍정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도자, 부모, 동료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라이프스킬 프로그램과 같은 체계적인 중재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결론: 스포츠에서의 PYD를 이해하고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긍정적인 사회심리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 여할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