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 이다.
연구방법 : 서울 소재 사업체에 근무하는 시각장애 근로자 2명을 대상으로 Job Accommodation Network(JAN) 의 보조공학 적용 5단계에 따라 보조공학을 적용하였다. 보조공학 적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적용 전과 후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자아인식검사, 자아수용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 적용 후 작업 수행 능력, 삶의 질 모두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자아인식과 자아수용검사 문항 일부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JAN의 5단계 보조공학 적용은 시각장애 근로자의 작업 수행능력과 삶의 질, 자아 개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각 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유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조공학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tendeds to handle “Understanding about Dance class in the curriculums, and its operational cases”, and to suggest “Future Dance class”. To achieve the goal, six women P.E. teachers in Seoul and KyungSangNam-D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ere in after referred to as "the ADHD") is one of the childhood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st frequently reported from the education field. Children suffering from the ADHD show unique tendencies of deficie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유아코칭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 부모나 보육교사들에게 유아코칭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코칭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칭과 사회․정서에 대한 특징을 논의 하고, 둘째, 코칭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아가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도 효과적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며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것을 사회․정서발달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코칭대화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 총론을 기초로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 4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대화관찰 등을 활용하였다. 유아가 성인 또는 또래와 유능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 ․정서 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회․정서발달의 4개의 범주별 내용에 따라 가정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코칭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유아 사회ㆍ정서 발달을 위한 코칭 사례가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의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전문직은 휴먼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로 고도의 윤리적 통찰과 결단이 요구되는 윤리 지향적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아직도 부족하다. 그간 수행된 사회복지 윤리관련 연구들은 하버마스의 보편윤리사상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적 논의,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윤리가 지향하고 있는 내용, 자기결정과 관련된 문제 등 주로 이론적 논의에 머무르고 있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중 가장 빈번하면서도 사회복지사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실제로 겪고 있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내용과 결정 과정 그리고 해결유형을 살펴보고자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문제에 접근했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현직 사회복지사들로부터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take(1995)가 제안한 4단계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의 딜레마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는 유형을 가치론적 결정형, 절충형, 회피형으로 분류했다.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직면하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양상과 원인 그리고 결정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찾을 수 있는 함의는 연구 참여자들은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과 같은 이론적 기준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정책, 전문가의 조언, 기관 관계자들의 견해는 물론 자신의 가치관, 클라이언트의 구체적 상황 등 모든 맥락을 최대한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을 좀 더 유연하게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윤리적 민감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위를 위해서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과정을 포함하고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윤리슈퍼비전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담당 사회복지사들이 감당하기 벅찬 윤리적 문제도 적지 않게 발생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관의 관계자, 성직자, 학계와 같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한 사회복지실천현장윤리위원회의 실효성 있는 운영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008년 1월과 12월의 경기도 이천시에서의 창고화재는 재산상의 피해보다도 방재대책이 허술함과 인명피해에 대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건축자재, 입고 화물이외에 화재하중 등을 가중시키는 플라스틱 파렛트에 대한 거론은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소방청 소방연구소에서는 1995년의 자동화창고의 전소화재시 화재조사를 실시한 후 방재대책으로서 플라스틱 파렛트의 화재하중 경감, 발연량 및 유해가스감축을 위한 후속대책으로 난연 파렛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적린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난연제로 사용한 플라스틱 파렛트 난연화에 성공하였다. 본고에서는 시험시설 등의 연구환경의 한계로 일본의 연구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난연 플라스틱 파렛트 도입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ncluding the proposed process of at the customer's requirements. The suc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depend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marketplace. Existing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the customer's interest was weak. In this paper, we propos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which include Kano's attractive quality factor method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index method. Also we verified new medical treatment of incontinence-nency which is applied to the proposed process.
우리나라 교정시설 여성수용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성수용자 위주의 교정정책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접근을 시작 하고 있다. 미성년의 자녀들을 두고 있는 여성이 교정시설에 수용되는 경우 여성수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많은 연구에서 자녀들이 분리로 인한 슬픔, 공허감, 무기력감, 분노와 공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어린시기의 이러한 영향은 장기적으로 자녀들의 정상적인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정시설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어머니와의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교도소 탁아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여성수용자들과 자녀들의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출소후에도 자녀들과의 재결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 외에도 IMPACT, MOLD, CVP, MATCH 등 여성수용자와 자녀들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여성수용자와 자녀관계 회복․개선 프로 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가족사랑캠프, 어머니학교, 가족만남의 날, 가 족만남의 집, 귀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내 실을 다지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정당국과 보건복지가족부․여성부․ 지방자치단체․사회복지기관 등 유관기관과 지역사회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A variety of statistical methods are applied to model and optimize responses, related to product or system's quality, in terms of control and noise factors at design and manufacturing stages. Most of them assume continuous response variables but, assessin
온라인 게임의 비즈니스 특성은 다른 산업과는 차별화된 특성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기존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기업 활동에 적용시킨다면 성공 가능성 및 지속성장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 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온라인 게임 비즈니스 특성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case study for efficient generation of production schedules in a tube manufacturing system. The considered scheduling problem consists of two sub problems : lot sizing for a job and job sequencing. Since these problems require sim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close look at team teaching between a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teacher of English and thus to explore ways that team teaching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The data consists of teaching journals and an interview. Teaching journals were written by the Korean teacher and the native teacher for one semester while co-teaching. 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he rol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eachers changed dynamically as the native teacher had more experiences of teaching. The native teacher was a novice at first, but she became the associate and sometimes team leader in the end of the semester. Second, the Korean teacher's efforts to communicate with the native teacher regard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helped the native teacher progress in teaching skills and management of class. Third, the Korean teacher felt stress due to too much work and responsibility related to team teaching although she found the experience of team teaching rewarding in terms of 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and games rather than reading and writing were more appropriate for team teaching.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