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6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대상과 놀이의 유형별 소요시간이 사회성 발달의 기본이 되는 친사회적 기술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5학년, 6학년 아동 172명이다. 아동의 놀이와 친사회적 기술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고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의 측정은 MESSY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대상에 따른 친사회적 기술은 놀이대상이 친구나 가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족 중 어머니와 함께 놀이하는 아동보다 아버지와 많이 놀이하는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이 높았다. 둘째, 놀이가 직업탐색에 영향을 주는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 아동의 경우가 친사회적 기술이 더 높았다. 셋째, 아동이 가장 많이 하는 놀이유형은 주중과 주말 모두 미디어놀이이며 다음으로 야외활동놀이, 사교놀이, 오락놀이, 취미교양놀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중에 비해 주말에는 미디어놀이, 사교놀이, 야외활동놀이를 더 많이 하였다. 넷째, 주말에 하는 놀이유형별 놀이시간은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SNS나 컴퓨터, 핸드폰, 게임, TV보기와 같은 미디어놀이에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친사회적 기술은 낮았다.
        4,900원
        6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중국 정부는 중국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생태문명 건설이라는 새로운 국정운영 목표를 제시 하였다. 중국의 환경과 관련된 이러한 거시적 변화는 중국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인을 찾고자 다양한 분야의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이 중국 소비자의 환경관심 및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의 북경, 상해, 청도에 거주하는 327명의 중국소비자들로부터 실증분석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사회적 공감은 환경관심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 중 인지적 공감과 거시적 관점수용만 환경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은 모두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중국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 연구 분야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설명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학문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거시적․미시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확인은 중국 진출 국내기업들에게 친환경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400원
        6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북아 문화권에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중심적자아·독립적자아)과 귀인양식(내적·외적)이 연고(緣故; 사적 관계망)현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는 문화에 따라 연고의 심리사회적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개방적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서울·경기·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중국인과 한국인 184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 중심적·독립적), 귀인양식(내적·외적), 공정성 인식(분배·절차·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관계중심적 자아개념과 외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은 독립적 자아개념과 내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보다 연고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관계 중심적 자아 개념을 가진 중국인들과 한국인들은 연고 집단으로부터 도구적·정보적 지지를 기대한 반면에 독립적 자아개념을 가진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정서적 지지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고 압력과 조직 내 개인의 무기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귀인양식 훈련을 비롯한 조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5,100원
        6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선행연구들은 낙인을 다양한 요인들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Phillips(2016)의 견해를 기초로 하였으며, 낙인의 하위척도로는 대중낙인, 개인낙인, 자기낙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에게 자기낙인이 대중낙인에 비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일치되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첫째, 모형1에서 통제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투입한 결과 최종 학력, 주거, 수입이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는 성별이 부적(-) 영향을 미쳤고, 주거, 최종학력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2는 모형1에 위험요인인 자기낙인, 개인낙인, 대중 낙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설명력을 높였으며, 그 결과 개인낙인과 대중낙인에 비해 자기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자기낙인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과 직장동료 모두에서 부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모형3은 모형2에 보호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 긍정성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재범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출소자에게 사회적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특히, 출소자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타자인 가족 또는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청된다.
        6,400원
        6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 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 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 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 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 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5,100원
        6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제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관계의 친밀감이 게임 플레이 시 플레이어의 게임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정도에 따른 게임 사용자 경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의 사회적 네트워크나 팀워크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전략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간의 사회적 관계 정도가 게임에 대한 협동심,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게임 앱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순수하게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게임 몰입(Flow)을 공변량(Covarianc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전략 게임인 ‘클랜시 오브 로얄' 게임 앱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협동심과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기획 시 플레이어의 인적 네트워크와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4,200원
        6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하여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적용 하였을 때의 효과 입증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지관 이용 아동 중 연구 포함기준에 해당하는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그룹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 감각 프로 파일, 아동용 일상생활활동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아동 모두 작업수행도, 만족도, 사회성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 영역에서 프로그램 이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 각처리능력의 변화에서는 프로그램 전과 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은 사회성 기술, 작업수행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영 역의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700원
        7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유아 시기에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지역과 경지도 지역에 위치한 평가인증을 통과한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17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사회적 지지, 양육 효능감, 양육 태도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지지, 양육 태도, 양육 효능감의 관련성은 각 개념의 하위 요인끼리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 통제적․거부적 양육 태도는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반대 개념으로서 대체로 다른 모든 변수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가 양육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에 대한 양육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 태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양육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어머니에 대한 주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부모교육 및 어머니에 대한 양육지원서비스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5,500원
        7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과 사회적 비교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한편, 상사-구성원 관계의 사회적 비교(LMXSC) 수준과 동료 도움 의 정도가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상이하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며, 상사 -구성원 관계의 사회적 비교가 낮을 때 이러한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와는 반대로, 동료 도움의 경우 동료 도움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155명의 상사-직원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예측과 같이 사회적 비교성향은 지식 공유 행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구성원 교환 사회적 비교에 대한 인식이 낮을 때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강화되었으며, 반대로 동료 도움의 경우 동료 도움에 대한 인식이 높을 때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강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지식경영 관점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72.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망이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 망이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노인들의 성향에 따라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성공적 노화 제고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문헌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국내외의 선행 연구결과와 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및 자료, 단행본 등을 수집・분석하였다. 아울러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6,100원
        73.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업의 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생존 및 성장과 관련된 주요 이슈로 부상 하였다. 많은 연구들이 기업의 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서구 국가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기업의 기업 지배구조가 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업 지배구조의 국제화(이사회 임원진의 해외경험, 외국인 투자자의 소유지분)가 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기업 지배구조의 국제화와 기업의 사회적 성과 간 관계를 조절하는 기업의 여유자원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6,700원
        7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사회적지원이 건강증진행위 및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총 305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21부를 제외하고 최종 284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는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7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7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 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 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 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 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7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및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대가로 현장에서 제공받는 다양한 주관적 보상의 개념인 관계혜택이 재구매나 추천의도 등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이 해당 사회적기업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회적기업과의 동일시 정도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혜택과 확신적 혜택이며,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확신적 혜택이었다. 가설 2는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개인-기업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은 개인-기업 동일시는 고객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3은 채택되었다. 가설 4는 개인-조직 동일시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과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4는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기업동일시는 사회적 혜택 및 확신적 혜택과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확신적 혜택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결과, 사회적기업 마케팅 측면에서 개인-기업 동일시, 관계혜택에 집중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재구매와 추천의도와 같은 고객의 구매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안을 제언하였다.
        6,300원
        7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experience on appearance management in elder peopl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57 elder people who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moderate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management of elder peop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Second, internet shopping experience moderated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and social connectedness. Third, internet shopping experience is not a moderator variable 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t just was a influential factor on psychological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re are strong needs of approaching of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s to development internet shopping system for social connectedness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elderly in future aging society.
        4,000원
        80.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직업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안경사가 직업으로서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지되는지 확인하여 안경사의 직업지위와 직업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안경광학과를 제외 한 4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하고 오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00명의 설문을 이용하여 SPSS 18.0으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사의 사회적 인식(하위 요소- 직업자부심, 직업전망 및 직업전문성)과 직업존중감(하위 요소- 정당대우, 긍정적 가치 및 상대적 우위)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인식의 요소인 ‘직업자부심’은 ‘정당대우’와 ‘긍정적 가치’ 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사회적 인식 중‘직업전문성’은 ‘정당대우’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직업 존중감’의 요소 중 ‘정당대우’와 ‘긍정적 가치’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안경사의 직업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체, 대학, 안경사 개인이 정당대우 및 긍정적 가치 부여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 5